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하세요
알림
설정
레프트패널 닫기
관심
최근본
마이페이지
출석체크
카테고리
    서비스 바로가기
    • 자동차
    • 인기 서비스조립PC
    • PC견적
    • PC26
    • 신규 서비스LIVE쇼핑
    • 커뮤니티
    • 이벤트
    • CM추천/문의
    • 오늘의 특가
    앱 서비스
    • 자동차
    • PC견적
    • 장터
    인기 쇼핑몰
    • 지마켓
    • 옥션
    • 11번가
    • 롯데아이몰
    • 쿠팡
    • 롯데닷컴(롯데온)
    • 신세계몰
    • 현대Hmall
    • CJ 온스타일
    • GS샵
    • 하이마트
    • 엘롯데
    • 이마트몰
    • 홈플러스
    • NS몰
    • SK스토아
    • KT알파 쇼핑
    • 전자랜드
    • 무신사
    PC버전 로그인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센터
    (주) 커넥트웨이브
    대표:
    김정남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98, 17층(가산동, 대륭포스트타워6차) (우) 08510
    • 사업자번호:
      117-81-40065
    • 통신판매업:
      제2004-서울양천-00918호
    • 부가통신사업:
      제003081호
    • 고객센터:
      1688-2470 (유료)
    • 이메일:
      cs@cowave.kr
    • 호스팅 제공자:
      (주)커넥트웨이브
    • 사업자 정보확인
    • 이용약관
    • 책임의 한계
    • 청소년 보호정책
    사용법 보기
    MY쇼핑이란? 자주 쓰는 쇼핑몰을 연결하면 쇼핑몰 주문내역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쇼핑몰 계정은 고객님의 핸드폰에만 저장되어 안전합니다.
    편리한 구매내역 확인. 다양한 쇼핑몰의 주문내역을 한 곳에서 확인해보세요.
    가격비교와 최저가 쇼핑을 한 번에. 자주 구매하는 상품은 가격비교를 통해 저렴하게 구매하세요.
    보안은 필수! 쉽고 편한 가치 쇼핑. 쇼핑몰 계정은 고객님의 핸드폰에만 암호화 저장되어 안전합니다. 쇼핑몰 연결
    다나와 홈

    커뮤니티 DPG

    전문가 리뷰

    • 게시판
    • 상품포럼
    • 뉴스
    • 동영상
    • 커뮤니티 공지사항
      소비자사용기
    • 특가몰
      자유게시판
    • 이달의 이벤트
      유머게시판
    • 당첨자발표게시판
      댕냥이게시판
    • 포인트 마켓
      Q&A게시판
    • 다나와 래플
      상품의견
    • 모두의 경매
      체험단
    • 오늘도 출석체크
      엄근진게시판
    • 입소문쇼핑
      쇼핑몰후기
    • 메인가자
      A/S후기
    • 당첨후기
    • 컴퓨터
      AI
    • 푸드
      취미
    • 최신뉴스
      일반뉴스
    • 기획뉴스
      신상품뉴스
    • 쇼핑뉴스
      테크팁
    • 다나와리포터
      구매가이드
    • 전문가리뷰
      인기순위가이드
    • 벤치마크
      차트뉴스
    • 가격동향
    • 고나고
      공구왕황부장
    • 노써치
      도레
    •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라이브렉스
    • 레고매니아
      맛상무
    • 모터피디
      무적풍화륜
    • 민티저
      보드나라
    • 여행매거진 트래비TV
      오토기어
    • 조코딩 JoCoding
      인프제 INFJ
    • 주연 ZUYONI
      진블로그
    • 집마 홀릭TV
      톡써니
    • 포마: 탈 것을 리뷰하는 남자
      쿨엔조이
    • 훅간다TV
      AI 매터스
    • Allthatboots TV
      DmonkTV
    • Hakbong Kwon
      Motorgraph
    • PC SNAP
      Producer dk
    • THE EDIT
      UnderKG
    • 다나와 공식채널
      다나와 2TV
    • 노리다
      샵다나와 조립갤러리
    >
    이전 글
    다음 글
    하이파이클럽

    4개의 얼굴을 가진 앰프에 반하다, Vitus Audio SM-103 Monoblock Power Amplifier

    2020.09.16. 13:14:39
    읽음1,350

    external_image


    라이프 스타일 오디오가 대세다. 맞는 말이다. 간편하고 스마트하게 스트리밍 음원을 즐길 수 있는 올인원 오디오가 하루가 멀다 하고 출시되고 있다. 소비자 취향도 변했다. 이제 오디오는 스트리밍 음원을 즐길 수 있어야 하고, TV와 연결해 유튜브와 넷플릭스를 보고 들을 수 있어야 한다. 음질만을 추구하는 마니악한 오디오의 세계는 거의 아사 직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리형 오디오의 존재 이유는 굳건하다. 조금이라도 더 나은 소리, 나만이 가질 수 있는 오디오 조합에 대한 갈증과 욕망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특히 ‘증폭'과 ‘출력'을 전담하는 파워앰프는 이러한 오디오 모듈러 시스템의 꽃이다. 웰메이드 파워앰프는 올인원 오디오는 감히 넘볼 수 없는 프리미어 리그이자 MLB이며 PGA다. 

