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하세요
알림
설정
레프트패널 닫기
관심
최근본
마이페이지
출석체크
카테고리
    서비스 바로가기
    • 자동차
    • 인기 서비스조립PC
    • PC견적
    • PC26
    • 신규 서비스LIVE쇼핑
    • 커뮤니티
    • 이벤트
    • CM추천/문의
    • 오늘의 특가
    앱 서비스
    • 자동차
    • PC견적
    • 장터
    인기 쇼핑몰
    • 지마켓
    • 옥션
    • 11번가
    • 롯데아이몰
    • 쿠팡
    • 롯데닷컴(롯데온)
    • 신세계몰
    • 현대Hmall
    • CJ 온스타일
    • GS샵
    • 하이마트
    • 엘롯데
    • 이마트몰
    • 홈플러스
    • NS몰
    • SK스토아
    • KT알파 쇼핑
    • 전자랜드
    • 무신사
    PC버전 로그인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센터
    (주) 커넥트웨이브
    대표:
    김정남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98, 17층(가산동, 대륭포스트타워6차) (우) 08510
    • 사업자번호:
      117-81-40065
    • 통신판매업:
      제2004-서울양천-00918호
    • 부가통신사업:
      제003081호
    • 고객센터:
      1688-2470 (유료)
    • 이메일:
      cs@cowave.kr
    • 호스팅 제공자:
      (주)커넥트웨이브
    • 사업자 정보확인
    • 이용약관
    • 책임의 한계
    • 청소년 보호정책
    사용법 보기
    MY쇼핑이란? 자주 쓰는 쇼핑몰을 연결하면 쇼핑몰 주문내역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쇼핑몰 계정은 고객님의 핸드폰에만 저장되어 안전합니다.
    편리한 구매내역 확인. 다양한 쇼핑몰의 주문내역을 한 곳에서 확인해보세요.
    가격비교와 최저가 쇼핑을 한 번에. 자주 구매하는 상품은 가격비교를 통해 저렴하게 구매하세요.
    보안은 필수! 쉽고 편한 가치 쇼핑. 쇼핑몰 계정은 고객님의 핸드폰에만 암호화 저장되어 안전합니다. 쇼핑몰 연결
    다나와 홈

    커뮤니티 DPG

    전문가 리뷰

    • 게시판
    • 상품포럼
    • 뉴스
    • 동영상
    • 커뮤니티 공지사항
      소비자사용기
    • 특가몰
      자유게시판
    • 이달의 이벤트
      유머게시판
    • 당첨자발표게시판
      댕냥이게시판
    • 포인트 마켓
      Q&A게시판
    • 다나와 래플
      상품의견
    • 모두의 경매
      체험단
    • 오늘도 출석체크
      엄근진게시판
    • 입소문쇼핑
      쇼핑몰후기
    • 메인가자
      A/S후기
    • 당첨후기
    • 컴퓨터
      AI
    • 푸드
      취미
    • 최신뉴스
      일반뉴스
    • 기획뉴스
      신상품뉴스
    • 쇼핑뉴스
      테크팁
    • 다나와리포터
      구매가이드
    • 전문가리뷰
      인기순위가이드
    • 벤치마크
      차트뉴스
    • 가격동향
    • 고나고
      공구왕황부장
    • 노써치
      도레
    •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라이브렉스
    • 레고매니아
      맛상무
    • 모터피디
      무적풍화륜
    • 민티저
      보드나라
    • 여행매거진 트래비TV
      오토기어
    • 조코딩 JoCoding
      인프제 INFJ
    • 주연 ZUYONI
      진블로그
    • 집마 홀릭TV
      톡써니
    • 포마: 탈 것을 리뷰하는 남자
      쿨엔조이
    • 훅간다TV
      AI 매터스
    • Allthatboots TV
      DmonkTV
    • Hakbong Kwon
      Motorgraph
    • PC SNAP
      Producer dk
    • THE EDIT
      UnderKG
    • 다나와 공식채널
      다나와 2TV
    • 노리다
      샵다나와 조립갤러리
    >
    이전 글
    다음 글
    하이파이클럽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음의 세계 Accuphase E-700 Integrated Amplifier

    2024.08.07. 10:49:38
    읽음639 댓글2


    아큐페이즈는 다르다

    1972년에 설립된 일본 아큐페이즈(Accuphase)는 남다르다. 은은한 샴페인 골드 섀시와 친절한 여러 인터페이스, 그리고 속을 가지런히 채운 내부가 이들의 사운드를 짐작하게 한다. 실제로 E-5000 인티앰프나 C-3900, P-7500 분리형 조합을 들어보면 마음마저 정갈해지는 편안하고 오염되지 않은 소리에 감탄사를 내뱉게 된다. 확실히 아큐페이즈 사운드는 독보적이다. 아큐페이즈 인티앰프 한 대로 앰프에 대한 온갖 욕심을 다 버렸다는 애호가들이 많은 이유다. 

    아큐페이즈 DG-68 디지털 보이싱 이퀄라이저
    아큐페이즈 DG-68 디지털 보이싱 이퀄라이저

    디자인과 사운드만 남다른 게 아니다. 아큐페이즈에는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빛나는 제품들이 많다. 보이스 이퀄라이저 DG-68은 일반적인 룸 어쿠스틱 보정 기능(보이싱)에 무려 80밴드의 그래픽 EQ 기능(이퀄라이징)를 통합했다.

