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벤치마크를 처음 시작할 무렵, 아는 분에게서 당시로선 매우 좋은 파워를 한 대 받았습니다. 얼마 전에 창고를 정리하다가 그 파워를 발견했는데, 처음 썼을 때는 매우 좋았을지 몰라도 이제 와서는 아주 평범하기 그지없는 스펙의 파워가 되어 버렸더라고요. 풀 모듈러도 아니고 80+ 골드라는 평범한 스펙에 용량은 600W에 불과했거든요. 요새 600W는 보급형 파워에서나 구경할 만한 용량이고요. 하이엔드 지포스 RTX 50 시리즈 그래픽카드에 무조건 하나씩 들어가는 12V-2x6 커넥터 하나가 600W까지 공급하고요. 현 세대 플래그쉽인 지포스 RTX 5090 한 대가 사용하는 표기 전력이 600W입니다. 그러니 그 파워 하나로는 요새 나오는 그래픽카드 한 대나 굴리는 수준이라는 소리죠. 이제 고성능 그래픽카드와 CPU가 달린 하이엔드 시스템을 쓰려면 파워 용량이 600W가 아니라 그 앞에 1을 더한 1600W라 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에까지 이르렀습니다.
MSI MEG AI1600T PCIe 5.0은 1600W 용량의 하이엔드 파워입니다. 누가 봐도 토를 달 수가 없는 큰 용량에, 12V-2x6 커넥터 2개가 있어 지포스 RTX 5090 두 대를 달아도 거뜬히 감당할 수 있는 우월한 스펙을 자랑합니다. 물론 다른 커넥터의 수량도 풍부합니다. 8핀 PCIe가 9개, SATA 포트가 8개, 몰렉스가 8개니 주변 기기를 주렁주렁 달아두기에 충분한 숫자지요. 용량만 높고 출력 포트만 많은 것도 아니고요. 80+ 티타늄 인증을 받아 최고 94%의 효율을 확보했습니다. 큰 용량, 높은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서버 등급의 소재와 SiC 인터리브 PFC MOSFET 등의 고급 재료를 아낌없이 사용하고, 다양한 파워 보호 장치와 더불어 240%의 순간 전력까지 버텨냅니다. 또 MSI 제품군의 최고봉인 MEG 시리즈답게 묵직한 패키지와 고급스러운 디자인의 측면 LED를 보여주며, MSI 센터 앱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전력 상황을 가장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제품명 | MSI MEG AI1600T PCIe 5.0 |
규격 | ATX |
출력 용량 | 1600W |
입력 전압 | 100~240V AC |
입력 주파수 | 50~60Hz |
전력 효율 | 최고 94%, 80+ 티타늄 인증, 사이버네틱스 티타늄 인증, PPLP 티타늄 인증 |
전압별 출력 | +5V 22A, +3.3V 22A. 120W -12V 0.3A. 3.6W +5Vsb 3A. 15W +12V 싱글 레일 133.3A 1599.96W |
케이블 종류 | 풀 모듈러 소프트 브레이디드 케이블 케이블 정리용 장치 |
제공 케이블 | ATX 24핀 1개, EPS 4+4핀 2개, 듀얼 컬러 600W PCIe 5.1 16핀 2개, PCIe 6+2핀 9개, SATA 8개, MOLEX 8개 |
주요 기능 | 듀얼 컬러 12V2x6 케이블 디자인 서버 등급 부품, SiC 인터리브드 MOSFET 100% 일제 105도 캐패시터 디지털 컨트롤 MCU 제로 팬 모드 스위치 구리 합금 단자 DC to DC 모듈 설계 MSI 센터 모니터링/컨트롤 측면 ARGB LED |
쿨링팬 | 135mm 더블 볼 베어링 팬 |
제품 크기 | 190x150x86mm |
PFC 회로 종류 | 인터리브 PFC |
보호 회로 종류 | OCP, OVP, OPP, OTP, SCP, UVP, SIP, NLO |
참고 링크 | https://www.msi.com/Power-Supply/MEG-Ai1600T-PCIE5 |
가격 | 미정 |
귀티가 잘잘 흐르는 MSI MEG
MEG는 가장 좋은 것만 골라 넣은 MSI의 최고급 라인업입니다. 이게 얼마나 고급인지는 제품 박스부터 느껴지는데요. 단단하게 각이 잡힌 두꺼운 검은색 박스 위에, 고급의 상징인 금색으로 제품명과 로고를 넣었습니다. 크기에 딱 맞춰서 안을 파낸 포장재 안에는 부직포로 감싼 파워가 들어 있습니다. 그것까지 벗겨내야 비로소 MSI MEG AI1600T PCIe 5.0를 마주하게 됩니다. 크기는 190x150x86mm입니다. 일반 ATX 파워보다는 조금 긴 편이나, 1600W에 달하는 큰 용량을 감안한다면 특별히 크다고 할 수준은 아닙니다. 풀 모듈러 방식이라 파워 안쪽에는 연결 단자만 있으며, 뒤쪽에는 큰 용량에 맞춘 C19 규격의 사각형 AC 인렛 단자가 있습니다. 파워의 전원 스위치 옆에는 제로 팬 모드 전환 스위치가 있어, 제로 팬 기능을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한쪽 면에는 ARGB LED가 있어 전원을 켜면 부드럽게 빛이 움직입니다. 대부분의 케이스에선 커버에 가려 보기 힘들겠지만요.