    최근 하이파이클럽 시청실에서 만난 덴마크 비투스 오디오(Vitus Audio)의 모노블록 파워앰프 SM-103이 그 빛나는 증거였다. 됨됨이가 달랐고 소리가 달랐다. 소설 ‘설국열차' 첫 문장을 빌리자면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설국이었다'. 클래스 A 증폭으로 8옴에서 100W를 내는 이 파워앰프에 필자는 매료되고 말았다. 오디오에 대한 열정이 다시 뜨거워졌다.


    비투스 오디오와 시그니처 시리즈


    비투스는 1995년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한 엔지니어 한스 올레 비투스(Hans Ole Vitus)가 설립했다. 그는 그러면서 1998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덴마크/노르웨이 지사에 입사, 6년 동안 디지털 오디오의 거의 모든 것을 흡수했다. 회사 설립 후 8년이나 지난 2003년에서야 비투스의 첫 제품들(배터리 전원을 쓴 포노스테이지 RP-100, 라인 프리앰프 RL-100, 모노블록 파워앰프 SM-100)이 나온 이유다. 

    그리고 2020년 현재, 비투스는 하이엔드 스피커들이 자신들의 쇼룸에서 앞다퉈 매칭하는 앰프 메이커로 자리 잡았다. 지난 2018년에 직접 들어본 이들의 막내 RL-102 프리와 RS-101 스테레오 파워 조합은 황홀하기까지 했다. 불질이 필요할 때, 직화가 필요할 때, 백숙처럼 삶아야 할 때를 모두 정확히 알아서 상을 차리는 일류 셰프 같았다.


    비투스 오디오의 최상위 라인업은 모델 이름이 MP로 시작하는 마스터피스(Masterpiece), 중견 라인업은 S로 시작하는 시그니처(Signature), 엔트리 라인업은 R로 시작하는 레퍼런스(Reference)다. 그리고 프리앰프에는 L, 스테레오 앰프에는 S, 모노블록 앰프에는 M, 인티앰프에는 I, 포노스테이지에는 P가 붙는다. 이번 시청기인 SM-103은 시그니처 라인의 플래그십 모노블록 파워앰프다. 

    다음은 필자가 파악한 비투스 오디오 주요 제품 출시 히스토리다. 

    2003 : RP-100 | 포노스테이지
    2003 : RL-100 | 프리앰프
    2003 : SM-100 | 모노 파워앰프(클래스A 100W)
    2006 : SL-100 | 프리앰프
    2007 : SCD-010 | CD플레이어(비투스 최초의 디지털 소스기기)
    2007 : SS-010 | 인티앰프(클래스A 25W)
    2007 : SS-101 | 스테레오 파워앰프(클래스AB 100W, 클래스A 50W)
    2007 : SM-101 | 모노 파워앰프(클래스AB 100W, 클래스A 100W)
    2008 : SM-010 | 모노 파워앰프(클래스AB 100W, 클래스A 40W)
    2010 : SIA-025 | 인티앰프(클래스AB 150W, 클래스A 25W)
    2010 : SL-102 | 프리앰프
    2010 : MP-T201 | CD트랜스포트
    2010 : MP-P201 | 포노스테이지
    2010 : RI-100 | 인티앰프(클래스AB 300W/600W)
    2012 : MP-D201 | DAC
    2012 : MP-L201 | 프리앰프
    2012 : MP-M201 | 모노 파워앰프(클래스AB 500W, 클래스A 100W)
    2013 : SM-102 | 모노 파워앰프(클래스AB 150W, 클래스A 100W)
    2013 : SS-102 | 스테레오 파워앰프(클래스AB 100W, 클래스A 50W)
    2013 : SCD-025 | CD플레이어
    2014 : RD-100 | DAC
    2014 : RS-100 | 스테레오 파워앰프(클래스AB 300W/600W)
    2014 : SM-011 | 모노 파워앰프(클래스AB 200W/400W, 클래스A 40W/80W)
    2015 : RCD-101 | CD플레이어/DAC
    2015 : SS-025 | 스테레오 파워앰프(클래스AB 300W/600W, 클래스A 15W/25W)
    2016 : SCD-025 mkII | CD플레이어
    2016 : SS-103 | 스테레오 파워앰프(클래스AB 150W/300W, 클래스A 50W/100W)
    2016 : MP-S201 | 스테레오 파워앰프(클래스AB 700W/1400W, 클래스A 25W/50W) 
    2017 : SM-103 | 모노 파워앰프(클래스AB 150W/300W, 클래스A 100W/190W) 
    2017 : MP-L201 mkII | 프리앰프
    2017 : MP-P201 mkII | 포노스테이지
    2017 : MP-T201 mkII | CD트랜스포트
    2017 : SIA-025 mkII | 인티앰프(클래스AB 150W, 클래스A 25W)
    2017 : SP-103 | 포노스테이지
    2017 : SL-103 | 프리앰프
    2018 : RP-102 | 포노스테이지
    2018 : RL-102 | 프리앰프
    2018 : RD-101 | DAC
    2018 : RI-101 | 인티앰프(클래스AB 300W/600W) 
    2018 : RS-101 | 스테레오 파워앰프(클래스AB 300W/600W)
    2018 : MP-I201 | 인티앰프(클래스AB 700W/1400W, 클래스A 25W/50W)
    2019 : SIA-030 | 인티앰프(클래스AB 200W, 클래스A 30W)

    이중 파워앰프와 인티앰프만 살펴보면, 마스터피스와 시그니처 시리즈는 출력단의 증폭 방식을 클래스 AB와 클래스 A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점이 가장 눈길을 끈다. 이에 비해 레퍼런스 시리즈는 클래스 AB로만 작동된다. 2003년에 나온 SM-100 모노 파워앰프가 클래스 A 증폭으로 100W, 2007년에 나온 SS-010 인티앰프가 클래스 A 증폭으로 25W를 냈던 만큼 클래스 A 증폭에 대한 비투스 오디오의 무한 신뢰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고급 기종일수록 클래스 A 출력이 높아지는 점과 8옴과 4옴 부하에서 출력이 정확히 2배로 늘어나는 점도 확인된다. 이는 그만큼 전원부 설계가 잘 돼 있다는 증거이자, 출력단 설계와 트랜지스터 능력(컬렉터 손실)에 비해 출력값을 지극히 보수적으로 잡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현재 비투스 시그니처 라인은 이렇게 짜여있다. 

