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신발언 하겠습니다. 요새 어항형 케이스가 참 재미가 없습니다. 싼 어항, 작은 어항, 큰 어항, 심지어는 전면과 측면 유리를 한 장의 곡면 유리로 연결한 비싼 어항까지 그 종류와 변형이 얼마나 많은데 재미가 없다고 하는 것이냐, 그런 쓰잘데기 없는 소리나 하니까 케이스 회사들이 간만 보고 성사가 안 되는 것이다라는 언어 폭력은 잠시 거두어 주시고요. 무슨 어항 케이스가 나와도 결국은 전면에 유리, 측면도 유리, 그 사이에 기둥 없음이라는 기본적인 구조에서 벗어나질 못하니 재미가 없다는 말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항형 케이스를 그렇게 만드는 게 당연하지, 거기서 뭘 더해야 하냐는 반문이 나올 수도 있겠는데요. 마이크로닉스는 정말로 그렇게 했습니다. 이제는 식상해진 기존 어항형 케이스의 문법을 벗어난 루프탑이 그것입니다.
루프탑이란 건물의 옥상이나, 옥상에 설치해 둔 무언가를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그러니 케이스 이름에 루프탑을 붙였다면 케이스 상단에 뭔가 특별한 게 있을 거라고 짐작하기 마련인데요.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은 상단에 흔한 철판이 아닌 강화유리 패널을 장착했습니다. 어항형 케이스답게 케이스 전면과 좌측에도 당연히 강화유리 패널이 들어가고, 거기에 상단 강화유리 패널을 추가하고 각 유리 패널 사이의 기둥을 없애면서 지금까지 나온 어항형 케이스를 넘어서는 압도적인 개방감을 선사합니다. 또 케이스 상단과 하단에 ARGB LED 바를 추가해 화려함을 더했고요. 메인보드 트레이 뒷면에 쿨링팬을 장착해 쿨링을 보강할 수 있으며, 우측 공간에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제공해 편리한 장착과 깔끔한 관리까지 가능한 케이스입니다.
제품명 |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
케이스 종류 | 미들 타워, 3면(전면, 좌측, 상단) 파노라믹 디스플레이(어항형 케이스) |
재질 | 상단: 강화유리 패널 우측: 듀얼 에어홀 메탈 패널 전면: 강화유리 패널 좌측: 강화유리 패널 하단: 마그네틱 먼지 필터 |
패널 | 강화유리, 최대 0.8T 강판 |
전체 크기 | 451x258x491mm |
무게 | 9.7kg |
드라이브 베이 | 3.5인치 최대 3개, 2.5인치 최대 5개 |
확장 슬롯 | 7개 |
메인보드 폼펙터 | E-ATX/ATX(BTF)/M-ATX(BTF)/미니 ITX |
파워 폼펙터 | ATX |
파워 장착 공간 | 길이 260mm |
확장 카드 공간 | 길이 420mm |
CPU 쿨러 높이 | 높이 180mm |
기본 장착 쿨링팬 | 후면: 120mm ARGB PWM 팬 x1 (회전 속도 1200rpm, 최대 풍량 42.85CFM, 소음 25.8dB, 풍압 0.85mmH2O, 수명 5만 시간, 팬 속도와 온도 표시 인디케이터인 InFoSync 탑재) |
최대 쿨링팬 구성 | 측면: 140mm x3 CPU 후면: 120mm x1 하단: 120mm x1 파워 커버: 120mm x3 후면: 140mm x1 |
수냉 라디에이터 | 측면: 360mm까지 하단: 360mm까지 |
추가 기능 | 90도 회전 확장 카드 슬롯 상단/하단 ARGB LED 바 스윙 스토리지 패널 모듈식 커버 디자인 LED On/Off 스위치 ARGB LED 허브, 88종 동조 |
하단 좌측 포트/버튼/LED 구성 | USB 3.2 Gen2 타입 C x1 USB 3.2 Gen1 타입 A x2 파워 버튼 x1 LED 조절 버튼 x1 3.5mm 오디오 x1 전원 LED 하드디스크 LED |
색상 | 블랙 |
참고 링크 | https://prod.danawa.com/info/?pcode=92045816 |
가격 | 149,000원(2025년 6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
압도적인 개방감의 3면 강화유리, 화려함을 더해주는 LED 바
케이블이 잔뜩 구겨져 있어서 보여줘봤자 지저분하다는 핀잔이나 들을 우측 패널과 바닥을 제외하고, 전면과 좌측 패널, 그리고 상단 패널까지 강화유리 패널을 탑재했습니다. 기존의 어항형 케이스만 해도 그 개방감이 일반 케이스와 확연히 다른데, 여기에 케이스 상단까지 강화유리 패널을 탑재하면서 압도적으로 트인 시야를 제공합니다. 케이스 위가 막혀있지 않으니 책상 위에 둬도 뻥 뚫려있다는 느낌을 주고요. 바닥에 둬도 케이스 안에 뭐가 있는지를 막히 없이 보여줄 수 있습니다. 케이스 윗면을 통해서도 내부를 훤히 들여다 볼 수 있으니 느낌이 다르다는 건 인정, 그렇다면 그걸 어떻게 고정할까 궁금해 하실 분이 계실 수도 있겠는데요. 3장의 유리 패널이 만나는 모서리에 마그네틱 트리플 락을 넣어 튼튼하게 잡아 줍니다. 측면 유리 패널이 분리되는 건 당연하고, 상단 강화유리 패널도 손나사로 고정해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조립하기가 정말 편리합니다.
