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크기, 더 정확히 말하면 TV의 화면이 크면 클수록 좋다는 말은 이제 경험 수준이 아니라 진리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TV를 구입하는 모든 사람들이 무조건 100인치 짜리 TV를 사진 않습니다. 또 그러지 못하기도 합니다. 거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큰 TV를 놓을 공간이 확보되지 않거나, 너무 큰 크기는 오히려 부담된다고 생각하거나, TV 화면이 커질수록 급격하게 뛰어 오르는 가격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가장 인기가 높은 TV는 가장 큰 게 아니라, 65인치 정도로 타협을 한 제품들입니다. 그러나 언제까지고 65인치가 지금의 자리를 지키라는 법은 없습니다. 65인치가 처음 나왔을 때만 하더라도 저렇게 큰 걸 집에 놓고 쓰냐는 의견들이 절대적으로 많았는데, 이제는 아무나 보는 지극히 평범한 크기의 TV가 됐으니까요.
그래서 65인치보다 조금 더 큰 TV를 찾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65인치 현 상황에서는 가장 가성비가 좋은 크기라는 걸 알고 있으나, 너무 많이 보급되다보니 조금 식상하다는 느낌도 없잖아 있거든요. 흔한 65인치보다 조금 더 큰 화면이라면 업그레이드 체감이나 만족감을 모두 높여줄 수 있는 선택일 겁니다. 이런 수요에 가장 잘 어울리는 게 75인치 급의 TV입니다. 65인치보다는 분명 한 단계 더 큰 화면을 체험할 수 있지만, 가격이나 설치 공간 등의 현실적인 부담이 아주 많이 늘어나진 않거든요. 현아이디어는 이 75인치 크기의 TV 시장에 퀀텀 닷을 사용한 QLED TV면서, 한편으로는 최신 버전의 안드로이드 9.0와 크롬캐스트 등의 스마트 TV 기능으로 무장한 4K 해상도의 UHD TV인 UV752 QLED 크롬캐스트 안드로이드를 새로 추가했습니다.
제품명 | 현아이디어 UV752 QLED 크롬캐스트 안드로이드 |
패널 종류 | VA(RGB 픽셀 배열, QLED) |
화면 크기 | 75인치(189cm), 16:9 비율 |
가시 화면 영역 | 1660x934mm |
권장/최대 해상도 | 3840x2160, 4K UHD |
픽셀 피치 | 0.4324mm |
최대 표시 색상 | 10억 7천만 컬러, 10비트 |
최대 밝기 | 400cd/m2 |
동적 명암비 | 5,000,000:1 |
응답 속도 | 5ms |
시야각 | 상하좌우 178도 |
수직 주파수 | 60Hz |
프로세서 | Mstar 6886 |
TV 기능 | 풀 HD TV 튜너 내장 USB 미디어 플레이어(영상, 음악, 사진 재생) 4K 넷플릭스 인증, 4K 유튜브 지원 안드로이드 9.0, 구글 플레이스토어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크롬캐스트 HDR 10 지원 HDMI ARC/CEC, 클리어 쾀 USB 미디어 플레이어 돌비 디지털 인증 |
입/출력 단자 | HDMI 2.0 x3, HDMI 1.4 x1, USB 2.0 포트 x3, 광 출력, 3.5mm 오디오, RF TV 안테나, 랜 포트, 2.4GHz/5GHz 듀얼 밴드 무선 랜, 블루투스 5.0, 오디오 입력 |
소비 전력 | 대기 0.5W 최대 156.4W, 1등급 |
내장 스피커 | 10W x2 |
크기 | 스탠드 제외: 1673x959x76mm 스텐드 포함: 1673x1030x317mm |
무게 | 23kg |
베사 마운트 | 400x300mm |
참고 | |
가격 | 스탠드: 1,048,000원 벽걸이: 1,148,520원 (2021년 7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배송료 10만원) |
75인치 크기의 저렴한 QLED TV
현아이디어의 82인치 모델인 UV822 HDR은 120만 원 대, 65인치 QLED TV인 UV652 QLED 크롬캐스트 안드로이드는 63만 원입니다. 정확한 가격이야 수시로 진행되는 행사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 일단 글을 쓰는 시점에서 판매 중인 가격은 이렇습니다. 따라서 65인치 QLED와 82인치 사이에 위치하는 75인치 크기의 QLED TV를 100만 원 초반에 판매한다는 건 충분히 납득될만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또 비슷한 스펙을 지닌 국내 75인치 QLED TV와 비교해도 UV752 QLED는 거의 최저가에 근접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지요. 다른 그 무엇보다 가성비를 중시하는 사용자들이라면 65인치나 그 아래를 우선 고려해 봐야겠지만, 흔한 65인치보다 더 큰 화면을 쓰고 싶다면 현아이디어 UV752 QLED 크롬캐스트 안드로이드를 선택할 이유는 충분합니다.
TV의 외관과 뒷면 포트 구성은 다른 현아이디어 UV QLED 크롬캐스트 안드로이드와 같습니다. 화면을 감싼 얇은 베젤의 하우징, 정면 하단에는 현아이디어 로고가 있고, 왼쪽 아래에는 리모컨 수신부가 있습니다. 뒷면 중앙에 달린 베사 마운트의 규격은 400x300mm로, 75인치의 화면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비교적 큰 규격을 사용합니다. 입/출력 포트에는 HDMI 2.0 포트 3개가 있어 4K 해상도의 소스를 60Hz로 받아 표시하며, 구형 제품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HDMI 1.4 포트도 한 개 제공합니다. 안드로이드와 USB 미디어 재생 기능을 갖춘 TV 답게 USB 포트를 3개 넣어 별도의 스토리지나 입력 장치를 쓸 수 있습니다. 사운드의 경우 기본 장착된 10W 스피커 2개 외에도 3.5mm나 광 출력 단자를 활용해 사운드바를 연결 가능합니다.
75인치, 189cm의 16:9 비율 화면. 가시 화면 영역은 1660x934mm
화면 크기에 비해 너무나도 작은 베젤.
좌측 하단의 리모컨 수신부.
하단 중앙의 현아이디어 로고.
23kg의 TV를 안정적으로 지탱해 줄 스탠드.
옆에서.
TV 본체의 두께는 76mm.
스탠드 길이는 317mm.
뒷면입니다.
하단 중앙의 400x300mm 규격 베사 마운트 홀.