    CD플레이어/DAC : SCD-025 mkII
    포노스테이지 : SP-103
    프리앰프 : SL-103
    스테레오 파워앰프 : SS-025, SS-103
    모노블록 파워앰프 : SM-011, SM-103 
    인티앰프 : SIA-025 mkII, SIA-030


    따라서 비투스의 모노블록 파워앰프로서 SM-103의 계보는 2003년에 출시된 모노블록 SM-100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2007년에 SM-101, 2013년에 SM-102, 2017년에 SM-103이 나왔다. 한편 시그니처 라인의 또 다른 모노블록 파워앰프 SM-011은 2008년에 출시된 SM-010이 원조. 그런데 SM-010은 2007년에 나온 스테레오 파워앰프 SS-010을 모노블록으로 만든 것인 만큼, SM-103과 SM-011은 출발부터가 다르다.


    SM-103 외관

    SM-103은 크고 무겁다. 가로폭이 435mm, 높이가 310mm, 안길이가 610mm나 된다. 무게는 75kg. 이처럼 한 덩치 하는 SM-103이 시청실에 버티고 있는 모습에서는 카리스마가 철철 넘쳐난다. 더욱이 매끈한 알루미늄 섀시는 미니멀리즘 조각을 보는 듯 군더더기가 일절 없다. 세로 방향의 검은 띠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나눈 전면 패널은 비투스 전체 라인업을 관통하는 디자인 시그니처다. 


    양 측면의 촘촘한 검은색 방열핀과 상판의 대형 통풍구 디자인도 시선을 잡아끈다. 일단 방열핀이 상하판 경계선을 넘지 않아 혹시라도 모를 안전사고에 대비했고 방열핀 자체도 끝이 부드럽게 마감됐다. 상판 가운데에는 통풍구를 회사 로고 ‘VA’로 디자인한 제작자의 센스가 돋보인다. 양 사이드의 4개 직사각형을 통해 방열핀을 노출시킨 점도 독특하다. 


    뒷면을 보면 밸런스(XLR)와 언밸런스(RCA) 아날로그 입력단자가 1개씩 마련됐다. 입력 감도는 밸런스가 0.7V RMS, 언밸런스가 1.4V RMS이며, 입력 임피던스는 두 단자 모두 10k옴을 보인다. 앰프 스피드를 알 수 있는 슬루레이트는 35V/us, 앰프의 광대역 특성을 알 수 있는 주파수 응답 특성은 800kHz까지 플랫하게 반응한다. 스피커케이블 커넥터는 2조가 마련돼 바이와이어링이 가능하다.


    SM-103 설계 디자인 1. 클래스 A vs 클래스 AB


    SM-103은 출력단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를 쓴 솔리드 스테이트 파워앰프다. 또한 풀 밸런스 앰프인데 이는 인터넷에 공개된 내부 사진을 보면 금세 확인할 수 있다. 내부는 1, 2층으로 구획되었으며, 상판을 열면 등장하는 2층에는 UI 코어 전원 트랜스와 4개의 대형 평활 커패시터로 이뤄진 전원부, 1층에는 입력 및 전압 증폭단, 출력단이 좌우 대칭 형태로 마련됐다. 

    여기서 잠깐. 비투스 오디오는 너도나도 다 채택하는 토로이달 트랜스 대신 더 크고 비싼 UI 전원 트랜스를 썼을까. 예전 한스 올레 비투스가 인터뷰한 내용을 보면 그 답이 명확히 나온다. '전압변동률이 더 적기 때문'이다. "토로이달 트랜스는 클로즈 루프(close loop)와 오픈 루프(open loop) 사이의 전압변동률이 12~15%에 달한다. 이에 비해 비투스가 채택한 UI 트랜스는 1.5%에 그친다. 토로이달은 클래스 D 앰프, UI 트랜스는 클래스 A 앰프에 비유할 수 있다." 참고로 UI 트랜스는 마스터피스와 시그니처 시리즈에, 이보다 작고 싼 EI 트랜스는 레퍼런스 시리즈에 투입된다.  

    바이폴라 출력 트랜지스터는 NPN, PNP 4페어가 양 사이드 방열핀에 각각 장착됐다(총 8페어). 밸런스 앰프이기 때문에 이들 4페어가 각각 플러스(+) 신호와 마이너스(-) 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한다. 정확히 어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투입됐는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스테레오 버전인 SS-103에는 산켄 2SC2922(NPN)와 2SA1216(PNP) 트랜지스터를 쓰고 있다. 출력을 가늠할 수 있는 컬렉터 손실이 200W에 달하는 대전류 트랜지스터다. 

