중국 정부가 내년부터 신에너지차 구매세 전액 면체를 종료할 전망이다(출처 BYD)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중국 정부가 올해 말로 신에너지차(NEV)에 대한 구매세 전액 면제를 종료하고, 2026년 1월부터 감면율을 50%로 축소한다. 중국 현지에선 이 같은 정책 변화로 올 연말 전기차 시장이 사상 최대 규모의 구매 러시가 전망되고 있다.
현지 시각으로 9일, 중국 국영 CCTV와 시나파이낸스 등에 따르면 중국은 2025년 12월 31일부로 현행 신에너지차 구매세 전액 면제를 종료하고 내년 1월 1일부터 2027년 말까지 절반 수준의 감면(50%)이 적용된다. 현재 승용 전기차는 최대 3만 위안(약 600만 원)까지 세금을 면제받고 있으나, 새 제도에서는 1만 5000위안까지만 공제가 적용되는 것.
중국 내 이 같은 정책 변화는 단순히 세제 조정이 아니라 산업 구조 재편을 위한 신호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중국 자동차 유통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보조금 중심의 양적 성장 단계를 마무리하고, 기술력, 가치 중심의 질적 경쟁으로 시장을 유도하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일부 완성차 업체들은 세금 차액 보전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출처: BYD)
또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재정부, 세무총국은 지난달 전기차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을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는 순수전기 주행거리 100km 이상을 확보해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는 기존 43km 이상 기준보다 2배 이상 강화된 수준이다.
중국 정부의 이 같은 정책 변화에 따라 일부 완성차 업체들은 보조금 축소에 따른 혼란을 완화하기 위해 세금 차액 보전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1월 말 이전 계약을 체결했으나 차량 인도가 2026년 이후로 넘어가는 소비자에게 기존 전액 면제 혜택과 축소된 감면액의 차이를 보전해 주는 방식이다.
카뉴스차이나는 업계 관계자를 인용 "정책 변화가 발표된 이후 일부 딜러의 월간 주문량이 평소 대비 60% 이상 급증했다"라고 보도했다.
정책 변화에 따라 올 연말까지 중국 내 신에너지차 구매 러시가 예상된다(출처 BYD)
다만 전문가들은 단기적 수요 폭증 이후 2026년 초 시장이 일시적으로 냉각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미 중국의 전기차 침투율이 신차 판매의 45%를 넘어선 만큼 향후 성장은 보조금이 아닌 기술력과 모델 혁신에 좌우될 것이란 예측이다.
한편 2014년부터 중국 내에서 시행된 신에너지차 구매세 전액 면제는 그동안 중국 전기차 산업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다만 현 정부는 과잉 경쟁과 시장 포화, 재정 부담을 이유로 보조금 의존형 성장 모델을 종료하고 지속 가능성 중심의 새로운 국면으로 시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김훈기 기자/hoon149@gmail.com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