HDMI x3, USB 2.0 포트 x3, 광 출력, 3.5mm 오디오, RF TV 안테나, 랜 포트
USB 2.0 포트 x1, HDMI, 오디오 입력
안드로이드, 크롬캐스트, 넷플릭스, 유튜브
제품명에 안드로이드와 크롬캐스트를 넣은 이 시대의 스마트 TV답게, 안드로이드, 크롬캐스트, 넷플릭스, 유튜브 등의 기능들을 갖췄고, TV의 기본 소양인 지상파 신호 수신과 USB 컨텐츠 재생 기능을 제공합니다. 전원을 연결하고 유선이나 무선 랜을 사용해서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사용할 준비는 대부분 마무리되지요. 이들 스마트 TV 기능들은 4K UHD 해상도에 맞춰서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최신 버전의 안드로이드와 넷플릭스 앱을 설치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업데이트까지 보장합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설치된 앱이자 대표적인 스트리밍 앱이 넷플릭스와 유튜브일 뿐이지 그걸로 끝나지는 않습니다. 더 많은 앱을 쓰길 원한다면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설치하면 되거든요. 구글 안드로이드 공식 인증을 받은 제품에서만 가능한 일이죠. 중국제 수상한 셋탑 박스 중에 저렴한 가격을 내세운 모델에 속아보신 분이라면 바로 이해되실 거에요.
그냥 넷플릭스 TV가 아니라 안드로이드와 크롬캐스트를 전면에 내세운 제품입니다. 그래서 블루투스로 연결된 리모컨과 음성 명령 지원을 통해 TV를 편리하게 조작하는 한편, 구글 어시스턴트를 활용해서 구글에 연결된 다양한 스마트 홈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크롬캐스트와 미러링 기능을 통해 대형 디스플레이처럼 쓸 수도 있지요. TV에 내장된 기본 튜너는 풀 HD 규격의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며, 지상파 4K UHD 방송을 보려면 셋탑 박스나 케이블 등의 소스를 준비하면 됩니다. 어차피 공중파를 안테나로 잡아서 볼 수 있는 환경은 흔하지 않으니 상관은 없겠지요. TV의 또 다른 기본 기능인 USB 재생에서는 사진, 음악, 영상 재생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것 역시 그냥 지원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고성능 프로세서인 Mstar 6886를 내장한 덕분에 USB 재생 기능에서도 4K 해상도에 HDR 규격까지 사용하는 컨텐츠를 끊김 없이 부드럽게 재생해 줍니다.
TV에 내장된 튜너로 지상파 풀 HD 방송을 시청.
채널 검색
TV 시청.
채널 정보 표시.
TV 화면 아래의 기능 메뉴
스마트 TV 메인 화면.
입력 포트에 연결된 소스를 자동으로 인식해 쓰기 편리합니다.
안드로이드 TV의 설정 기능
네트워크는 2.4GHz/5GHz 듀얼 밴드 무선 랜과 유선 랜 연결을 모두 지원합니다.
화면의 표시 설정.
HDMI CEC/ARC를 지원해 리모컨 하나로 HDMI 포트에 연결된 모든 기기를 함께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 EDID 버전을 따로 지정해 호환성을 높여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안드로이드 APK 파일을 설치해 더 많은 앱을 쓸 수 있습니다.
코디를 활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시청
셋탑 박스를 연결해 4K 방송 시청
USB 미디어 플레이어. 영상, 사진, 음악, 문서 파일을 지원합니다.
음악 재생
사진 표시
4K UHD 규격에 HDR까지 쓰는 영상을 재생
기본 내장된 유튜브 앱입니다.
컨텐츠 검색
자동으로 4K 해상도를 인식해 재생합니다.
넷플릭스입니다.
여기에서도 4K 해상도를 지원합니다.
테스트 패턴에서도 4K 통과.
네트워크 대역폭만 확보된다면 4K 재생에는 지장 없습니다.
75인치 크기의 QLED 퀀텀닷이 보여주는 화면
현아이디어 UV752 QLED 크롬캐스트 안드로이드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을 딱 하나만 꼽으라면 역시 퀀텀 닷입니다. 이름 그대로 양자처럼 작은 점을 다양한 크기로 배치해 저마다 다른 색을 내도록 하는 기술이지요. 이런 퀀텀 닷을 쓴 QLED는 색 재현율이 넓고 명암비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QLED TV에선 일반 LED TV보다 더욱 풍부한 색상 표현과 더 명암 표현을 볼 수 있습니다. UV752의 경우 퀀텀 닷을 사용해 동적 명암비를 5,000,000:1로 늘리고 sRGB 100%의 색영역을 확보했지요. 여기에 밝은 영역과 어두운 곳의 표현 차이를 극대화하는 HDR 효과가 더해지면 더욱 강렬한 효과를 체감하게 됩니다. 색과 밝기를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TV에서 QLED만큼 좋은 방식도 없겠지요. 물론 퀀텀 닷 필름이 추가되면서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지만 앞서 소개한대로 UV752는 75인치의 QLED TV 중에서는 제법 저렴한 편에 속하는 제품입니다.
해상도는 3840x2160의 4K UHD입니다. 75인치 쯤 되는 TV에서 4K도 안 되는 해상도를 썼다간 전체적으로 흐릿한 화면을 큼직하게 보여줬을 겁니다. 4K UHD 해상도와 이를 뒷받쳐줄 HDMI 2.0 포트를 갖췄기에 넷플릭스와 유튜브의 4K 해상도 영상을 그대로 보여주고, 콘솔 게임기의 4K 출력과 HDR 표현까지 쓸 수 있습니다. 또 컴퓨터나 노트북과 연결해도 3840x2160 60Hz의 화면에 폰트 깨짐 없이 선명한 크로마 서브 샘플링 4:4:4까지 적용 가능합니다. 패널의 다른 스펙은 최근 출시되는 VA 다운 스펙을 갖췄습니다. VA 패널이라서 픽셀 배열을 더 따질 것도 없이 무조건 RGB니 글자 표시에 유리하고요. 상하좌우 모든 부분에서 178도의 시야각은 지극히 당연하고, 5ms의 응답 속도와 10비트 색상을 최대 400cd/m2의 밝기로 표시합니다.
3840x2160 해상도의 화면 표시
명암 표현
색상 표현
크로마 서브 샘플링 4:4:4의 확인
사진 표시
영상 재생
콘솔을 연결해서도 2160p, 4K 해상도 지원.
HDR 지원.
PS4에 연결됐음을 자동 인식합니다.