    아큐페이즈 PS-1250 파워 서플라이 내부
    아큐페이즈 PS-1250 파워 서플라이 내부

    파워 서플라이 PS1250은 아예 내부를 대출력 아날로그 파워앰프로 설계, 깨끗하고 노이즈가 낮은 60Hz, 220V를 고정 출력하게 했다. 이게 다 사명 그대로 정확한(accurate) 소리(phase)를 얻기 위해서다.


    아큐페이즈와 인티앰프

    왼쪽부터 아큐페이즈 E-405, E-700 인티앰프
    왼쪽부터 아큐페이즈 E-405, E-700 인티앰프

    아큐페이즈는 1974년 E-202를 시작으로 거의 매해 인티앰프를 선보였다. 지금까지 나온 40여 종의 인티앰프를 보면 아큐페이즈의 전통과 혁신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1989년에 출시된 E-405과 이번 리뷰의 주인공인 2024년 출시작 E-700을 비교하면 샴페인 골드 섀시와 큼지막한 디스플레이, 조절 노브를 가린 하단 커버 등이 거의 쌍둥이다. 지난해 방한한 이노쿠마 타카야 CTO에게 물어보니 “디자인은 회사의 아이덴티티를 드러내기에 디자인 변경은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한다. 아주 조금씩 바뀌어야 한다”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아큐페이즈는 그러면서도 계속해서 변화와 업그레이드를 거듭해왔다. 1989년작 E-405는 동상 노이즈 제거를 위한 밸런스 입력을 도입했고, 1994년작 E-306은 트랜지언트 특성을 개선한 커런트 피드백 설계를 도입했다. 2000년작 E-307은 디지털(DAC)과 아날로그(포노) 옵션 보드, 2005년작 E-550은 노이즈를 줄인 AAVA 볼륨단, 2007년작 E-450은 동상 노이즈 제거를 위한 인스트루멘테이션 앰프를 파워앰프부에 채택했다. 앰프 성능의 한 척도인 댐핑 팩터 역시 처음 50에서 출발해 현재 최대 1000으로 늘어났다. 

    다양성과 유연함도 빛난다. 출력 소자의 경우 1978년 E-303 때부터 줄곧 MOSFET을 써왔지만 2022년에 나온 E-5000과 E-4000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갈아탔다. “대출력을 얻기 위해서”다. 증폭 방식은 인티앰프 데뷔작 E-202부터 클래스 AB 방식을 애용했지만 2002년작 E-530은 처음으로 클래스 A 증폭을 선택했다. 현행 모델 중에서는 E-800, E-700, E-650이 클래스 A 증폭, E-5000, E-4000, E-480, E-380, E-280이 클래스 AB 증폭이다. 

    다음은 필자가 파악한 아큐페이즈 인티앰프 출시 연보다. 8옴 출력과 댐핑 팩터(DF), 출력 소자(BJT, MOSFET)와 채널당 개수, 그리고 처음으로 도입된 신기술이나 설계를 표시했다. 출력 소자는 모두 푸시풀 구동한다. 증폭 방식은 클래스 A만 따로 밝혔다. 

    • 1974.5 E-202 : 100W, DF 50, 2 BJT
    • 1978.7 E-303 : 130W, DF 80, 4 MOSFET
    • 1979.8 E-203 : 70W, DF 50,P 4 MOSFET
    • 1981.11 E-301 : 110W, DF 80, 4 MOSFET
    • 1981.12 E-204 : 75W, DF 80, 4 MOSFET
    • 1983.12 E-303X : 150W, DF 150, 6 MOSFET
    • 1984.12 E-302 : 120W, DF 120, 4 MOSFET
    • 1985.12 E-205 : 80W, DF 100, 4 MOSFET
    • 1987.12 E-305 : 130W, DF 100, 6 MOSFET
    • 1989.2 E-206 : 100W, DF 90, 4 MOSFET
    • 1989.10 E-405 : 170W, DF 150, 10 MOSFET ⇒ 밸런스 입력
    • 1991.11 E-305V : 130W, DF 100, 6 MOSFET
    • 1992.11 E-207 : 100W, DF 90, 4 MOSFET
    • 1993.6 E-406 : 170W, DF 120, 8 MOSFET
    • 1994.12 E-306 : 100W, DF 120, 4 MOSFET ⇒ 커런트 피드백
    • 1995.4 E-210 : 80W, DF 110, 4 MOSFET
    • 1996.12 E-406V : 170W, DF 120, 6 MOSFET
    • 1997.12 E-306V : 100W, DF 100, 4 MOSFET
    • 1998.10 E-211 : 90W, DF 110, 4 MOSFET
    • 1999.10 E-407 : 180W, DF 120, 6 MOSFET
    • 2000.12 E-307 : 100W, DF 100, 4 MOSFET ⇒ 옵션 보드(DAC10, AD10)
    • 2001.11 E-212 : 90W, DF 100, 4 MOSFET
    • 2002.2 E-530 : 30W, DF 120, 6 MOSFET ⇒ 클래스 A
    • 2003.7 E-408 : 180W, DF 120, 6 MOSFET
    • 2004.4 E-308 : 100W, DF 100, 4 MOSFET
    • 2005.4 E-213 : 90W, DF 100, 4 MOSFET
    • 2005.11 E-550 : 30W, DF 140, 6 MOSFET ⇒ 클래스 A, AAVA, DAC20, AD20
    • 2007.4 E-450 : 180W, DF 120, 4 MOSFET ⇒ 인스트루멘테이션 앰프
    • 2007.11 E-350 : 100W, DF 120, 4 MOSFET
    • 2008.11 E-250 : 90W, DF 100, 4 MOSFET
    • 2009.11 E-560 : 30W, DF 200, 6 MOSFET ⇒ 클래스 A
    • 2010.11 E-460 : 180W, DF 200, 6 MOSFET
    • 2012.11 E-260 : 90W, DF 200, 4 MOSFET
    • 2013.11 E-600 : 30W, DF 500, 6 MOSFET ⇒ 클래스 A, DAC40, AD30
    • 2014.11 E-470 : 180W, DF 500, 6 MOSFET
    • 2015.11 E-370 : 100W, DF 400, 4 MOSFET
    • 2016.11 E-270 : 90W, DF 400, 4 MOSFET
    • 2017.11 E-650 : 30W, DF 800, 6 MOSFET ⇒ 클래스 A, DAC50, AD50
    • 2018.11 E-480 : 180W, DF 600, 6 MOSFET 
    • 2019.12 E-800 : 50W, DF 1000, 12 MOSFET ⇒ 클래스 A
    • 2020.7 E-380 : 120W, DF 500, 4 MOSFET
    • 2020.12 E-280 : 90W, DF 500, 4 MOSFET
    • 2022.2 E-5000 : 240W, DF 1000, 10 BJT ⇒ 밸런스드 AAVA, DAC60, AD50
    • 2022.11 E-4000 : 180W, DF 800, 8 BJT ⇒ ANCC, 밸런스드 리모트 센싱 2024.2 E-700 : 35W, DF 1000, 8 MOSFET ⇒ 클래스 A, DAC60, AD60

