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추위가 깊어지며 두툼한 패딩의 계절이 돌아왔다. 그러나 패딩은 어떤 방식으로 세탁·관리하느냐에 따라 수명이 크게 달라진다. 매년 드라이클리닝에 맡긴 패딩이 한두 번 만에 힘없이 꺼지고 푸석해졌다면, 우선 세탁 방식부터 점검할 필요가 있다.
많은 이들이 패딩은 드라이클리닝이 기본이라고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물세탁이 보온성을 유지하는 데 훨씬 더 효과적이다. 패딩 충전재로 쓰이는 오리털이나 거위털에는 천연 유분이 포함돼 있는데, 드라이클리닝에 사용되는 유기용제가 이 유분을 제거하면서 털의 탄력과 보온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공인시험기관이 다운 패딩을 물세탁과 드라이클리닝 방식으로 각각 5회 반복 세탁한 뒤 비교한 결과에서도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물세탁 시 보온율은 99.8%로 거의 그대로 유지됐지만, 드라이클리닝은 87.3%까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드라이클리닝을 반복할수록 충전재 손상이 누적돼 보온성이 더 빠르게 떨어지는 셈이다.
사진제공=AMPM워시큐
패딩 관리의 첫 단계는 옷에 부착된 케어라벨 확인이다. 물세탁, 손세탁, 세탁기 사용 가능 등의 표기가 있다면 가정에서도 충분히 세탁할 수 있다. 세탁 시에는 울 코스와 중성 세제, 미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패딩에 부착된 털 장식을 먼저 분리하고, 지퍼를 완전히 잠근 뒤 뒤집어 세탁망에 넣으면 형태 변형을 줄일 수 있다.
다만 패딩 관리는 세탁보다 건조 단계가 더 중요하다. 충전재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팔 부분에만 뭉치면 보온성은 물론 전체적인 핏까지 무너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셀프빨래방의 대형 건조기를 활용하면 열풍이 고르게 순환해 충전재가 뭉침 없이 퍼지면서 원래의 볼륨감을 유지할 수 있다. 상업용 건조기는 가정용보다 회전력과 건조 성능이 강해 짧은 시간 안에 완전 건조가 가능하며 세탁부터 건조까지 약 1시간 30분이면 끝낼 수 있어 겨울철 관리 효율이 높다.
국내 빨래방 전문업체 AMPM워시큐 관계자는 “패딩은 올바른 세탁과 건조만으로도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겨울 필수 아이템”이라며 “무조건 세탁소에 맡기기보다 케어라벨을 제대로 확인하고 셀프빨래방을 활용하면 보다 경제적이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준문 기자/jun@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조텍 RTX 5090 수냉 그래픽카드, 단 3일간 특가 판매
· “첫눈도 오기 전인데” 내셔널지오그래픽 ‘에이라 패딩’ 판매 200% 급증
· 조텍 RTX 5080, 189만9천원 한정 특가! 11일 단 3일간 열린다
· 필립스 에브니아, ‘4K 240Hz·FHD 480Hz’ 듀얼모드 모니터 공개… 하이엔드 게이밍 시장 정조준
· 기가바이트, 라이젠 9000 대응 ‘B850 EAGLE ICE’ 화이트 메인보드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