자세히 보기
박스 전면
박스 뒷면
종이 띠지를 제거.
박스 내부.
안내문.
부직포로 감싼 파워.
옆에는 제로 팬 모드의 설명을 적어둔 종이가 있습니다.
MSI MEG AI1600T PCIe 5.0 파워입니다.
크기 190x150x86mm. 어지간한 ATX 케이스가 250mm의 파워 공간을 제공하니, 호환성에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무게는 2.5kg.
제품 상단. 스펙이 있습니다.
반대편엔 135mm 구경 쿨링팬이 있습니다.
이쪽은 MEG 로고.
반대편은 ARGB LED 패널입니다.
모든 케이블이 분리된 풀 모듈러 방식의 파워입니다. 12V-2x6 커넥터가 2개 있고요. 메인보드와 연결하는 USB-C 커넥터도 있습니다.
뒷면에는 큰 용량을 커버하는데 필요한 사각형 AC 인렛과 전원 스위치, 제로 팬 모드 스위치가 있습니다.
2개의 듀얼 컬러 PCIe 5.1 케이블
이 파워는 풀 모듈러 케이블 설계를 도입했습니다. 필요한 케이블만 골라서 파워에 연결하는 방식이며, 이는 가장 기본적인 1개의 24핀 ATX 케이블과 2개의 4+4핀 EPS 케이블도 예외는 아닙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PCIe 5.1 규격을 지원하는 12V-2x6 케이블입니다. 다른 케이블은 처음부터 끝까지 검은색 일색인데 반해 이건 끝 부분을 노란색으로 만들어서 눈에 띄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이렇게 눈에 확 들어오게 만들어 케이블을 끝까지 꽃았는지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디자인했습니다. 또 최대 600W까지 공급 가능한 이 12V-2x6 케이블을 1개가 아닌 2개를 제공해 2개의 하이엔드 그래픽카드까지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12V-2x6을 쓰지 않는 중급형 그래픽카드나 라데온 하이엔드 카드도 상관 없습니다. PCIe 6+2핀 단자는 총 9개가 있거든요. SATA 포트도 8개, 4핀 몰렉스 포트도 8개까지 제공하니 방대한 양의 스토리지나 주변 기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케이블 주머니.
케이블이 한 가득 들어 있습니다.
USB-C 케이블, 선전리용 벨크로 타이, AC 전원 케이블, 조립용 나사입니다.
파워의 USB-C 포트를 메인보드의 USB 2.0 핀헤더에 연결하면 MSI 센터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대용량 파워는 높은 전류를 공급받기에, 사각형 AC 인렛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케이블도 두껍습니다. 오른쪽의 평범한 AC 케이블도 특별히 두꺼운 걸로 골라서 산 건데요. MSI MEG AI1600T PCIe 5.0의 제공 케이블과 비교하니 얇네요.
ATX 24핀 케이블입니다.
파워에 연결하는 단자는 2개로 나뉘어져 있어 선정리가 편합니다.
케이블 길이는 600mm입니다.
2개의 12V-2x6 케이블입니다. PCIe 5.1을 지원합니다.
단자 끝 부분만 노란색으로 만들어, 끝까지 제대로 끼웠는지 구분하기가 편합니다.