탁 트인 상단 강화유리 아래로 바로 메인보드가 등장하는 건 아니고, 그 사이에 ARGB LED 바가 탑재됐습니다. 메인보드부터 후면 쿨링팬까지 이어지는 구조로, 상단 패널이 뚫려 있어 다소 허전하다는 느낌을 줄 수도 ??는 윗부분을 빛으로 채워줍니다. 또 위쪽에만 신경 써서 튜닝을 해줬다면 아래쪽이 허전하다는 소리를 들을테니, 케이스 바닥에도 ARGB LED바를 넣었습니다. 하단 ARGB LED 바는 케이스 좌측에서 전면까지 이어지는 마이크로 홀 하단 커버를 둘러서 은은한 불빛을 보여줍니다. USB-C를 포함한 확장 포트와 조작 버튼은 강화유리 패널을 방해하지 않도록 좌측 패널 앞쪽에 자리잡았습니다. 3개의 면을 강화유리로 채운 대신, 우측과 하단, 그리고 바닥의 에어홀을 통해 외부 공기가 케이스 안밖으로 드나들도록 고안했습니다.
케이스 박스
케이스 상단까지 강화유리를 넣으면서 포장에 좀 더 신경을 썼습니다.
강화유리 패널에 붙인 보호 비닐.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입니다.
케이스 전면과 좌측 패널에 이어, 상단까지 강화유리 패널을 장착했습니다.
폭 258mm, 높이 491mm
길이 451mm의 미들 타워 케이스입니다.
케이스 전면
아래쪽 파워 공간에는 마이크로 에어 홀이 뚫린 패널을 부착했습니다.
상단 유리 패널까지 이어지는 시야
3장의 유리가 만나는 부분은 마그네틱 트리플 락이 있습니다.
케이스 좌측의 강화유리 패널
아래에는 리셋 버튼(초기 설정에선 LED 조작), USB-C, USB 3.0 타입 A 2개, 3.5mm 오디오 콤보, 전원 버튼/LED가 있습니다.
오른쪽은 평범한 철제 패널이 있습니다.
두 줄의 마이크로 에어홀을 뚫어 공기 흐름을 늘렸습니다.
앞쪽 에어홀은 쿨링팬이나 수냉 쿨러 라디에이터를 위한 공간입니다.
뒤쪽은 파워와 CPU 쿨러 뒷면의 추가 쿨링팬을 위한 통풍구입니다.
뒷면입니다.
상단에는 120mm 쿨링팬이 기본 탑재됩니다.
아래쪽은 7개의 확장 슬롯과 ATX 파워 공간이 있습니다. 확장 슬롯은 케이스 프레임에 직접 달려있는 게 아니라 별도의 커버를 붙인 방식인데요. 이걸 떼어내고 90도 돌려서 장착할 수도 있습니다.
케이스 상단의 강화유리 패널입니다.
전면과 측면 강화유리와 막힘 없이 이어지는 시야를 제공합니다.
케이스 바닥입니다.
자석 고정식 먼지 필터가 있습니다.
먼지 필터 아래에는 공기 유입을 늘려주는 에어홀이 뚫려 있습니다.
상단 강화유리 패널.
두께는 3mm. 케이스 위에 올려두는 것이니 두꺼운 유리를 쓰지 않았습니다.
좌측 강화유리 패널
두께는 4mm. 케이스 강화유리 패널의 국룰같은 두께죠.
테두리에 철판을 붙여 강도를 높였습니다.