    E-700 팩트체크

    올해 출시된 신작 E-700은 E-650의 후계기로 50주년 기념작인 E-800의 기술을 트리클 다운했다. 기본적으로 클래스 A 증폭으로 8옴에서 35W, 4옴에서 70W를 내는 인티앰프이며, 2옴에서도 140W, 심지어 1옴에서도 160W를 낸다. 스피커 임피던스가 왕창 떨어져 대전류를 요구할 때도 끄떡없다는 얘기다. 이는 물론 고효율 대용량 토로이달 트랜스와 5만 6000uF 파워 커패시터 2개로 이뤄진 튼실한 전원부 덕이다. 출력 소자는 MOSFET이며 채널당 8개가 투입, 4개씩 푸시풀로 구동한다. 

    E-700은 또한 전단 풀 밸런스드 앰프로, 프리앰프부는 밸런스드 AAVA 볼륨단과 톤 컨트롤, 버퍼 앰프로 구성됐고, 파워앰프부는 인스트루멘테이션 앰프와 출력단으로 이뤄졌다. 앰프가 전단 풀 밸런스, 즉 정위상 플러스(+)와 역위상 마이너스(-) 신호를 각각 증폭하게 되면 피크 형태로 들어오는 동상 노이즈(Common Mode Noise)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밸런스드 AAVA 볼륨단과 인스트루멘테이션 앰프는 뒤에서 살펴볼 것이다. 

    입력 임피던스는 밸런스(XLR) 입력이 40k옴, 언밸런스(RCA) 입력이 20k옴이며 댐핑 팩터는 무려 1000에 달한다. 게인은 프리앰프부가 18dB, 파워앰프부가 28dB를 보인다. 톤 컨트롤은 저역(베이스)과 고역(트레블)을 +/-10dB 조절할 수 있으며 턴오버 주파수는 베이스가 300Hz, 트레블이 3kHz다. 아큐페이즈 인티앰프답게 디지털(DAC)과 아날로그(포노) 옵션 보드를 장착할 수 있다. 사이즈(WHD)는 465 x 191 x 428mm, 무게는 24.9kg.


    전면 인터페이스

    볼 것도 많고 건드릴 것도 많다. 중앙의 커다란 디스플레이에는 두 채널 파워 미터와 볼륨 등이 표시된다. 왼쪽은 입력 선택 노브, 오른쪽은 볼륨 노브. 볼륨 노브는 안에 DC 모터가 들어있어 리모컨으로도 작동되지만 손으로 돌릴 경우 매우 부드러운 촉감의 손맛을 선사한다. CNC 밀링 알루미늄 블록과 8mm 두께의 샤프트, 커스텀 제작된 윤활유, 플로팅 메커니즘 덕분이다. 하단에는 왼쪽에 파워 스위치, 오른쪽에 헤드폰 잭이 마련됐다. 

    오픈 버튼을 누르면 중앙의 커버가 열리며 여러 노브와 버튼이 모습을 드러낸다. 왼쪽에는 스피커 선택 노브(Off, A, B, A+B)와 베이스/트레블 컨트롤 노브가 있고, 중앙 위쪽에는 페이즈, 모노, COMP, 디스플레이 모드 버튼, 아래쪽에는 옵션 보드용 DAC, MC/MC, 필터, MC 로드 버튼이 있다. COMP(compensator)는 라우드니스 조절, 필터는 서브소닉 필터다. 오른쪽에는 밸런스 노브, 메인 인 노브, 레코드 노브가 마련됐다. 메인 인(Main In)은 E-700을 파워앰프로 쓸 때 사용한다. 


