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역사 대부분 동안 실질적인 노동과 자원에 직접 연결되었던 화폐의 가치가 AI, 자동화, 전기 교통으로 재편되는 21세기 경제에서는 kWh로 이동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주장은 kWh가 생산 능력의 궁극적인 표현이자 새로운 경제 기반인 일렉트로 달러로 부상하고 있으며, 중국의 전략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전기는 측정 가능하고, 나누어지며, 저장 가능하고, 보편적이라는 화폐의 모든 특성을 가지면서도 법정화폐나 암호화폐와 달리 실제로 생산적 산출물과 직접 연결된다. 모든 것이 전기로 움직이는 세상에서, 전기 자체가 문명의 화폐가 된다는 논리이다.
이러한 전기 국가(Electrostate) 전략을 가장 명확하게 실행하는 국가로 중국이 지목되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전력회사인 중국국영전력공사(SGCC)의 중앙 통제 하에 대대적인 전력 투자와 전략적 가격 통제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은 2030년 목표를 5년 앞당겨 2025년에 달성하는 등 압도적인 규모로 새로운 화폐를 조폐하고 있다.
중국은 이 전력 통화를 산업 정책의 정밀한 도구로 사용한다. 평균 전기 요금은 세계적으로 저렴하지만, 정부는 차등 전기 요금제를 통해 저 기술 산업에는 높은 요금을, AI 데이터 센터 등 전략적 부문에는 전기 요금을 최대 절반까지 절감해주는 막대한 보조금을 제공한다. 이 저렴한 전력 지원의 조건은 화웨이 등 중국 내에서 제작된 AI 칩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는 자국의 AI 칩 산업 성장을 전력 통화로 직접 자금 조달하는 행위로 해석된다.
또한, 2021년 암호화폐 거래와 채굴을 금지한 것은 전력이라는 기초 자산을 소모하여 분산형 가치 저장 수단을 만드는 경쟁 '화폐'의 낭비적 유출을 차단하고, 생산 능력을 와 제조업 같은 선호 산업에 전략적으로 할당하기 위함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중국의 전기 전환은 전 세계 국가들에게 석유 공급 의존성에서 벗어나 미니 전기 국가가 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주는 반면, 미국은 화석 연료 중독을 더 많이 판매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신뢰를 잃고 있다고 평가했다. 궁극적으로 모든 생산성이 전력망에 의해 구동되는 시대에, 국가 통제하의 kWh가 진정한 화폐가 된다는 점을 전 세계가 인식하고 전력 생산 및 저장에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저작권자(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