마그네틱 고정 장치를 위한 철판.
손나사로 고정합니다.
우측 철제 패널.
고정 핀.
테두리를 접어 강도를 보강했습니다.
90도 돌아가는 슬롯, 편리한 스윙 스토리지 패널
어항형 케이스는 우측 패널에 역방향 회전 팬을 달아 흡기를 늘리는 구성이 일반적이나, 이 케이스는 상단에 강화유리 패널이 들어가면서 3열 수냉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공간을 확보해야 하니 우측 패널에 쿨링팬을 넣어 주지 않았습니다. 대신 다른 방법으로 쿨링을 보강했는데요. 메인보드 뒷면의 스토리지 장착 패널에 쿨링팬을 달아 전원부의 온도를 직접 낮춰주고, 바닥에도 쿨링팬을 추가해서 공기 순환을 도와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여기에 하단 커버 위에도 3개의 쿨링팬을 달아서 공기 흐름을 늘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 추가 쿨링팬을 위해 88가지 모드를 제공하는 6포트 허브와 LED 변경 버튼을 제공합니다. 기본 장착된 쿨링팬은 뒷면의 120mm 팬 한 개 뿐이지만, 이게 보통 쿨링팬이 아닙니다. USB를 통해 연결하거나 제어 소프트웨어를 쓸 필요 없이, 팬 내부에서 직접 회전 속도와 온도를 측정해서 보여주는 InFoSync 인디케이터가 아래에 달려 있거든요.
메인보드는 최대 E-ATX 폼펙터까지 장착 가능하며, 뒷면 선정리 공간을 넉넉하게 확보한 덕분에 ATX와 M-ATX는 통칭 BTF 스타일의 후면 커넥터 연결 보드도 지원합니다. 확장 슬롯은 7개입니다. 그런데 이게 보통의 7개는 아니고요. 슬롯 모듈 자체를 90도로 회전해서 수직 방향으로 확장 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확장 카드의 길이는 420mm까지, 확장 카드의 폭과 CPU 쿨러 높이는 180mm까지 품을 수 있는 넉넉한 내부 공간을 자랑합니다. 메인보드 트레이 뒷면에는 문이 하나 더 달려 있습니다. 3대의 2.5인치나 3.5인치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는 스윙 스토리지 패널이 그것이지요. 패널을 열어서 드라이브를 관리하고, 패널 자체를 떼어낼 수도 있어 조립과 관리가 편하고요. 0.8mm 두께의 강판을 사용해 튼튼하고 안정적이며, CPU 쿨러 장착 홀 뒷면에 2개의 2.5인치 드라이브나 1대의 3.5인치 드라이브를 추가해 넉넉한 스토리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케이스 내부를 봅시다.
상단 유리 패널을 분리하면 조립이 한결 편해집니다.
E-ATX부터 미니 ITX까지, BTF 후면 커넥터 연결 방식의 ATX와 M-ATX 메인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후면 커넥터 연결과 선정리에 필요한 구멍과 공간을 확보했습니다.
케이스 상단의 ARGB LED 바.
후면 쿨링팬에 부착된 보호 비닐
쿨링팬 아래에는 InFoSync 인디케이터가 있어 시스템 온도와 팬 속도를 표시합니다.
7개의 확장 슬롯.
통풍구가 뚫린 하단 커버
전면 쪽엔 360mm 수냉 라디에이터를 넣기 위한 공간을 확보했고, 이 아래에 120mm 쿨링팬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뒤쪽의 선정리 공간입니다. 스윙 스토리지 패널이 닫혀져 있고요.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열면 이렇습니다. 메인보드 트레이와 파워 장착 공간, ARGB LED 허브가 보입니다.
조립할 때는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분리해두는 게 편합니다.
CPU 쿨러 장착 홀 뒷면에는 스토리지 장착 패널이 있습니다.
손나사를 사용해 고정합니다.
여기에 3.5인치 드라이브 1개를 장착하거나
2.5인치 드라이브 2개를 장착하거나
120mm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쿨링팬을 장착하면 메인보드 전원부의 온도를 낮추는데 도움을 줍니다.
스토리지 패널을 떼어내면 BTF 메인보드에 맞춰서 넉넉하게 구멍을 뚫어둔 메인보드 트레이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6포트 ARGB LED 허브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SATA 전원 케이블을 연결해서 전원을 공급하고, 케이스의 리셋 버튼을 눌러서 LED 모드를 변경합니다.
하단 파워 장착 공간.