    후면 인터페이스

    후면 역시 단자가 빼곡하다. 일단 스피커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바인딩 포스트가 4조가 있어서 스피커를 A조, B조, A+B조로 운용할 수 있다. 중앙 위에는 RCA 라인 입력 5조, RCA 레코드 입출력 2조, RCA  프리 아웃 1조, RCA 메인 인 1조, 아래에는 XLR 밸런스 입력 2조, XLR 프리아웃 1조, 페이즈(위상) 셀렉터, XLR 메인 인 1조가 마련됐다. 왼쪽에는 옵션 보드 장착을 위한 슬롯이 2개 보인다.   


    내부 설계

    사진. E-700 내부 모습
    사진. E-700 내부 모습

    잘 만든 앰프 내부를 살펴보는 일은 언제나 근사하다. E-700도 예외는 아니어서 전면 안쪽에 밸런스드 AAVA 볼륨 기판, 중앙에 토로이달 전원 트랜스와 파워 커패시터 2개, 양 사이드 방열판 안쪽에 좌우 MOSFET 출력단, 후면 안쪽에 입력단 기판이 마련됐다. 오른쪽에는 옵션 보드를 위한 빈 공간이 보인다. 참고로 DAC60 보드에는 ES9016K2M DAC 칩이 채널당 1개씩 투입돼 PCM은 32비트/384kHz, DSD는 DSD256까지 재생할 수 있다. AD60 보드는 MM은 40dB, MC는 66dB 증폭하며 MC 부하 임피던스는 30옴, 100옴, 200옴, 300옴 중에서 고를 수 있다.   


    볼륨단 - 밸런스드 AAVA, ANCC 노이즈 캔슬링 

    사진. AAVA 모듈
    사진. AAVA 모듈
    그림. ANCC 블럭 다이어그램
    그림. ANCC 블럭 다이어그램

    아큐페이즈 인티앰프나 프리앰프에서 가장 돋보이는 독창적인 설계는 역시 밸런스드 AAVA(Accuphase Analog Vari-gain Amplifier) 볼륨 회로다. 말 그대로 저항비 대신 입력신호의 게인 조합으로 볼륨을 조절하는 것인데, 기존 저항비 볼륨 조절에서 문제가 되는 낮은 볼륨에서 노이즈가 많이 끼는 현상을 없애기 위해서 개발됐다. E-700에는 추가로 동상 노이즈 제거를 위해 채널당 2회로 씩, 총 4회로의 AAVA가 투입됐다(밸런스드 AAVA). 

    AAVA 회로는 입력 버퍼 앰프(전압 출력) ⇒ VI 변환 회로(전류 출력)  ⇒ IV 변환 회로(전압 출력)로 짜였으며, VI 변환 회로에는 입력신호(전압 V) 대비 최대 ½, 최저 1/65만 536의 전류(I)를 출력하는 총 16개의 컨버터가 투입됐다. 따라서 입력신호는 이렇게 가중치가 적용된 16개 컨버터 조합을 통해 볼륨이 미세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노이즈 없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E-700에는 또한 잔류 노이즈와 왜율을 줄이기 위한 ANCC(Accuphase Noise and distortion Canceling Circuit) 설계가 추가됐다. ANCC는 별도 앰프를 통해 노이즈와 위상이 반대인 신호를  발생시켜 노이즈를 소멸시킨다. 왜율은 이 회로에 적용된 일종의 네거티브 피드백 회로를 통해 제거한다. 한편 전압을 이용하는 작동 원리상 ANCC는 AAVA 볼륨단에서 IV 변환 회로를 통해 최종 전압(V)이 출력된 직후에 적용된다.  


    파워앰프부 - 인스트루멘테이션 앰프 

    그림. 인스트루멘테이션 앰프 블록 다이어그램
    그림. 인스트루멘테이션 앰프 블록 다이어그램

    또 하나 음질적으로 이득이 있다는 점에서 짚고 넘어갈 만한 것이 파워앰프부에 투입된 인스트루멘테이션 앰프(Instrumentation Amplifier)다. 이는 파워앰프부 MOSFET 출력단 직전에 투입된 것인데, 위에 소개한 블록 다이어그램에서 알 수 있듯이 2개의 디퍼렌셜 차동 앰프가 일종의 밸런스 입력단 역할을 해 동상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인스트루멘테이션 앰프는 또한 입력 임피던스는 높고 출력 임피던스는 낮아서 파워앰프부의 입력 버퍼 역할도 한다. 


