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근심 걱정 고민이 돈에서 생겨나진 않습니다. 그래도 돈이 넉넉하면 그런 것들이 다는 아니더라도 상당수는 해결됩니다.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 간단합니다. CPU와 GPU 스펙을 올리고, 고주사율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모델을 고르면 됩니다. 어떻게요? 돈을 더 써서요.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쌀밥에 고깃국을 먹을 형편이 되지 않듯이, 모든 게이머가 200만 원, 300만 원 짜리 게이밍 노트북을 선뜻 지르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현실에 맞춰서 타협을 할 수밖에 없는데요. 이게 답이 정해진 문제는 아닙니다. 게이머마다 지갑 사정도 다르고 원하는 것 역시 제각각이다보니, 어디를 얼마나 타협을 할 수 있는지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게이밍 노트북은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나름대로의 답을 제시합니다. 그 답이 맞는지 틀린지 판단하는 역할은 시장의 몫이지만, 다양한 답이 나올수록 소비자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넓어지겠지요.
MSI 브라보 15 B5ED-R7는 이 까다로운 문제에 상당히 독창적인 답을 제시하는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우선 가장 중요한 가격을 100만 원 초반으로 맞췄습니다. 이게 싼건가 싶은 분들도 분명 있을 겁니다. 요새는 이보다 저렴한 노트북도 많이 나오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내장 그래픽을 쓰는 일반 노트북이 아니라 그래픽카드가 따로 달려 있는 게이밍 노트북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달면 이야기는 완전히 달라집니다. 핵심 스펙인 CPU와 GPU는 라이젠 7 5800H와 라데온 RX 6500M의 라라랜드 조합입니다. CPU는 8코어 16스레드니 토를 달 것이 없고요. 그래픽은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까지는 아니어도 내장 그래픽과 비교하면 하늘과 땅 차이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E 스포츠 게임 플레이가 목적이라면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지요. 마지막으로 리프레시율을 144Hz로 높였습니다. 그 덕분에 일반 노트북보다 두 배 이상의 부드러운 화면으로 게임 그래픽을 즐길 수 있습니다.
제품명 | MSI 브라보 15 B5ED-R7 |
CPU | AMD 라이젠 7 5800H (7nm 공정, 8코어, 16스레드, 4MB L2, 16MB L3, 부스트 클럭 4.4GHz, TDP 45W) |
메모리 | DDR4-3200 16GB(8GB 2개, 2슬롯, 최대 64GB 장착) |
칩셋 | 라이젠 SoC |
그래픽 | AMD 라데온 RX 6500M GDDR6 4GB |
스토리지 | 512GB NVMe M.2 SSD |
디스플레이 | 15.6인치(39.6cm), FHD(1920x1080), 144Hz IPS 타입 패널, 밝기 250nits, 안티글레어, 5nm 울트라 씬 베젤 |
웹캠 | 720p 30fps |
입력 장치 | 풀사이즈 키보드, 레드 LED 백라이트, 키 트래블 1.7mm, 한글 각인, 넘버 패드 제공 |
네트워크 | 기가비트 랜 802.11ax WiFi 6E. 2.4GHz/5GHz 블루투스 5.2 |
내장 스피커 | 2W x2 스피커, Hi-Res 오디오, 나히믹 오디오 |
추가 기능 | 쿨러 부스트 3 MSI 센터 |
I/O 포트 | USB 3.2 Gen1 타입 C x1 USB 3.2 Gen1 타입 A x2 USB 2.0 타입 A x1 RJ45 유선 랜 HDMI x1(4K 60Hz) |
배터리 | 3셀, 53.50WHr |
전원 | 150W 어댑터 |
크기 | 359x259x24.95mm |
무게 | 2.35kg |
운영체제 | 프리 도스 |
참고 | https://prod.danawa.com/info/?pcode=17922806 |
가격 | 1,012,000원(무료배송, 2023년 1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
외관: 이 새는 게이밍 버드다
MSI의 근본은 누가 뭐래도 용이거늘, 이 노트북은 박스부터 상판까지 새가 한 마리 자리를 잡았습니다. AMD가 라이젠 CPU와 라데온 그래픽 조합의 브라보 시리즈 노트북에서 사용하는 엠블럼인데요. 새라고 해서 귀엽고 깜찍한 걸 건 아니고요. 게이밍 노트북답게 빨간색 눈과 날카로운 라인을 갖춘, 건들면 쪼아버릴 것처럼 사납게 생긴 썬더버드입니다. 이 강렬한 디자인은 키보드의 레드 백라이트로 이어집니다. 모든 키에 달린 레드 백라이트는 튜닝 효과를 내는 한편 어두운 곳에서 키 입력을 돕는 실용적인 기능이기도 합니다. 이 키보드는 풀 사이즈 키에 풀 사이즈 키패드를 갖추고, 좌측 컨트롤 키를 비롯해 게임에 주로 사용하는 키의 크기를 늘려 조작이 편리하며, 키 트래블을 1.7mm로 줄여 빠르고 경쾌하게 타이핑을 할 수 있습니다.