    SM-103이 남들과 다른 것은 증폭 방식과 이에 따른 출력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다는 것. 클래스 A 증폭을 선택하면 8옴에서 100W, 클래스 AB 증폭을 선택하면 8옴에서 150W를 낸다. 전면 패널의 가운데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왼쪽 버튼을 몇 차례 눌러 선택하면 된다. 4옴 부하에서 각각 어느 정도 출력인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 기능이 뭐가 새로운 것인가?’ 싶으시겠지만, 엄연히 큰 차이가 있다. 통상 클래스 AB 앰프들도 일정 출력 구간에서는 클래스 A로 작동하지만, 비투스 앰프는 아예 처음부터 클래스 A 작동 범위를 100W로 넓혀 놓았고 100W 이후에는 클래스 AB로 넘어가는 점이 다르다. 무엇보다, 출력단이 싱글엔디드가 아니라 푸시풀 구성인 파워앰프에서 100W까지 클래스 A로 작동한다는 사실 자체가 놀랍다. 


    SM-103 설계 디자인 2. 클래식 모드 vs 록 모드


    SM-103의 히든카드는 출력 모드를 클래식(Classic)과 록(Rock) 모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는 것. 이 역시 전면 패널 왼쪽 버튼을 몇 차례 눌러 선택하면 되는데, 직접 테스트를 해보니 두 모드의 소리 성향이 크게 달랐다. 클래식 모드가 정전압 설계가 잘 이뤄진 300B 싱글 앰프 소리, 록 모드가 전형적인 푸시풀 KT150 앰프 소리를 들려줬다. 클래식 모드는 정갈하고 섬세했으며, 록 모드는 힘이 있고 음들이 포워딩해왔다.   

    이처럼 사운드 모드를 클래식과 록 모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점이 2013년에 나온 SM-102와 결정적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비투스 오디오에서도 이 점을 SM-103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고 있다(Updated output satage to accomodate sound modes). 사운드 모드 선택은 2016년에 나온 마스터피스 시리즈의 MP-S201 스테레오 파워앰프에 처음 채택돼, 이후에 나온 SM-103을 비롯해 2019년에 나온 인티앰프 SIA-030 등 시그니처 모델들에도 이식됐다.  

    그러면 어떤 설계를 통해 클래식과 록 모드가 작동되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출력단 회로 설계 자체가 바뀐다. 클래식 모드는 출력(전류 증폭) 과정에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페어만 이용하고, 록 모드는 투입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페어를 모두 이용한다. 채널당 6페어가 투입된 인티앰프 SIA-030의 경우, 클래식 모드 시 밸런스 각 신호당 1페어, 록 모드 시 3페어 모두를 전류 증폭에 동원한다. 따라서 SM-103은 클래식 모드 시 밸런스 각 신호당 1페어, 록 모드 시 4페어 모두를 동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클래식 모드 시 나머지 트랜지스터들이 그냥 노는 것은 아니다. 전류 증폭에 참여한 트랜지스터 한 쌍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도록 해서 신호 왜곡을 줄이고 증폭률을 높이는 ‘커런트 소스'(current source) 역할을 한다. 한마디로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액티브 정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것. 통상 정전류 회로는 저항을 이용한 패시브 타입이지만, 전압 변동이 있을 경우 트랜지스터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를 흐르는 전류량이 변동하는 단점이 있다(I = V/R). 


    시청


    하이파이클럽 제1시청실에서 진행된 시청에는 소스기기로 에어의 QX-5 Twenty, 프리앰프로 비투스 오디오의 SL-103, 스피커로 윌슨오디오의 Sophia 3를 동원했다. 음원은 룬(Roon)을 통해 코부즈(Qobuz) 스트리밍 음원을 주로 활용했다. SM-103이 모두 4개의 얼굴을 가진 앰프인 만큼, 동일한 곡을 클래스 A, 클래스 AB, 클래식 모드, 록 모드로 바꿔가며 음질 변화를 함께 추적했다. 사운드 모드를 바꾸면 20초 후에 앰프 작동이 시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격 청음에 앞서 SM-103의 소리 성향을 알기 위해 스탠리 클락의 'I'm Home Africa'를 부담 없이 들어봤다. 디폴트는 클래스 AB에 클래식 모드. 처음부터 내뻗는 강력한 훅과 음의 탄력감이 인상적이며, 머뭇거림이나 주저함 없이 스피커를 드라이빙하고 있다. 이어 클래스 A로 바꿔보면, 강력함은 줄어든 대신 재생음 자체가 차분해진다. 개인적으로 이 곡은 클래스 AB가 더 나았다. 하지만 다이애나 크롤의 'I've Got You Under My Skin'은 클래식 모드, 클래스 A 때가 좋았다. 플루트 소리가 이처럼 폭신폭신, 야들야들하게 들린 적이 있었나 싶다. 어쿠스틱 기타의 고음도 여지없이 생생하게 들렸다.


    Andris Nelsons, Boston Symphony Orchestra
    Shostakovich Symphony No.5
    Shostakovich Under Stalin's Shadow)

    우선 클래식 모드, 클래스 A로 들어봤다. 전체적으로 선명하며 투명한 음이다. 300B 싱글 구동의 느낌. 배경은 정숙하고 깨끗하며, 소릿결은 매끄럽고 미끈하다. 디테일도 잘 살아난다. 볼륨을 더 높여 들으면 '갑자기'라고 할 만큼 음색이 진해지고 밀도감과 음수가 늘어난다. 볼륨이 낮았을 때 얼핏 느꼈던 고음의 거친 금속성 느낌이 싹 가신다. 이어 클래스 AB로 바꿔보면, 음들이 기립하고 곡의 기세가 더 살아난다. 음의 형체가 분명하고 볼륨감도 훨씬 낫다. 무대를 좀 더 넓게 쓰며 특히 관악 파트가 굵어진다. 대신 무대가 조금 산만해진 느낌도 있다. 