    댐핑 팩터 1000 - 4병렬 MOSFET, 밸런스드 리모트 센싱

    그림. 밸런스드 리모트 센싱
    그림. 밸런스드 리모트 센싱

    필자가 봤을 때 아큐페이즈 인티앰프의 역사는 댐핑 팩터 높이기의 역사로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74년 인티앰프 데뷔작 E-202에서 50이었던 댐핑 팩터가 2024년작 E-700에서는 무려 1000으로 늘었다. 이렇게 되면 특히 스피커 우퍼를 강력하게 제어할 수 있다. 댐핑 팩터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가 극도로 낮다는 것인데, 아큐페이즈에서는 이를 밸런스드 리모트 센싱(Balanced Remote Sensing) 회로를 통해 달성했다. 스피커 터미널을 빠져나가기 직전의 플러스(+) 신호 일부를 파워앰프부에 되먹임해(네거티브 피드백) 임피던스를 낮추는 원리다. ‘밸런스드’인 것은 접지(GND)와 연결된 마이너스(-) 신호까지 되먹임 시키기 때문이다. 

    사진. E-650(왼쪽)과 E-700(오른쪽) 출력단 모듈
    사진. E-650(왼쪽)과 E-700(오른쪽) 출력단 모듈

    출력 임피던스는 또한 병렬연결된 출력 소자의 개수를 늘림으로써도 낮췄다. E-650의 댐핑 팩터는 800, E-700은 1000인데, 이는 E-650의 MOSFET이 채널당 트리플 패럴렐(3병렬), E-700의 MOSFET이 채널당 쿼드러플 패럴렐(4병렬)인 것과 결코 무관치 않다. 


    청음

    하이파이클럽 시청실에서 진행한 E-700 시청에는 MSB Premiere 네트워크 DAC, 카이저 어쿠스틱스의 Kawero! Classic 스피커를 동원했다. 스피커 케이블은 안수즈 C2. 음원은 룬으로 타이달과 코부즈 스트리밍 음원을 들었다. 

    아티스트   Diana Krall
    곡   No Moon At All
    앨범   Turn Up The Quiet

    음의 입자감이나 저음의 무게감이 역시 진중한 클래스 A 앰프다. 악기로서 베이스의 호소력이 눈에 띄고 피아노는 그 음의 밀도가 장난이 아니다. 특히 오른손 건반의 고음이 잘 터진다. 이 촉촉하고 스무드한 질감은 전형적인 아큐페이즈 MOSFET 앰프의 것. 마치 대형 직열 3극관의 소릿결이나 반죽을 오래 치댄 듯한 농익은 감촉이다.

    전체적으로 노이즈가 한 방울도 느껴지지 않는데 이는 전단 풀 밸런스 설계와 밸런스드 AAVA 볼륨, ANCC 회로, 파워앰프부의 인스투루멘테이션 앰프 덕을 크게 봤을 것이다. 8옴 35W 출력으로도 카웨로 클래식을 넉넉하게 구동하는 것은 확실히 댐핑 팩터 1000의 힘이다. 

    아티스트   2Cellos 
    곡   The Sound of Silence 
    앨범   Dedicated

    가슴이 저릴 만한 낮고 에너지 가득한 첼로의 저음이 나온다. 연주의 디테일이나 소리결이 하도 생생해서 음이 끊긴 순간을 포함한 모든 것이 음악이자 정보로 다가온다. 그만큼 E-700의 청감상 SN비가 손에 꼽을 정도로 대단하다.

    두 번째 등장한 첼로가 평소보다 높은 위치에서, 약간 더 오른쪽에서, 보다 맑은 음을 내주는 것을 보면 이 앰프가 고차배음 재생에서 손실이 거의 없는 상태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음이 작거나 가볍거나 투박하지 않은 것은 아큐페이즈가 40년 넘는 세월 동안 튜닝에 튜닝을 거듭했다는 증거다. 음이 성기지 않고 빽빽한 점도 마음에 든다. 

    피아노   조성진
    지휘   Yannick Nezet-Seguin
    오케스트라   Chamber Orchestra of Europe
    곡   Mozart Piano Concerto No.20
    앨범   Mozart

    분리형 앰프에 비해서는 확실히 무대 안길이가 다소 짧게 그리고 평면적으로 느껴진다. 하지만 이는 인티앰프의 태생적인 한계이지 E-700의 잘못은 아니다. 대신 큰 소리와 작은 소리를 오갈 때, 고음과 저음을 오르내릴 때 이질적인 부분이 1도 없다. 무대 앞이 유난히 투명해서 불순물이 전혀 없는,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음의 세계를 만끽했다.

    이 곡은 오디오 기기 테스트용으로 꽤 많이 들은 곡인데 이날따라 피아노가 참으로 맑은 소리를 들려주고 여러 다양한 표정을 지어준다. 스피드도 괜찮고 헤드룸의 여유마저 느껴진다. 벙벙한 소리와는 아주 거리가 멀다. 

    아티스트   Duke Jordan
    곡   No Problem
    앨범   Flight to Denmark

    왼쪽에 드럼, 그 오른쪽에 베이스, 그 앞에 피아노의 오른손 건반이 차례차례 등장하더니 어느새 무대가 악기들로 꽉 찬다. 악기들의 이미지는 선명하고 베이스 저음의 양감은 충분하다.

    연주자들뿐만 아니라 이를 재생하는 앰프까지 능숙한 베테랑이라는 느낌. 작은 디테일을 하나하나 챙겨 다 살리는 솜씨가 보통이 아니다. 계속해서 앰프 출력이 부족하다는 느낌은 전혀 없으며, 이 곡에서는 오케스트라 대편성에서 아쉬웠던 무대 안길이가 제법 크게 늘어난다. 소릿결과 구동력, 스피드와 야무지면서도 고운 입자감 등 매력적인 인티앰프다. 