전체 크기는 359x259x24.95mm에 무게는 2.35kg입니다. 화면 크기는 15.6인치지만 좌우 베젤의 폭을 5mm로 줄여 노트북의 크기는 줄였습니다. 두께나 무게는 항상 휴대하기에는 다소 부담이 되는 편이나, 한 자리에 박아두고 쓰는 데스크노트처럼 활용한다면 단점이 되진 않습니다. 오히려 두꺼운 쪽이 쿨링팬과 방열판을 넣을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으니 온도를 낮추는 데에 더 유리하겠지요. 확장 포트는 오른쪽에 3.5mm 오디오 콤보 잭이 하나 있고, USB 3.2 타입 A와 타입 C 포트가 각각 하나씩, 4K 해상도를 60Hz로 출력하는 HDMI 포트와 기가비트 속도를 내는 유선 랜 포트가 있습니다. 왼쪽에는 USB 2.0 타입 A와 USB 3.2 타입 A를 하나씩 넣어 주변기기를 연결할 포트를 충분히 확보했습니다. 충전은 150W 용량의 전원 어댑터를 사용합니다.
외부 박스.
내부 박스. 브라보 시리즈의 썬더버드 엠블럼이 그려졌습니다.
노트북 포장.
설명서. 전원 어댑터, 전원 케이블.
최대 150W 용량의 어댑터. 크기는 140x70mm에
두께는 20mm입니다.
어댑터와 케이블의 무게는 총 484g입니다.
MSI 브라보 15 B5ED-R7.
MSI는 AMD 라이젠+라데온의 라라랜드 조합을 쓴 노트북에 썬더버드 엠블럼을 붙여 브라보 시리즈로 출시하고 있습니다.
노트북 전면과 뒷면.
노트북 측면.
크기는 359x259mm.
두께는 24.95mm.
무게는 2266g.
상판의 썬더버드 엠블럼.
화면.
15.6인치(39.6cm) 크기의 IPS 타입 안티글레어 디스플레이.
측면 베젤의 폭을 5mm까지 좁혔습니다.
화면 상단의 720p 30fps 웹캠.
화면 아래의 MSI 로고.
180도까지 젖혀지는 힌지.
키보드, 터치패드, 팜레스트.
키보드의 메인 키 영역과 방향키, 키패드 모두 크기를 줄이지 않은 풀사이즈 키를 써서 타이핑하기 편합니다.
좌측 컨트롤 키를 비롯해 게임에서 자주 쓰는 키는 크기를 키워 누르기 편하도록 디자인했습니다.
모든 키에는 레드 백라이트가 달려 있어 어두운 곳에서도 키를 확인하기 편합니다.
키 트래블의 길이는 1.7mm로 빠른 입력이 가능합니다.
게임에서 자주 쓰는 방향키와 키패드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엔터 키와 NumLock 등의 자주 쓰는 키를 빼지 않았습니다.
라이젠 7과 라데온 RX 엠블럼.
터치패드의 크기는 105x65mm 입니다.
브라보 15 시리즈의 주요 스펙.
오른쪽에는 3.5mm 오디오 콤보, USB 3.2 타입 A, USB 3.2 타입 C, HDMI, 유선 랜 포트가 있습니다.
왼쪽에는 USB 2.0 타입 A, USB 3.2 타입 A, 전원 포트와 통풍구가 있습니다.
노트북 바닥.
드래곤 아머 패턴 그릴의 통풍구를 넣어 공기가 드나드는 면적을 넓혔습니다. ??