HDR 표시 효과. HDR을 켰을 때 더 풍부한 밝기와 색을 보여줍니다.
노트북을 연결해 측정한 간이 인풋랙 테스트
픽셀 배열은 RGB LED

전력 사용량


상하 좌우 시야각은 모두 178도.

스파이더가 대형 TV의 패널을 측정하기에 적합하진 않지만, 여기에서도 sRGB 100%, 어도비 RGB 98%의 색 영역을 보여줍니다.
현아이디어 UV752 QLED 크롬캐스트 안드로이드
(UV752 QLED 크롬캐스트 제로베젤과 동일 제품입니다.)
퀀텀 닷의 QLED를 사용한 안드로이드 TV입니다. 퀀텀 닷 덕분에 일반 LED TV보다 더욱 화사하면서도 명암 표현이 뛰어난 화면을 보여줘, 어떤 종류의 영상이건 체감하는 효과를 한층 더 높여줍니다. 화면 크기는 75인치입니다. 이제는 조금 식상해진 감도 있는 65인치보다 한 단계 더 큰 화면을 통해 차별화와 더 큰 몰입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끝으로 최신 버전의 안드로이드를 설치해 넷플릭스와 유튜브는 물론, 앞으로 업데이트와 다른 앱을 설치해 활용 폭을 넓혀줍니다. 75인치, QLED, 안드로이드라는 핵심 스펙을 모두 갖춘 TV가 현아이디어 UV752 QLED 크롬캐스트 안드로이드 하나 뿐인 건 아닙니다. 하지만 UV752는 그 중에서도 가격이 특히 저렴한 편이기에 가성비 측면에서 더욱 돋보이는 제품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SK하이닉스, EUV 활용 10나노급 4세대 D램 본격 양산 |
무선의 단점을 치워버린 MSI GM41 초경량 무선 게이밍 마우스 |
중국 '반도체 굴기' 상징 칭화유니, 파산 구조조정 신청 |
주간뉴스 7/11 - 인텔 아키텍트 복귀, AMD 슈퍼컴퓨터 성장, 가상화폐 부작용, 놀라운 중국, 삼성 3nm 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