    록 모드로 바꿔 클래스 A로 들었다. 비로소 필자의 귀에 익숙한 쇼스타코비치 5번 4악장이 나온다. 클래식 모드에 비해 무게중심이 내려갔고 음들 자체도 단단해졌다. 하지만 음의 윤곽선에 약간의 색 번짐이 있다. 진공관에 비유하자면 300B에서 845로 바꾼 듯하다. 끝으로 록 모드, 클래스 AB로 들어보면, 음이 좀 더 카랑카랑하고 맑아지며 푸시풀 솔리드 앰프 본연의 색깔이 나왔다. 스텝도 경쾌하고 기세도 좋아졌다. KT150을 푸시풀로 구동한 그런 음과 무대다. 최소한 이 곡에서만큼은 록 모드, 클래스 AB 선택이 가장 만족스러웠다.    

    Werner Thomas, Munchener Kammerorchester
    Les Larmes Du Jacqueline
    Harmonies Du Soir

    동일한 상태(록 모드, 클래스 AB)에서 '재클린의 눈물'을 들어봤다. 모드와 증폭을 다 떠나 SM-103의 사운드 시그니처에만 집중해보면, 음이 '곱고 굵으며 맑고 투명하다'라는 것이었다. 특히 필자 앞에 펼쳐진 사운드스테이지에 빈틈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 모습이 인상적. 메인 악기 뒤에서 펼쳐지는 반주 음들이 사각사각 잘 들리는 것도 이 앰프의 레벨을 그대로 입증해 준다. 록 모드는 놔두고 클래스 A로만 바꿔보면, 확실히 에너지감은 약해지지만 무게중심이 밑으로 내려가고 음이 좀 더 고와진다. 

    클래식 모드, 클래스 A로 들어보면(모드를 바꾸면 일단 클래스 AB가 된다. 그래서 다시 클래스 A를 선택해야 했다), 무대가 기분 좋게 뒤로 물러서고 디테일이 늘어나며 뒤에 깔리는 악기들의 소리가 더 잘 들린다. 에너지감은 더욱 빠지지만 첼로 연주음의 호소력과 처연함은 결과적으로 최고의 선택이 되었다. 저 큰 덩치의 앰프로부터 이렇게나 여리고 감성이 풍부한 음이 나올 수 있는지 깜짝 놀랐다. 클래식 모드, 클래스 AB로 바꾸면 음 자체는 두터워지지만 윤곽선이 약간 번지고 흐릿해진다. 정말 취미성이 대단한 앰프다.  

    The Doors - Riders On The Storm
    L.A. Woman

    이 상태(클래식 모드, 클래스 AB)에서 록 장르를 연이어 들어봤다. '라이더스 온 더 스톰'은 무대 왼쪽에 등장한 건반 사운드에 소름이 돋는다. 빗소리, 천둥소리도 그랬지만 악기 재생음의 리얼리즘이 장난이 아니다. 확실히 클래식 모드가 소리가 맑고 투명하다. 클래스 AB는 여기에 에너지를 보탠다. SM-103이 기본적으로 맑고 투명하며 음수가 많고, 섬세하고 결이 고운 앰프인데, 4가지 모드와 증폭은 룸 환경이나 곡 장르, 개인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될 것이다. 클래스 A로 바꾸면 악기들이 하나하나 더 잘 들리고 앞뒤 거리도 늘어나는 등 소위 앰프의 '표현력'과 '몰입감'이 늘어난다. 록 모드, 클래스 A에서는 무대가 3D로 변모하고 재생음에 활기와 생기가 돌아 개인적으로 가장 만족스럽게 들었다.  

    Rage Against The Machine - Take The Power Back
    Rage Against The Machine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의 'Take The Power Back' 역시 록 모드, 클래스 A 선택이 가장 좋았다. 디테일이 4가지 선택지 중에서 가장 잘 살아났고 무엇보다 사람이 노래를 부른다는 느낌이 가장 강했다. 하지만 드럼의 돌덩이 느낌은 록 모드, 클래스 AB, 전반적인 해상력은 클래식 모드, 클래스 A가 나았다. 이에 비해 클래식 모드, 클래스 AB는 록 모드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묵직한 맛은 상대적으로 덜했다.  어쨌든 곡을 들을수록 SM-103의 사운드 성향은 '어느 경우에도 야위지 않는 에너지감과 빠지지 않는 해상력'임이 분명해진다. 어느 선택, 어떤 곡을 들어도 또렷한 음상과 근육질의 파워감이 이 앰프의 대표 시그니처라 할 만하다. 


    총평

    오디오 애호가 입장에서 올인원 앰프의 가장 큰 취약점은 취미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능과 성능, 사운드가 이미 완성된 상태라서 유저가 어디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는 것이다. 싫증이 나거나 뭔가를 보태거나 빼고 싶다면, 통째로 바꿔야 한다. 또한 내 시스템과 다른 시스템의 차이가 결국 스피커를 통해서만 판가름 난다는 사실도 오디오 애호가의 일반적인 생리와는 맞지 않는다.