분해: 2팬, 히트파이프 가득, 메모리/SSD 교체 가능
MSI 브라보 15 B5ED-R7에 탑재된 쿨러 부스트 3 쿨러는 2개의 쿨링팬과 3개의 히트파이프로 구성됩니다. CPU와 GPU 중 어느 한 쪽의 온도가 특별히 높은 부품을 사용했다면 쿨링팬과 히트파이프가 커버하는 부품을 확실하게 나누는 쪽이 온도를 낮추는 데 효과적일 겁니다. 하지만 라이젠 7 5800H와 라데온 RX 6500M은 효율이 높기에 모든 히트파이프가 주요 부품 위를 연결하고, 여기에서 나는 열을 좌우에 하나씩 배치된 쿨링팬이 배출하도록 설계했습니다. 또 히트파이프의 두께를 줄이고 면적을 늘려, 히트파이프 내부에서 공기가 지나가는 공간을 키워 전체적인 쿨링 성능을 끌어 올렸습니다. 확장성의 경우 메모리와 SSD 모두를 교체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는 2개의 슬롯에 DDR4-3200 64GB까지 지원하며, 기본 구성에선 16GB 듀얼채널로 대역폭을 확보했습니다. 1개의 M.2 슬롯은 NVMe 표준을 지원하며 PCIe 3.0 x4의 삼성 PM991a 512GB가 기본 장착됩니다.
노트북 바닥의 커버.
노트북 내부.
CPU와 GPU, 전원부 위를 덮은 3개의 히트파이프.
히트파이프의 면적은 넓히고 벽의 두께는 줄여 공기가 흐르는 공간을 늘렸습니다.
우측 쿨링팬의 구경은 50mm.
좌측 쿨링팬의 구경은 40mm.
DDR4-3200 8GB 메모리 2개가 기본 장착됐습니다. 최대 64GB까지 지원합니다.
1개의 NVMe M.2 슬롯에는 PCIe 3.0 x4 방식의 SSD인 삼성 991a 512GB가 장착됐습니다.
53.5WHr 용량의 3셀 배터리.
배터리의 인증 로고.
Wi-Fi 6e 802.11ax 무선 랜과 블루투스 5.2, 기가비트 랜.
측면 USB 포트가 달린 도터보드.
성능: 라이젠 7 5800H와 라데온 RX 6500M의 라라랜드 조합
CPU는 라이젠 7 5800H입니다. 우수한 성능과 높은 효율을 지닌 젠3 아키텍처를 사용한 프로세서로, 45W의 TDP 안에서 작동하는 8코어 16스레드를 갖췄습니다. 이게 6코어만 됐어도 게임하기엔 충분하다고 평가했을텐데 그보다 더 많은 8코어가 있네요. 그래서 게임 전용으로 쓰기에는 조금 아깝고, 그 이상의 다양한 작업이나 멀티 태스킹을 넉넉하게 실행하길 원하는 사람들에게 알맞는 CPU입니다. 여기에 DDR4-3200 16GB 듀얼 채널 메모리를 조합했습니다. 8코어 프로세서를 굴리는 용도에는 메모리 대역폭이나 용량 모두 충분한 스펙으로 보입니다. SSD의 경우 PCIe 3.0 x4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삼성 PM991a NVMe M.2가 장착됩니다. DRAM 캐시가 없는 SSD 특성상, 캐시 영역을 넘어서면 속도가 많이 떨어지긴 합니다. 하지만 몇 십GB가 넘는 대용량 파일을 계속해서 다루는 것이 아니라, 보통의 작업이나 게임 실행에서는 성능 하락을 체감하는 일은 드뭅니다.
그래픽카드는 라데온 RX 6500M입니다. 고성능 그래픽은 아닙니다. 최신 게임을 최고 옵션으로 실행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성능을 지녔으며, 메모리 용량도 4GB라서 일부 게임에서는 옵션을 최대한으로 올리지 못합니다. 따라서 최고 옵션은 힘들고 그 아래에서 옵션 타협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그래픽의 의의는 내장 그래픽보다 뛰어난 성능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한다는 데 있습니다. 내장 그래픽이 아무리 발전했다고는 해도 내장은 내장인걸요. 본격적인 게임용으로 쓰기는 아무래도 버겁죠. 라데온 RX 6500M은 리그 오브 레전드나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2 등의 게임에선 풀 HD 해상도를 유지하고도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한 60프레임 이상을 뽑아주고요. AMD의 자랑인 FSR 슈퍼 샘플링을 지원하는 게임에서 이 기능을 활용하면 체감 그래픽을 유지하면서 성능을 한층 더 끌어올려 줍니다. 그래서 FHD 144Hz의 게이밍 디스플레이도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확인한 라이젠 7 5800H.
