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다와 닛산이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협력 논의를 가속하고 있다. (오토헤럴드 DB)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혼다와 닛산이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량 및 파워트레인 공동 개발을 포함한 대규모 협력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지난 2월 결렬된 합병 논의 이후 몇 달 만에 다시 협력 테이블에 앉았으며 이번에는 보다 실질적인 생산·기술 협력 방안이 집중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닛케이 아시아 등에 따르면 이번 논의는 미국 정부의 대일(對日) 자동차 관세 전략 변화가 직접적 계기가 됐다. 지난 9월, 일본산 자동차 관세는 기존 27.5%에서 15%로 낮아졌지만 무역전쟁 이전의 2.5%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닛산은 올해 약 2750억 엔(약 18억 달러), 혼다는 약 3850억 엔(약 54억 달러)에 달하는 영업 타격을 예상하고 있다.
닛산의 신임 CEO 이반 에스피노사(Ivan Espinosa)는 일본 니케이 아시아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논의는 자본 제휴나 통합이 아닌 미국에서 무엇을 함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 협력”이라고 밝혔다. 그는 “협상은 매우 건설적이며 양사 최고경영진까지 참여하는 정례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지난해 8월 차량 지능화·전동화 기술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논의가 성사될 경우 기술 협력을 넘어 북미 생산 플랫폼 공동 개발, 미국 현지 엔진·전동 파워트레인 공동 생산, 혼다 공장에서 닛산 모델 생산 가능성 등 한층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협업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
혼다와 닛산은 모두 미국에서 생산·조달·엔지니어링 등 광범위한 기반을 갖추고 있어 협력에 따른 시너지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최근 고전하고 있는 닛산은 현재 ‘Re:Nissan’ 사업 재편 계획을 추진하며 2028년까지 글로벌 공장을 17개에서 10개로 줄이고 2만 명 규모의 인력 구조조정을 실행 중이다. 올해 초 2219억 엔(약 31억 달러) 순손실을 기록한 뒤 대규모 체질 개선에 착수한 상황이다.
혼다 역시 북미 EV 전략을 조정 중이다. GM과의 합작 EV 프로젝트를 단계적으로 축소한 이후, 독자 전동화 플랫폼 개발과 미국 내 생산 거점 재정비를 진행하고 있어 양사의 이해관계가 맞물린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 내 소식통은 “협력의 범위가 플랫폼·파워트레인까지 확대되면 사실상 생산 동맹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관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북미 현지 생산 확대는 필수이기 때문에 논의는 빠르게 진전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