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체 부품을 레고 블록처럼 모듈화해 최대 16종의 다양한 형태로 변신이 가능한 기아 ‘PV5’가 공개됐다. (기아)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기아가 새로운 모듈형 차체 기술인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Flexible Body System)’을 앞세운 중형 PBV(Platform Beyond Vehicle) 모델 ‘PV5’를 공개하고 PBV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은 기아가 독자 개발한 차세대 설계 방식으로, 주요 차체 부품을 레고 블록처럼 모듈화해 다양한 차종을 유연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만든 PBV 특화 기술이다. 설계 유연성은 물론 생산 효율성과 구조 안정성, 유지보수 편의성까지 모두 고려한 구조가 특징이다.
PV5는 차량의 전면부와 1열 구조는 모든 모델에 공통 적용되고 그 이후 뒷부분 구조는 전장, 테일게이트, 루프 형태 등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 가능하다. 기본적으로는 패신저 롱 바디, 카고 컴팩트(3도어/4도어), 카고 롱(3도어/4도어), 카고 하이루프(3도어/4도어) 등 7개 바디 타입을 먼저 선보이며, 최대 16종까지 확대가 가능하다.
PV5는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을 통해 전장, 테일게이트, 루프 형태 등을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 (기아)
예를 들어, PV5 카고 롱 모델은 기존 카고 컴팩트 모델의 ‘리어 오버행 모듈’을 뒤쪽으로 이동시키고, ‘롱바디 모듈’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테일게이트나 쿼터 글라스 모듈 교체만으로도 패신저 버전으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어, 고객 맞춤형 생산이 가능하다.
기아는 후측방 어라운드 가니쉬를 3개 파트로 나누고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적용해 충돌이나 손상 발생 시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차체 골격을 외부까지 확장한 ‘외골격 환형 구조’를 적용해 강성과 정숙성(NVH)을 높였다. 특히 롱바디 모델에는 ‘듀얼 환형 구조’를 적용해 뒷부분 강성까지 강화했다.
2열 도어 및 글라스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스틸 패널은 단 2종의 금형으로 다양한 바디에 대응하도록 설계해 생산 효율도 극대화했다.
PV5 플레시블 바디 시스템 개요. (기아)
PV5 실내도 유연성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트렁크 러기지 사이드 트림은 7종으로 운영되며, ‘기아 애드기어’나 L-트랙 마운팅 시스템 등 다양한 용품과 장비를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아는 7월 중 PV5 패신저 5인승 모델과 카고 롱 모델부터 양산에 돌입하며, 향후 다양한 바디 라인업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2027년에는 대형급 PBV 출시도 예고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장하고 PBV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MSV바디설계1실 이영호 상무는 “레고 블록 방식의 모듈 조립이라는 도전적인 접근이 결과적으로 PBV 시대에 맞는 새로운 차량 개발 방식의 전환점을 마련했다”며 “기아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비즈니스 환경에 맞춘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PV5 플레시블 바디 시스템 개요. (기아)
기아는 오는 7월 22일 경기도 광명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더 기아 PV5 테크 데이’를 개최하고,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을 비롯한 PV5의 핵심 기술과 특화 상품성을 미디어에 공개할 예정이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