라이젠 7 5800H와 칩셋의 CPU-Z 스펙
DDR4-3200MHz 16GB 듀얼 채널 메모리 구성.
AIDA64에서 측정한 메모리와 캐시 성능.
라이젠 7 5800H에 탑재된 내장 그래픽 외에도 라데온 RX 6500M 그래픽이 따로 달려 있습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에서 측정한 성능. 최고 3GB/s의 순차 읽기와 1.9GB/s의 순차 쓰기 성능을 냅니다.
기본 SSD의 더티 테스트입니다. 최고 2.3GB/s의 속도를 내며, 캐시가 없기에 성능 하락은 있지만 전체 용량의 100%에서 65%까지는 높은 성능을 유지하기에 자잘한 파일을 자주 쓰는 실제 게임/사용 환경에선 큰 영향은 주지 않으리라 보입니다.
4K VP9 영상 재생. 하드웨어 인코딩을 지원해 CPU 점유율은 11%에 머무릅니다.
4K AV1의 경우 점유율이 50%까지 오르지만 재생에는 문제 없습니다.
CPU-Z 17.01
CPU-Z 19.01
CPU-Z AVX2
wPrime 연산 시간
시네벤치 R23
코로나 렌더링
블렌더 렌더링
Vray 렌더링.
X.264, X.265 영상 인코딩
7Zip 압축
PC마크 10 종합 성능 테스트.
3D마크 CPU 프로파일
3D마크 스피드웨이, 포트 로얄
3D마크 타임 스파이.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1920x1080 풀 HD 해상도에, 가장 높음에서 한 단계 낮은 높음 옵션으로 실행한 게임 성능.
FSR을 지원하는 게임에서 이 기능을 활용하면 한층 더 여유 있는 프레임으로 게임을 할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FHD 144Hz 게이밍 디스플레이 대령했습니다
화면은 15.6인치 크기에 풀 HD 해상도를 지닌 IPS 타입 패널을 사용합니다. 슬림형 노트북보다 큰 15.6인치 크기라 쾌적하게 화면을 볼 수 있고요. 풀 HD는 이제 특별할 게 없는 기본 해상도이기도 하지만, 게이밍 노트북과 게이밍 모니터에서는 여전히 표준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해상도입니다. 이보다 더 높으면 화면 크기부터 성능까지 따라가야 할 것이 맞으니 가성비 노트북에서는 최적의 선택이기도 합니다. IPS 타입이라 시야각이 178도로 넓고 안티 글레어 처리를 하여 화면 반사를 줄였습니다.
물론 가성비를 위해 저렴한 가격을 맞추는 것이 우선이다보니 모든 스펙을 다 끌어 올리진 않았습니다. 색영역처럼 다소 타협한 곳도 있긴 하지요. 하지만 게이밍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중요한 리프레시율은 144Hz로 높였습니다. 일반 모니터보다 두 배 이상으로 부드럽게 움직이는 화면을 보여주기에 화면 전환이 빠르고 움직임이 많은 게임 플레이에 유리합니다. 또 굳이 게임이 아니더라도 일반 모니터의 60Hz로는 부족하다고 느끼는, 예민한 눈을 가진 사람들에게도 144Hz는 유용한 기능이지요.
화면 테스트 영상입니다.
144fps 게임
144fps UFO
프레임 스킵
플리커 프리(밝기 0%으로 낮춰도 플리커링 현상 없음)
가변 리프레시율
티어링
1920x1080 해상도
가독성 테스트
RGB LED 픽셀 배열.
명암 표현
색상 표현.
상하좌우 178도의 시야각.
사진 표시
영상 재생
감마는 표준인 2.2.
최대 밝기는 306으로 측정됐으며 대비도는 1460:1입니다.
색상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색상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색상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색상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광도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광도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광도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광도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색상 정확도는 평균 델타-E 2 미만인 1.56을 기록했습니다.
내장 HDMI 포트로 4K 60Hz의 모니터 연결을 지원합니다.