12개의 전력 공급 핀 위에 4개의 신호 전송 핀이 있습니다.
케이블 길이는 600mm입니다.
2개의 4+4핀 EPS CPU 보조전원 케이블입니다.
4+4핀 단자로 분리됩니다. 이 정도 파워를 쓰는 시스템에서 8+4핀 보조전원 메인보드를 쓸 것 같진 않지만요.
단자의 모습.
길이는 750mm입니다.
9개의 6+2핀 PCIe 케이블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2개는 케이블 하나에 2개의 단자가 있고, 나머지는 1개의 단자가 있습니다.
2개의 6+2핀 단자가 있는 케이블입니다.
6+2핀으로 분리가 됩니다. 이 정도 파워를 쓰는 시스템에서 6+2핀 단자 그래픽카드를 쓸 것 같진 않지만요.
첫 번째 단자까지 길이는 600mm, 두 번째 단자는 거기서 100mm가 더 깁니다.
이쪽은 1개의 6+2핀 단자가 달린 케이블입니다. 하이엔드 그래픽카드 중에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하나의 케이블에 하나의 단자만 연결하라고 권장하는 제품이 있는데요. 그럴 때는 이 케이블을 쓰면 됩니다.
6+2핀으로 분리됩니다.
케이블 길이는 600mm입니다.
SATA 케이블 2개입니다.
하나의 케이블에 4개의 SATA 단자가 있습니다.
단자 부분.
500mm, 700mm, 800mm, 900mm에 하나씩 SATA 단자가 있습니다.
몰렉스 케이블 2개입니다.
케이블 하나에 4개의 몰렉스 단자가 있습니다.
단자 부분의 사진.
500mm, 700mm, 800mm, 900mm에 단자가 하나씩 있습니다.
디지털 디자인에 인터리브 PFC MOSFET
MSI MEG AI1600T PCIe 5.0는 파워 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CWT의 CTF 플랫폼을 기반으로 삼아 만들었습니다. 앞에서 1600W라는 큰 용량에 비해 크기가 크진 않다고 말했었는데요. 파워의 공간을 줄이기 위해 1개의 대형 변압기가 아닌 2개의 변압기를 병렬로 구성했습니다. 플랫 스프링 방식의 코일을 쓴 것도 높은 효율을 유지하면서 내부 공간을 줄이려는 선택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PFC와 LLC를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해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합니다. MSI는 여기에 서버 등급의 부품을 사용했다고 설명합니다. 세계 최초로 인피니언 SiC MOSFET을 일반 데스크탑 파워의 인터리브 PFC에 사용해, 효율을 높이고 전력 손실을 줄였으며 온도를 낮췄습니다. 파워 안에 장착된 모든 캐패시터는 일본산이며 105도의 온도까지 버텨냅니다. 쿨링팬은 ZETA의 135mm 더블 볼 베어링 팬을 장착했습니다. 조용한 소음과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일등 공신이지요.
자세히 보기
팬 커버를 제거합니다.
파워 상단에 쿨링팬이 있습니다.
135mm 구경의 듀얼 볼 베어링 팬입니다.
12V 0.45A로 작동하며 제조사는 ZETA입니다. 왼쪽은 일부러 투명 커버로 가려, 바람이 주요 열원에 집중되도록 했습니다.
이제 파워 내부를 봅시다. 큰 방열판 없이 부품으로 안을 꽉 채웠습니다.
2개가 나란히 병렬 연결돤 변압기
인터리브 PFC 회로는 2장의 기판으로 구성됩니다.
여기에는 완전한 디지털 컨트롤러 시스템이 탑재됩니다.
루비콘의 420V 790uF 캐피시터 2개가 있습니다.
입력 단자의 필터와 스위치. 방열판에는 MEG 로고가 있습니다.
출력 단자 쪽에는 2개의 DC-DC 커버터가 달린 작은 기판이 있습니다.
플랫 스프링 방식의 코일 2개가 있습니다.