    이런 맥락에서 SM-103은 처음 분리형 앰프를 집에 들여다 놓았을 때의 설렘과 즐거움, 포만감을 다시 상기시키기에 충분했다. 클래스 AB 150W 출력은 윌슨오디오 소피아3 정도는 너끈하게 구동했고, 클래스 A 100W 출력은 왜 비투스 오디오가 이 선택지를 마련했는지 그 진하고 섬세하며 매끄러운 소리로 입증했다. 클래식 모드는 보다 깨끗하고 정갈한 소리를, 록 모드는 보다 탁 트이고 시원시원한 무대를 선사했다. 각 스피커를 따로 울리는 모노블록의 통쾌함은 말할 필요조차 없다. 

    만약 SM-103을 최근에 들어본 매지코 A5나 M2, YG 어쿠스틱스의 Hailey 2.2, 타이달의 Contriva G2 등에 물리면 어떤 소리를 들려줄까. 또 소스기기를 바꿔 LP를 걸어보거나, 브랜드를 바꿔 다른 프리앰프와 매칭을 해본다면? 분명한 것은 SM-103이라면 이 모든 변수를 듬직하게 받아줄 것이라는 믿음이다. 그동안 꾹꾹 눌러 담았던 분리형 오디오 혹은 시스템 업그레이드에 대한 욕망이 다시금 꿈틀거린다. 

    by 김편 오디오 칼럼니스트

    Specifications
    INPUT
    Available

    XLR analog: 1

    RCA analog: 1

    Sensitivity

    XLR analog: 0,7 VRMS

    RCA analog: 1,4 VRMS

    Impedance

    XLR analog: 10KΩ

    RCA analog: 10KΩ

    Slew rate

    XLR analog: 35V/ μs 

    RCA analog: 35V/ μs

    OUTPUT
    Available

    2x Balanced sets in parallel speaker outputs

    Impedance

    Speaker L: 75mΩ

    Speaker R: 75mΩ

    Power RMS (8ohm) 100W Class A / 150W Class AB
    Frequency response

    Speaker L: +800kHz

    Speaker R: +800kHz

    Signal to noise ratio

    Speaker L: >110dB

    Speaker R: >110dB

    THD + noise

    Speaker L: > 0,01%

    Speaker R: > 0,01%

    POWER CONSUMPTION
    Standby

    - EACH: <1W

    Classic: -

    Rock: -

    Class AB

    - EACH: -

    Classic: 75W

    Rock: 100W

    Class A

    - EACH: -

    Classic: 295W

    Rock: 320W

    DIMENSIONS - EACH
    Hight 310 mm
    Width 435 mm
    Depth 610 mm
    Weight 75 Kg




    <저작권자 ⓒ 하이파이클럽(http://www.hificlu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태그
    Vitus Audio SM-103 Monoblock Power Amplifier
    안내 ?

    말 많은 뉴스

    • 1

      11달러로 평생 공짜로 쓰고 싶은 전자제품 브랜드 고르기

      댓글24
      11달러로 평생 공짜로 쓰고 싶은 전자제품 브랜드 고르기
    • 2

      갤럭시 언팩 2025 총정리 | Z 폴드 7, Z 플립 7, 워치 8 시리즈

      댓글14
      갤럭시 언팩 2025 총정리 | Z 폴드 7, Z 플립 7, 워치 8 시리즈
    • 3

      전 세계 골퍼가 열광한 그 게임, 드디어 한국 상륙!

      댓글13
      전 세계 골퍼가 열광한 그 게임, 드디어 한국 상륙!
    • 4

      내 선택은 삼성? 애플? 갤럭시탭S10+ VS 아이패드 에어 M3 비교

      댓글11
      내 선택은 삼성? 애플? 갤럭시탭S10+ VS 아이패드 에어 M3 비교
    • 5

      디자인만 보고 샀는데 반전이..?ㄷㄷ 신박한 투명 무선헤드폰 후기!

      댓글10
      디자인만 보고 샀는데 반전이..?ㄷㄷ 신박한 투명 무선헤드폰 후기!

    전문가 리뷰 최신 글

    이전 페이지 1/10 다음 페이지
    • [보드게임] 수다 떨며 하면 더 맛있다, 던전밥

      게임메카 14:36:19
      읽음 19
    • [시승기] KGM 액티언 하이브리드 '충전없는 전기차, 놀라운 주행감'

      오토헤럴드 13:46:03
      읽음 22
    • 200Hz+0.3ms 이게 30만 원대라고? 진정한 갓성비 게이밍 모니터 [프리미엄 리포터V]

      다나와 13:28:37
      읽음 1,424
    • 부담없는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컴팩트 고성능 노트북, ACER 아스파이어 GO AG14-71M-54YH

      노트포럼 13:11:20
      읽음 29
    • AMD 라이젠 AI 품은 첫 ‘그램15’, 초경량 AI 노트북 시장에 새 지평 연다

      뉴스탭 10:22:37
      읽음 35
    • 갤럭시 Z 폴드 역대 모델 총정리

      다나와 09:49:58
      읽음 3,675
    • 초가성비 모니터 암! 카멜 모니터암 3종 살펴 보겠습니다.

      무적풍화륜 09:47:51
      읽음 1,067
    • 이번 레이저 키시는 13인치 태블릿까지 장착 됩니다! 사이즈 별로 선택하는 3가지의 KISHI V3 컨트롤러!

      무적풍화륜 09:30:06
      읽음 172
    • 세계에서 가장 디테일하게 물건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는?