배터리 / 전력 / 온도 / 소음: 전부 다 켜고도 5시간
MSI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 중에는 배터리 용량을 기내 수납의 한계인 99Whr까지 늘린 모델도 있습니다. MSI 브라보 15 B5ED-R7는 배터리 용량을 그렇게까지 늘리진 않았지만 사실 그렇게까지 할 필요도 없습니다. 라이젠 7 5800H와 라데온 RX 6500M이 모두 전력 사용량이 높지 않거든요. 라이젠 7 5800H는 효율이 높은 7nm 공정으로 제조했으며 라데온 RX 6500M은 거기서 더욱 개선된 6nm 공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또 라라랜드 조합답게 상황에 따라 노트북에 공급되는 전력을 알맞게 분배하는 스마트 시프트 기술을 도입해, 한정된 전력을 더욱 효율젹으로 사용합니다. 덕분에 최대 밝기와 144Hz의 리프레시율을 유지하면서도 5시간 이상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밝기와 주사율을 조절하면 더 오랜 시간 동안 쓸 수 있겠지요.
높은 효율은 곧 낮은 전력 사용량과 낮은 온도로 이어집니다. 전력 사용량은 어떤 상황에서던 최대 90W 이하를 유지했고, 온도의 경우 3D 게임과 다양한 작업에서도 최고 80도 아래를 지켰습니다.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에서 아무리 쿨러를 보강해도, 노트북이라는 한정된 공간 때문에 90도 이상으로 치솟고 쓰로틀링이 걸리는 걸 피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낮은 온도입니다. 이렇게 낮은 온도는 곧 조용한 환경으로 이어집니다. 온도가 낮기에 굳이 높은 속도로 팬을 돌려서 열기를 빼낼 필요가 없거든요. 소음 테스트에서는 시네벤치를 비롯한 풀로드 작업에서도 46dB를 유지하는 조용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배터리 사용 시간과 충전 시간.
전력 사용량.
스피커 볼륨.
소음.
CPU 온도.
GPU 온도.
3D마크를 실행했을 때 노트북 표면 온도.
키보드 동시 입력.
프로그램 / 바이오스: MSI 센터의 최적화
프로세서의 성능과 온도, 배터리 수명까지 노트북에서 신경써야 할 것들은 많습니다. MSI는 이를 모두 MSI 센터 앱에 모아서 관리합니다. 성능을 자동으로 최적화해주는 게이밍 모드부터 컨텐츠를 관리하는 스마트 이미지 파인더 기능을 제공하고, 게임 플레이를 돕는 크로스헤어 표시와 배터리 수명을 늘려주는 보정 기능을 쓸 수 있습니다. 또 MSI 앱 플레이어로 안드로이드 앱과 게임을 실행하며, 3D 사운드 기술과 가상 7.1채널 사운드를 제공하는 나히믹 앱이 HIRes 오디오의 풍성함을 더해줍니다.
바이오스 설정 메뉴.
번들 제공되는 앱 중 하나인 노턴 시큐리티.
안드로이드 앱과 게임을 실행하는 MSI 앱 플레이어.
MSI 사운드 설정.
나히믹 오디오에서 3D 음장 효과와 사운드 트래커, 가상 서라운드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 설정과 최적화 기능을 제공하는 MSI 센터. 기능들이 모듈 형태로 분리되어 원하는 것만 골라 실행하면 됩니다.
하드웨어 모니터링.
게임 성능을 높여주는 게임 모드.
우선 순위 설정.
성능 최적화나 배터리 우선 모드, 저소음 설정이 가능한 유저 시나이로.
키보드와 조준선 표시 등의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일반 설정.
시스템 진단 기능
배터리 최적화 기능
WiFi 신호 세기와 대역폭을 설정하는 WiFi 분석.
드라이버와 프로그램의 버전 관리.
복구와 백업 이미지 생성 기능.
MSI 브라보 15 B5ED-R7
100만 원 초반의 저렴한 가격에 144Hz의 고주사율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8코어 라이젠 7 5800H 프로세서에 내장 그래픽이 아닌 외장형 라데온 RX 6500M을 달아 속칭 라라랜드 조합을 완성했습니다. 8코어 프로세서 덕분에 기본적인 성능은 충분할 뿐더러, 이스포츠 게임을 144Hz의 리프레시율에 맞춰 안정적으로 실행할 성능을 갖췄습니다. 한정된 예산 안에서 최대한의 성능과 효율, 그리고 고주사율 디스플레이까지 갖춘 게이밍 노트북을 찾는 게이머를 위한 제품입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커세어, 모듈러 커넥터가 측면에 달린 파워를 출시? |
삼성전자, 5나노 기반 컨트롤러 탑재한 PC용 고성능 SSD ‘PM9C1a’ 출시 |
인텔, 4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발표 |
젠4 스위트 스팟. AMD 라이젠 7000 non-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