    지휘   Thierry Fischer
    오케스트라   Utah Symphony
    곡   Symphony No.1 In D Major 'Titan'
    앨범   Mahler: Symphony No. 1 In D Major "Titan" (Live)

    4악장을 들어보면 처음부터 무대의 스케일과 다이내믹스가 필자를 압도한다. 거의 포효 수준. 보무가 워낙 당당해서 곡의 권위랄까 이런 것들이 잘 느껴진다. 인티앰프가 총 11만 2000㎌ 저장용량의 넉넉한 전원부를 갖추면 이런 일이 벌어짐을 다시 확인했다. 넉넉한 헤드룸이야말로 E-700의 속살 같은 매력 중 하나다. 흐릿하거나 뭉치지 않은 음, 개운하면서도 기세가 잘 느껴지는 음은 비유컨대 호타준족의 느낌. 클래스 A 앰프 특유의 음이 포화된다는 느낌도 없다. 음이 끊겼을 때는 귀까지 먹먹해졌다. 


    총평

    만약 필자가 오디오 전문 리뷰어가 아니라 오디오 애호가였다면 오디오 시스템은 지금과 많이 달랐을 것이다. 오디오 리뷰어의 오디오 시스템은 리뷰 제품과 언제든 범용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하지만, 오디오 애호가의 오디오 시스템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소리를 들려주는 쪽으로 기기를 조합하면 되기 때문이다. 필자가 분리형 앰프를 쓰는 이유도 무대의 확장이나 소리의 생기를 위한 이유도 있지만, 언제든 리뷰를 위해 프리앰프 혹은 파워앰프를 빼고 투입하려는 이유도 크다. 

    어쨌든 평소 DAC은 홀로 오디오의 MAY DAC 키츠네 에디션, 스피커는 그라함 오디오의 LS5/5가 필자가 좋아하는 소리를 들려준다고 생각했다. 앰프는 몇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아큐페이즈 인티앰프다. 전에는 E-5000이었고, 이번에는 E-700이다. 봐도 봐도 질릴 것 같지 않은 앰프의 순한 인상도 좋았지만, 이 앰프가 들려준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음의 세계는 다른 앰프에서는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앰프로 때로는 아주 낮은 볼륨으로, 때로는 끝까지 볼륨을 올려 내가 좋아하는 음악을 계속해서 듣고 싶다.

    by 김편 오디오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하이파이클럽(http://www.hificlu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태그
    E-700 Integrated Amplifier Accuphase 음향기기
    안내 ?

    말 많은 뉴스

    • 1

      오직 소리로만 PC를 판단한다! 각종 PC 소음 대처법

      댓글11
      오직 소리로만 PC를 판단한다! 각종 PC 소음 대처법
    • 2

      갤럭시 Z 폴드 역대 모델 총정리

      댓글7
      갤럭시 Z 폴드 역대 모델 총정리
    • 3

      볼보 EX90, 내부 감시 카메라에 라이다까지… 소비자 불신 커져

      댓글7
      볼보 EX90, 내부 감시 카메라에 라이다까지… 소비자 불신 커져
    • 4

      GM, 전기차 대신 내연기관 모델 생산 확대

      댓글6
      GM, 전기차 대신 내연기관 모델 생산 확대
    • 5

      에이원아이엔티 '세고텝 Nexus1 PRO KR 아트홀' PC 케이스 출시

      댓글6
      에이원아이엔티 '세고텝 Nexus1 PRO KR 아트홀' PC 케이스 출시

    전문가 리뷰 최신 글

    이전 페이지 1/10 다음 페이지
    • 선물하기 좋은 해외여행용 휴대용 배터리, 벨킨 부스트차지 파워뱅크 10K With Display (BPB027)

      브레인박스 25.07.18.
      읽음 121 공감 4
    • 샐러리맨은 시원하게 쉬고싶다!!

      다나와 25.07.18.
      읽음 16,264 공감 26 댓글 6
    • 본격적인 와이파이7 시대를 위하여 EFM ipTIME BE6500PX-E 무선랜카드

      브레인박스 25.07.18.
      읽음 88 공감 4
    • 노트북은 돌고 돌아 결국 LG 그램으로... LG전자 그램16 16ZD90RU-GX54K[노리다]

      다나와 25.07.18.
      읽음 19,804 공감 3
    • PCIe 5.0으로 확고한 성능 우위, 마이크론 Crucial T710 4TB 아스크텍

      보드나라 25.07.18.
      읽음 88 공감 4
    • [시승기] BYD 씰 다이내믹 AWD '中 전기차 기술력, 이 정도 일줄은…'

      오토헤럴드 25.07.18.
      읽음 93 공감 1 댓글 1
    • 화이트 바디에 RGB 감성, 캔스톤 X9BT 블루투스 스피커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25.07.18.
      읽음 50 공감 2
    • 압도적 성능으로 무장한 최고급형 게이밍 PC, 레노버 LEGION T5 30AGB10 90YJ002YKA

      노트포럼 25.07.18.
      읽음 60 공감 2
    • 언제나 최고의 4K 게이밍 환경을 제공하는 노트북, MSI 레이더 18 HX AI A2XWIG-U9 UHD+ Mini LED W11