      다나와 25.07.11.
      읽음 42,966 공감 7
    • AI로 완전히 달라진 가정용 CCTV IP카메라, 아이피타임 C400G·C500G

      베타뉴스 25.07.11.
      읽음 137 공감 6
    • 진짜 가성비 QHD 고해상도 모니터! [프리미엄 리포터V]

      다나와 25.07.11.
      읽음 7,238 공감 7 댓글 1
    • 현대차, 고성능 전기 세단 아이오닉 6 N 공개..."무엇도 따라오지 못할 차"

      오토헤럴드 25.07.11.
      읽음 1,296 공감 12 댓글 7
    • [시승기] 볼보 XC90 부분변경, 하이라이트는 빛의 속도로 빨라진 '이 것'

      오토헤럴드 25.07.11.
      읽음 175 공감 3
    • 미니멀 데스크테리어 완성의 중심, 앱코 UD20M 미니웨일 듀얼 챔버 미니 케이스

      케이벤치 25.07.11.
      읽음 127 공감 3
    • 힘들게 콘크리트 뚫던 시절은 끝났습니다!! 최종 진화해버린 요즘 건식 코어드릴 클라쓰?! 【Ep.482】

      공구왕황부장 25.07.11.
      읽음 7,484 공감 3
    • 이러다가 변신도 하는거 아니야? 목, 허리 다 잡아주는 제닉스 아레나 아크체어 6D

      무적풍화륜 25.07.11.
      읽음 10,661 공감 2
    • 갤럭시 Z 플립 역대 모델 총정리

      다나와 25.07.10.
      읽음 20,257 공감 14 댓글 3
    • 작지만 알찬 가성비 메인보드, ASUS PRIME H810M-A 코잇

      노트포럼 25.07.10.
      읽음 360 공감 4
    • 게임하기 딱 좋은 라이젠5 7500F 컴퓨터 [2025년 7월 이달의 추천 데스크톱PC]

      다나와 25.07.10.
      읽음 16,500 공감 7 댓글 1
    • 27인치 커브드 모니터가 15만원대? [프리미엄 리포터V]

      다나와 25.07.10.
      읽음 1,577 공감 6 댓글 1
    • [시승기] '세그먼트를 뛰어넘은 프리미엄 콤팩트' BMW 뉴 1시리즈 

      오토헤럴드 25.07.10.
      읽음 100 공감 2
    • 완전 게임기로 변신! Y700 시리즈 전용 컨트롤러! 리전 게이밍 컨트롤러 G9

      무적풍화륜 25.07.10.
      읽음 3,334 공감 4 댓글 1
    • 갤럭시 Z 플립 7 시리즈 비교 및 변화점 총정리 (최초 DeX 지원, FE 모델 출시)

      고나고 25.07.10.
      읽음 10,084 공감 4 댓글 2
    • 갤럭시 Z 폴드 7 미리 써본 후기 & 주요 변화점 5가지

      고나고 25.07.10.
      읽음 706 공감 3 댓글 1
    • 미들레인지 게이밍 그래픽카드, ASRock 라데온 RX 9070 XT 스틸레전드 D6 16GB

      브레인박스 25.07.09.
      읽음 211 공감 7 댓글 2
    • HDMI 다중 모니터 환경을 위한, 갤럭시 GALAZ 지포스 RTX 5050 BLACK OC D6 8GB DUAL HDMI

      브레인박스 25.07.09.
      읽음 1,518 공감 12 댓글 2
    • 지포스 RTX 50 시리즈 중에 막내 그래픽카드,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 이엠텍

      브레인박스 25.07.09.
      읽음 248 공감 10
    • 베이어다이나믹 DT770 PRO X 밀폐형 헤드폰 측정

      0db 25.07.09.
      읽음 142 공감 5
    • 베이어다이나믹 DT990 PRO X 오픈형 헤드폰 측정

      0db 25.07.09.
      읽음 146 공감 5
    • 5만원대 게이밍을 빙자한 레퍼런스 이어폰 + USB 구즈넥 마이크까지? | EPZ G20

      Producer dk 25.07.09.
      읽음 7,774 공감 5 댓글 1
    • 2세대만의 엔트리 세대 교체,기가바이트 지포스 RTX 5050 Gaming OC 제이씨현

      보드나라 25.07.09.
      읽음 105 공감 3
    • 집에서 만난 나만의 오아시스

      마시즘 25.07.09.
      읽음 90 공감 3
    • 미생물 음식물처리기 이렇게 무식하고 정직하게 비교하는 사람 있을까요? (린클, 이롭, 지엘플러스, 쿠쿠, 스마트웰컴)

      노써치 25.07.09.
      읽음 7,293 공감 3
    • 20분 만에 요아정 가능하네;; 6in1 아이스크림 기계 사봤음... (닌자 아님)

      THE EDIT 25.07.09.
      읽음 7,937 공감 3
    • PCCOOLER CPS C3 T700 ARGB : 깔끔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6만 원대 어항 케이스

      쿨엔조이 25.07.09.
      읽음 102 공감 3
    • GIGABYTE X870 AORUS STEALTH ICE 제이씨현: 깔끔함의 대명사 화이트 메인보드를 스텔스로 더 깔끔하게

      쿨엔조이 25.07.09.
      읽음 109 공감 3
    • 알파스캔 AOC 27G42 : 가격 부담을 줄이고, 성능은 유지. 최적의 FHD 게이밍 모니터

      쿨엔조이 25.07.09.
      읽음 103 공감 3
    • GAMDIAS CHIONE P5-360 :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겜디아스 수랭 쿨러

      쿨엔조이 25.07.09.
      읽음 1,703 공감 12 댓글 2
    • [시승기] 푸조 3세대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 '키포인트는 적극적 회생제동'

      오토헤럴드 25.07.09.
      읽음 1,614 공감 19 댓글 4
    • tomtoc 스위치2용 케이스, 트래블백

      무적풍화륜 25.07.09.
      읽음 2,333 공감 5
    • 프메: 예언의 아이들, 앞서 해보기 아닌 ’데모 해보기‘

      게임메카 25.07.09.
      읽음 101 공감 3
    • 전 세계 골퍼가 열광한 그 게임, 드디어 한국 상륙!