지포스 RTX 5090 2개 먹여 살리는 파워
사실 MSI MEG AI1600T PCIe 5.0는 진작에 테스트를 끝낸 물건입니다. 지포스 RTX 5090이 왔을 때 미리 써 봤거든요. https://gigglehd.com/gg/17027962지포스 RTX 5090의 최대 사용 전력은 600W고, 게임 테스트에서 시스템 전체 사용 전력은 800W였습니다. 그래서 안전하게 1000W의 파워를 권장하는데요. 1600W라면 플래그쉽 그래픽카드를 하나 더 끼워 넣어도 될 것 같아서, 5090 2장까지는 못 구하고 5090과 4090을 동시에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행해 봤습니다. 코어 i9-13900K까지 더해져 최고 1200W의 전력을 사용했지만 전압은 매우 안정적이었습니다. +3.3V 출력이 3.284V에서 3.3V로 편차가 0.016V, +5V는 5.05V에서 5.07V로 0.02V, +12V가 11.976V에서 12.024V로 편차치가 0.048V에 불과했습니다. 또 소음도 매우 낮았습니다. 파워 앞 30cm에서 소음 측정기를 들이대도 36dBA에 그쳤는데, 이 정도면 그래픽카드나 CPU 소음에 묻히는 수준이지요.
MSI의 고급형 파워는 운용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복잡한 장비나 까다로운 프로그램을 쓸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MSI 센터의 파워 모니터링 모듈에선 현재 출력과 파워 효율, 온도, 출력 전압과 전류 등의 기본적인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은 물론, 이들 데이터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며 CSV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도 제공하거든요. 그래서 안정적인 시스템 운용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그걸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하길 원하는 까다로운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켜 줍니다.
자세히 보기
1600W 파워에서 CPU 딸랑 하나 풀로드로 돌리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그래서 코어 i9-13900K, 지포스 RTX 5090 슈프림, 지포스 RTX 4090 슈프림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풀로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코어 i9-13900K + MSI MPG Z790 엣지 TI 맥스 WIFI https://gigglehd.com/gg/15363310
MSI 지포스 RTX 5090 슈프림 리퀴드 SOC D7 32GB https://gigglehd.com/gg/17027962
MSI 지포스 RTX 4090 슈프림 X D6X 24GB 트라이프로져3S https://gigglehd.com/gg/13074335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측면 LED
MSI 센터에서 인식하는 파워의 기본 정보
실시간 대시보드에선 전압과 출력의 변동 폭을 보여주며, CSV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DC 출력 단자 소개
풀로드 테스트에서 보여주는 정보들
동원할 수 있는 최고 부하를 줬을 때의 상태입니다. 전기를 많이 쓰는 코어 i9-13900K, 지포스 RTX 5090, 지포스 RTX 4090까지 장착했지만 이 정도는 MSI MEG AI1600T PCIe 5.0에게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소음은 매우 조용하고, 파워 표면 온도도 준수합니다. 가장 높은 곳은 라벨이 붙어있는 45도이며, 다른 곳은 20~30도 중반을 유지했습니다.
MSI MEG AI1600T PCIe 5.0
1600W의 압도적인 용량과 80+ 티타늄 인증의 높은 효율을 자랑하는 고급 파워입니다. PCIe 5.1과 ATX 3.1 같은 최신 규격은 당연하고, 2개의 12V-2x6 커넥터를 제공해 2개의 하이엔드 그래픽카드에 전원을 공급합니다. 이런 높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 등급의 부품과 인피니언 SiC MOSFET을 탑재했으며, 135mm 구경의 대형 팬은 사이버네틱스 A++ 등급을 받아 낮은 소음을 보장합니다. 여기에 제로 팬 스위치까지 있어 더더욱 정숙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지요. 큰 용량임에도 불구하고 길이가 190mm에 불과하며, 측면 ARGB LED는 하이엔드 제품다운 품격을 보여줍니다. 여기에 MSI 센터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까지 제공하니, 하이엔드 파워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갖췄다고 보여집니다. 지포스 RTX 5090처럼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그래픽카드 2장을 안정적으로 운용하며, 이를 편리하게 확인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알맞는 제품입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 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독창적인 기능과 디자인. 마이크로닉스 2025 신제품 발표회 |
더 커졌는데 여전히 십만원. MSI MP252L850 IPS 100 시력보호 |
괴물 사냥은 라데온으로. 몬스터 헌터 와일즈를 위한 그래픽카드 |
MSI하면 역시 게이밍. MSI 지포스 RTX 5070 Ti 게이밍 트리오 OC 플러스 D7 16GB 트라이프로져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