      케이벤치 25.07.18.
      읽음 70 공감 1
    • [체험기] 더 박진감 넘치는 전장이 온다 '슈퍼바이브'

      게임동아 25.07.18.
      읽음 53
    • 아재감성 뿜뿜 레트로 스타일, 키감은 더 좋아! 1stPlayer NEO87 레트로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25.07.18.
      읽음 87 공감 2 댓글 1
    • 대반전 아이디어..! 갤럭시Z 폴드7 이라서 가능한 가성비 케이스 살펴봤습니다! (폴드7 이 없다? 가져가세요 )

      라이브렉스 25.07.18.
      읽음 4,226 공감 1
    • 다나와 표준PC? 할말은 해야겠습니다! 7월 5060Ti 게이밍 PC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25.07.18.
      읽음 2,893 공감 3
    • 닌텐도 스위치2 두 번 떨구고 구매, SUPCASE UB PRO 풀세트 언박싱 #unboxing #supcase

      DmonkTV 25.07.18.
      읽음 2,958 공감 3
    • One UI 8.0, 이정도면 폴드 구매이유서 아님? (갤럭시 Z 폴드 7)

      고나고 25.07.18.
      읽음 3,427 공감 17 댓글 3
    • 마우스 시장이 가성비로 정상화 되어버렸다.. (일반인 기준) 마우스 고르는 쉬운 방법

      다나와 25.07.17.
      읽음 32,631 공감 6
    • 이렇게 예쁜데 성능까지 좋으면 반칙? 국내 정발로 만나보는 에디파이어 QR30

      무적풍화륜 25.07.17.
      읽음 4,990 공감 11 댓글 4
    • 복합기 끝판왕?! 캐논 MAXIFY GX7192 모든 기능 써봤습니다!

      도레 25.07.17.
      읽음 4,131 공감 2
    • 삼계탕 1등 뽑기~ 8종 리뷰

      맛상무 25.07.17.
      읽음 6,462 공감 4
    • 안정적인 무선 와이파이6E 를 사용하고 싶다면, EFM ipTIME AX5400PX (11AX 2x2, WIFI-6E)

      브레인박스 25.07.17.
      읽음 109 공감 3
    • 책상 위에 두기 딱 좋아. 앱코 UD20M 미니웨일

      기글하드웨어 25.07.17.
      읽음 111 공감 3
    • darkFlash DS900G ARGB : 커브드 글래스로 압도적인 연출력을!

      쿨엔조이 25.07.17.
      읽음 77 공감 3
    • 집·회사에서 자꾸 혼난다..? 그럼 라벨기 필수템이야! (브라더 라벨프린터 PTP710BT)

      라이브렉스 25.07.17.
      읽음 1,906 공감 2
    • 마트에서 이게 진짜 가능해? 솔직하게 말씀드립니다

      맛상무 25.07.17.
      읽음 408 공감 3
    • 이거..왜 좋지..? (스케쳐스 SKX_02 엘리트 AG)

      Allthatboots TV 25.07.17.
      읽음 2,964 공감 3
    • PCIe 5.0 극한까지 성능을 올리다, WD_BLACK SN8100 NVMe SSD

      베타뉴스 25.07.17.
      읽음 106 공감 3 댓글 1
    • 고급 알루미늄 소재와 폴딩 디자인!!카멜 11 in 1 멀티허브 스탠드 DSS1

      쿨엔조이 25.07.17.
      읽음 2,840 공감 3
    • 이젠 AI가 사진을 골라줍니다. 조명, 표정까지 판단해준다고?

      Hakbong Kwon 25.07.17.
      읽음 2,905 공감 2
    • 강릉항 나폴리호 리액션 맛집이네! 광어 잡으로 동해 바다 가자

      훅간다TV 25.07.17.
      읽음 2,906 공감 2
    • 세계 최초!!! 마이바흐 브랜드센터 서울 오픈! 특별한 모델 전시도?

      모터피디 25.07.17.
      읽음 2,960 공감 1
    • 엑시노스에 인질(?)잡힌 갤럭시 Z 플립7 개봉기

      UnderKG 25.07.17.
      읽음 3,090 공감 4
    • [Z플립7/Z폴드7 케이스 추천] 케이스티파이 신상 실물리뷰

      톡써니 25.07.17.
      읽음 3,356 공감 19 댓글 2
    • LIAN LI LANCOOL 217 BLACK : 리안리가 쿨링에 진심일 때.

      쿨엔조이 25.07.17.
      읽음 390 공감 4
    • 한방에 훅 간다~ 꿈돌이 쌀막걸리 리뷰

      맛상무 25.07.17.
      읽음 977 공감 3
    • 랜케이블과 USB 랜카드를 하나로 EFM ipTIME UC2LAN(USB 타입C), U2LAN (USB 타입A)

      브레인박스 25.07.17.
      읽음 92 공감 3
    • 마이바흐 SL680 "역시 명불허전!"