      다나와 25.07.09.
      읽음 22,788 공감 40 댓글 13
    • 265KF+RTX 5080 데스크톱 PC, 과연 게임 성능은? [프리미엄 리포터V]

      다나와 25.07.09.
      읽음 15,899 공감 4
    • 요즘에 할 게임이 없다? 닌자 가이덴 레이지바운드 리뷰

      집마 홀릭TV 25.07.09.
      읽음 6,729 공감 3
    • 고급진 외형~ 가성비로 무장하다. SAPPHIRE 라데온 RX 9060 XT NITRO+ OC D6 16GB 그래픽카드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25.07.09.
      읽음 109 공감 5 댓글 1
    • 전문작업에 특화된 4K 고성능 노트북, ASUS ProArt P16 H7606WP-ME042W

      노트포럼 25.07.09.
      읽음 243 공감 3
    • [리뷰] 메카 게임의 장단점을 섞은 섞어찌개 ‘메카 브레이크’

      게임동아 25.07.08.
      읽음 104 공감 5 댓글 1
    • 18인치 쇼크! 이쯤되면 걸어다니는 데스크톱PC 아님? MSI 크로스헤어 18 HX AI A2XWGKG-U9 QHD+[노리다]

      다나와 25.07.08.
      읽음 93,679 공감 6 댓글 1
    • BTF 시대, 진짜는 지금부터! ASUS TUF Gaming B850-BTF WIFI W

      케이벤치 25.07.08.
      읽음 198 공감 5 댓글 2
    • 기발한 아이디어감성랜턴 3가지!!(ft.버티탭) 【Ep.481】

      공구왕황부장 25.07.08.
      읽음 4,905 공감 2
    • 다나와 리포터 서비스 잠정 중단 안내

    • 점심메뉴 공유하고 경품 받자! 오점소 챌린지

    • 특가몰과 포인트마켓이 잠시 쉬어갑니다.

    스폰서 PICK

    이전 페이지 3/5 다음 페이지
    • 엔티스 EG 1000W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화이트

      엔티스 EG 1000W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화이트

      엔티스
    • 알파스캔 AOC Q27G4/D 게이밍 FAST IPS 200 QHD HDR 400 멀티스탠드 무결점

      알파스캔 AOC Q27G4/D 게이밍 FAST IPS 200 QHD HDR 400 멀티스탠드 무결점

      알파스캔
    • Antec FLUX PRO MESH(블랙)

      Antec FLUX PRO MESH(블랙)

      Antec
    • 잘만 ALPHA II DS A36(블랙)

      잘만 ALPHA II DS A36(블랙)

      잘만
    • 앱코 KN35BT TKL DRT 8K 염료승화 블루투스 유무선 무접점(서울)

      앱코 KN35BT TKL DRT 8K 염료승화 블루투스 유무선 무접점(서울)

      앱코
    • 1stPlayer Mi5(블랙)

      1stPlayer Mi5(블랙)

      1stPlayer
    • 인텔 코어 울트라7 시리즈2 265K (애로우레이크)(정품)

      인텔 코어 울트라7 시리즈2 265K (애로우레이크)(정품)

      인텔
    • darkFlash DY470 ARGB 강화유리(화이트)

      darkFlash DY470 ARGB 강화유리(화이트)

      darkFlash
    •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700W 80PLUS브론즈 ATX3.1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700W 80PLUS브론즈 ATX3.1

      마이크로닉스
    • AMD 라이젠5-6세대 9600X (그래니트 릿지)(멀티팩 정품)

      AMD 라이젠5-6세대 9600X (그래니트 릿지)(멀티팩 정품)

      AMD
    • 잘만
    • 알파스캔 (총 6개월 진행 : 4/8-10/8)
    • 다크플래쉬
    PC버전 로그인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센터
    (주) 커넥트웨이브
    대표:
    김정남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98, 17층(가산동, 대륭포스트타워6차) / 우편번호: 08510
    • 사업자번호:
      117-81-40065
    • 통신판매업:
      제2004-서울양천-00918호
    • 부가통신사업:
      제003081호
    • 고객센터:
      1688-2470 (유료)
    • 이메일:
      cs@cowave.kr
    • 호스팅 제공자:
      (주)커넥트웨이브
    • 사업자 정보확인
    • 이용약관
    • 책임의 한계
    • 청소년 보호정책
    뒤로
    새로고침 맨위로 이동
    안내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포인트 안내
    목록
    공감 1
    비공감
    댓글
    공유

    공유받은 친구가 활동하면 포인트를!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 카카오톡
    • 라인
    • 페이스북
    • X
    • 밴드
    https://dpg.danawa.com/mobile/news/view?boardSeq=62&listSeq=4413603&past=Y 복사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