USB C, USB A, 전면 핀헤더, 3.5mm 오디오 케이블
기본 탑재된 쿨링팬과 ARGB LED 연결에 필요한 케이블
측면 팬 장착을 위한 공간. 여기에는 120mm 팬 3개를 달거나 360mm 수냉 라디에이터를 장착합니다.
하단 모듈 안에 쿨링팬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커버를 들어내고 팬을 넣어야 하는데, 잘 비틀어서 넣으니까 팬이 그냥 들어가네요.
스윙 스토리지 패널입니다.
2.5인치 드라이브 3개나
3.5인치 하드디스크 3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스토리지 패널은 SSD나 HDD라는 표식이 있어, 어떤 위치에 고정하면 되는지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비롯해 높은 강도가 필요한 패널은 0.8mm 두께의 철판을 사용했고요.
일부 패널은 0.7mm 두께의 철판을 사용했습니다.
조립 설명서. 한글입니다.
케이블 타이, 벨크로 타이, 볼헤드 마운트, 조립용 나사를 제공합니다.
상단 강화유리 패널을 분리하면 조립이 한결 편해집니다.
3장의 유리를 잡아주는 마그네틱 트리플 락
조립이 끝난 위즈맥스 루프탑 케이스
180mm 높이의 CPU 쿨러 장착 가능
BTF 메인보드를 위한 커넥터 홀
410mm 길이의 확장 카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하단 커버의 구멍을 활용한 선정리
케이스 우측입니다.
메인보드 트레이와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활용해 최대 5대의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3.5인치 드라이브를 넣을 수 있는 넉넉한 공간.
ATX 파워 장착 공간은 250mm가 넘어, 모듈러 케이블이 아닌 일반 파워도 케이블을 넣을 공간이 충분히 나옵니다.
볼헤드 마운트를 케이스에 꽂아주면 스윙 스토리지 패널을 고정할 수 있습니다.
스윙 스토리지 패널까지 닫은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의 전원을 켰습니다.
케이스 상단에도 강화유리 패널을 장착해 개방감이 좋습니다.
후면 쿨링팬 아래에 회전 속도와 내부 온도가 표시됩니다.
케이스 위의 ARGB LED.
케이스 아래의 ARGB LED.
일반적인 그래픽카드 수평 장착 외에도 확장 슬롯을 90도 돌려 수직 방향으로도 장착 가능합니다.
우선 확장 슬롯을 고정한 뒷면 나사를 분리합니다.
그래픽카드를 확장 슬롯 커버에 장착합니다.
그 후에 확장 슬롯 커버를 케이스 뒷면에 끼워주고 나사로 고정합니다.
수직 방향으로 그래픽카드를 장착한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시스템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케이스 상단에 강화유리를 탑재해 3개의 면에서 탁 트인 시야를 선사하는 어항형 디자인 케이스입니다. 루프탑이라는 이름 값을 하는 압도적인 개방감이 가장 큰 특징이지만, 그것 외에도 위아래로 존재감을 더해주는 ARGB LED 바를 장착하고, 후면 쿨링팬에 시스템의 정보를 보여주는 InFoSync 인디케이터를 추가했습니다. 폭 180mm에 달하는 넉넉한 내부 공간과 더불어 90도 회전하는 확장 슬롯 구조로 그래픽카드 수직 장착이 가능하고요. 스윙 스토리지 패널로 편리한 스토리지 장착과 관리, 그리고 넉넉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평범한 어항형 케이스 그 이상의 개방감과 함께 넉넉한 공간과 편의성을 갖춘 케이스입니다.
리플 다신 분 중 1분께 리뷰 작성에 사용한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케이스를 드립니다. 신청하실 분은 이 글에 [마이크로닉스 WIZMAX 루프탑 이벤트 신청]을 넣어 리플을 달아 주세요. 접수는 7월 5일까지, 발표는 7월 6일입니다. 선정되신 분은 발표 후 3일 안에 이름/주소/전화번호의 배송 정보를 보내주시고, 수령 후 5일 안에 인증샷을 꼭 올려 주셔야 합니다. 리뷰 작성을 위해 한 번 조립한 제품이기에 약간의 사용감이 있습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NVIDIA 주가, 사상 최고치 경신 |
LG디스플레이, 4세대 기술 적용한 궁극의 게이밍 OLED 패널 양산 |
윈도우 11 24H2, 블루스크린 대신 블랙스크린으로 대체 |
해상도와 주사율, 둘 다 주세요. 듀얼 모드로. MSI MAG 322URDF E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