      오토기어 25.07.17.
      읽음 854 공감 2
    • RTX 50+QHD 240Hz의 가격을 후려침. MSI 소드 GF76 HX B14WFK-i7 QHD

      기글하드웨어 25.07.17.
      읽음 84 공감 3
    • 업그레이드 된 대형기 사운드 2025년판 | SeeAudio Kaguya 2

      Producer dk 25.07.17.
      읽음 2,894 공감 2
    • 집사에겐 필요해! 아이피타임 C500G 500만화소 IPCAM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25.07.17.
      읽음 67 공감 1
    • 고양이 집사라면? 아이피타임 C400G IP카메라 400만 화소 홈 CCTV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25.07.17.
      읽음 62 공감 1
    • 140mm 쿨링팬 탑재! 마이크로닉스 WIZMAX G-1200W 골드 ATX 3.1 파워 [써보니]

      위클리포스트 25.07.17.
      읽음 65 공감 3
    • 로봇청소기 뭘 사야할 지 고민되시나요? 오늘 영상에서 딱 정해드립니다! (ft. 로보락 Q8 시리즈)

      인프제 INFJ 25.07.17.
      읽음 2,783 공감 3
    • 전문가를 위한 C타입 지원 고화질 4K 모니터, 크로스오버 27USW9 UHD4K-iPS USB-C 화이트

      노트포럼 25.07.17.
      읽음 130 공감 3
    • 불쾌지수 높은 여름에 속 시원한 성능,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

      보드나라 25.07.17.
      읽음 103 공감 4
    • 5대째 문배나무의 향이 나는 술

      마시즘 25.07.17.
      읽음 79 공감 3 댓글 1
    • 250만원주고 갤폴드7 사는 게 맞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Z폴드4,5,6,7 비교)

      THE EDIT 25.07.17.
      읽음 3,627 공감 10 댓글 2
    • 소비자 90%가 속았다.. 완전 자동은 따로 있다! 업계 최초 완전자동 음식물처리기 알려드림

      라이브렉스 25.07.16.
      읽음 3,674 공감 4
    • 가성비 AI 메인보드로 돌아온, ASRock H810M-X (에즈원) 메인보드

      브레인박스 25.07.16.
      읽음 146 공감 4
    • 하루 매출 800만원 대박난 딤섬집 탈탈 털어보기~(광고 아님)

      맛상무 25.07.16.
      읽음 2,732 공감 4 댓글 1
    • 레노버 Y700이 부담이면.. 이건 메인으로 괜찮을까? 'ALLDOCUBE iPlay70 mini Ultra'

      도레 25.07.16.
      읽음 2,336 공감 2
    • 긱벤치AI로 내PC 들춰보잣! 2탄

    • 다나와 리포터 서비스 잠정 중단 안내

    • 점심메뉴 공유하고 경품 받자! 오점소 챌린지

    스폰서 PICK

    이전 페이지 2/5 다음 페이지
    • 엔티스 EG 1000W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화이트

      엔티스 EG 1000W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화이트

      엔티스
    • 알파스캔 AOC Q27G4/D 게이밍 FAST IPS 200 QHD HDR 400 멀티스탠드 무결점

      알파스캔 AOC Q27G4/D 게이밍 FAST IPS 200 QHD HDR 400 멀티스탠드 무결점

      알파스캔
    • Antec FLUX PRO MESH(블랙)

      Antec FLUX PRO MESH(블랙)

      Antec
    • 잘만 ALPHA II DS A36(블랙)

      잘만 ALPHA II DS A36(블랙)

      잘만
    • 앱코 KN35BT TKL DRT 8K 염료승화 블루투스 유무선 무접점(서울)

      앱코 KN35BT TKL DRT 8K 염료승화 블루투스 유무선 무접점(서울)

      앱코
    • 1stPlayer Mi5(블랙)

      1stPlayer Mi5(블랙)

      1stPlayer
    • 인텔 코어 울트라7 시리즈2 265K (애로우레이크)(정품)

      인텔 코어 울트라7 시리즈2 265K (애로우레이크)(정품)

      인텔
    • darkFlash DY470 ARGB 강화유리(화이트)

      darkFlash DY470 ARGB 강화유리(화이트)

      darkFlash
    •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700W 80PLUS브론즈 ATX3.1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700W 80PLUS브론즈 ATX3.1

      마이크로닉스
    • AMD 라이젠5-6세대 9600X (그래니트 릿지)(멀티팩 정품)

      AMD 라이젠5-6세대 9600X (그래니트 릿지)(멀티팩 정품)

      AMD
    • AMD
    • 잘만
    • 명성(인텔)
    PC버전 로그인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센터
    (주) 커넥트웨이브
    대표:
    김정남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98, 17층(가산동, 대륭포스트타워6차) / 우편번호: 08510
    • 사업자번호:
      117-81-40065
    • 통신판매업:
      제2004-서울양천-00918호
    • 부가통신사업:
      제003081호
    • 고객센터:
      1688-2470 (유료)
    • 이메일:
      cs@cowave.kr
    • 호스팅 제공자:
      (주)커넥트웨이브
    • 사업자 정보확인
    • 이용약관
    • 책임의 한계
    • 청소년 보호정책
    뒤로
    새로고침 맨위로 이동
    안내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포인트 안내
    목록
    공감 7
    비공감
    댓글 2
    공유

    공유받은 친구가 활동하면 포인트를!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 카카오톡
    • 라인
    • 페이스북
    • X
    • 밴드
    https://dpg.danawa.com/mobile/news/view?boardSeq=62&listSeq=5633880 복사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