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초 서울 지역의 기온이 벌써 40℃에 육박할 정도로 올 여름은 무덥다. 거기다 짧은 장마 이후 열대성 폭우가 곁들여져 또 다시 높은 불쾌지수를 견뎌야하는 험난한 여름이 시작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작업용 머신의 성능이 부족하다면 그 스트레스는 배가될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BYOD(Bring Your Own Device)라하여 기업 업무에 개인용 장비를 활용하는 경우도 주목받았는데, 특성상 데스크탑 같은 고정형 장비가 아닌 노트북 같은 휴대용 장비가 대상이다.
당연히 시스템의 성능이 높을수록 더 빨리 업무를 끝낼 수 있으니 그만큼 덥고 습한 여름 날씨에 쌓인 스트레스도 덜 수 있을 것이다.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는 인텔의 고성능 모바일 CPU인 코어 울트라 9 275HX와 엔비디아의 지포스 RTX 5080 랩탑 모델을 탑재한 고성능 노트북이다.
여기에 16인치 크기에 16:10 비율의 2560x1600 해상도로, 오늘날 일반적인 16:9 비율보다 세로로 조금 더 긴 화면을 통해 더 많은 자료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지치기 쉬운 여름에 작업 효율을 높여주기 좋다.
더 넓은 화면, 더 많은 모니터로 작업 효율 업그레이드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는 16인치 크기와 16:10 비율의 2560x1600 해상도, 240Hz 고주사율 모니터가 통합되어 있다. 모니터는 DIC-P3 100% 색역 지원, IPS 타입에 최대 500nit 밝기, 안티글레어 패널로 실내외에서 어려움 없이 내용 파악이 가능하다.
후면에 HDMI, 좌측면에 USB Type-C 인터페이스의 듀얼 썬더볼트 5 포트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추가로 노트북 본체의 모니터를 더해 최대 4개의 모니터 확장이 가능한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지원한다.
추가로 좌측면에는 듀얼 USB 3.2 Gen2 Type-A 포트 2개와 3.5mm 오디오 잭, 후면에는 HDMI와 2.5Gbps 이더넷 규격의 RJ45 포트를 비롯해 전원 어댑터, 도난 방지를 위한 켄싱턴 락 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의 USB Type-C 썬더볼트 5 포트는 최대 140W의 USB PD 충전을 지원, 330W의 전용 DC 어댑터 대신 USB PD 지원 충전기나 보조배터리를 통해 외부에서도 간편하게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물론, 제품에 번들된 330W 출력 DC 어댑터에 비해 USB PD 충전을 통한 전력 공급 상한선이 약 절반 수준인 만큼, 이때는 시스템 성능이 제한될 수 있다.
본체 모니터 상단에는 Full HD 30FPS 지원 웹캠이 탑재되어 있다. 보안을 위한 물리적 셔터를 채용해 사용하지 않을 때 해킹을 통해 사생활이 노출되는 위험을 막을 수 있고, 윈도우의 안면 인식 보안 기능인 윈도우 헬로우 구성도 지원한다.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는 16" 화면과 폭 357mm의 크기를 활용해 일반적인 키에 더해 숫자 키패드가 더해진 키보드를 제공한다. 오피스 작업시 다양한 숫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페이지 업/ 다운 등 긴 문서를 스크롤하고 편집할 때 원하는 위치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여준다.
한편, 키보드 내부에는 MSI 미스틱 라이트가 심어져 있어 원하는 패턴과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윈도우 코파일릿 키도 통합해 빠르게 호출할 수 있다.
고성능 지원을 위한 쿨러 부스트 5 설계
노트북은 특성상 발열 해소가 성능에 큰 영향을 끼친다.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는 듀얼 블로워 팬과 6개의 히트파이에 기반한 쿨러 부스트 5 냉각 솔루션이 적용되었다.
주요 부품이 몰려있는 경첩 부분에는 쿨링 솔루션이 노출되어 미끄럼방지 피트를 통해 확보한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식혀준 후, 양 측면과 후면을 통해 외부로 바로 배출하도록 설계되었다. MSI 센터에서 성능/ 균형/ 저소음 환경을 골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에 탑재된 쿨러 부스트 5 설계의 냉각 성능은 어떤지 3DMark Steel nomad Stress Test로 CPU와 GPU에 동시 부하를 주었을 때 냉각 성능을 체크했다.
테스트 특성상 꾸준히 GPU에 높은 부하가 유지되기에 80℃ 수준의 온도가 꾸준히 유지되었고, CPU 온도 역시 대체로 80℃ 수준에서 유지되었지만, GPU와 달리 상황에 따라 로드율이 변하기 때문인지 순간적으로 그 이상의 온도를 기록했다 다시 하락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익숙해지면 터치패드로도 다양한 작업은 무리없이 진행할 수 있지만, 정밀한 포인팅이 중요한 게임이나 영상, 이미지 편집 등의 작업에서는 적응하기 쉽지 않다. 이에 본 제품에는 MSI M88 마우스가 번들되고, 이동 편의성을 위해 MSI 타이탄 게이밍 백팩도 제공된다.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 성능은?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은 현재 가장 높은 애로우 레이크 HX 시리즈 중 8개의 P-코어와 16개의 E-코어로 가장 많은 코어를 갖춘 코어 울트라 9 275HX, 랩탑용 지포스 RTX 50 시리즈 중 최상위권인 지포스 RTX 5080 랩탑 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능의 핵심 컴포넌트인 지포스 RTX 5080 랩탑 버전은 레퍼런스 규격의 최대 TGP인 150W를 넘은 TGP 175W 공급이 가능하고, 워크로드에 따라 CPU와 GPU 공유 전력 최대 240W 내에서 적절히 분배해 성능과 발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의 게이밍 성능 점검 시간이다.
3DMark 스코어를 종합하면 본 제품의 성능은 지포스 RTX 5080 랩탑 모델을 탑재한 제품들의 평균 성능보다 나은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DLSS 3에서 업그레이드된 DLSS 4를 지원한다. DLSS 3의 프레임 생성은 1프레임으로 제한된 것과 달리, DLSS 4는 최대 3프레임 생성이 가능해지면서 MFG로 명명하며, 1프레임 생성은 2배, 2프레임 생성은 3배, 3프레임 생성은 4배로 구분한다.
MFG 지원 타이틀 중 사이버펑크 2077과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스텔라 블레이드의 QHD 해상도 테스트 결과를 정리했다. 레이 트레이싱이 적용된 사이버펑크 2077과 둠 더 다크 에이지스는 프레임 생성없이도 평균 60프레임 이상의 성능을, 레이 트레이싱 옵션이 없는 스텔라 블레이드는 평균 140 프레임으로 게임을 제대로 즐길 수 있다.
여기에 MFG 2배와 MFG 4배 옵션을 활성화하면, 사이버펑크 2077은 평균 207 프레임, 둠 더 다크 에이지스는 평균 250프레임, 스텔라 블레이드는 평균 370 프레임 수준의 성능을 발휘, 매우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에는 최대 부스트 클럭 5.4GHz의 8 P-코어와 최대 부스트 클럭 4.6GHz의 16 E-코어가 결합된 코어 울트라 9 275HX가 쓰였다.
덕분에 일상적인 PC 환경 성능을 측정하는 PCMark10 기준으로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는데, ULbenchmark 테스트 DB 기준, 코어 울트라 9 285K와 데스크탑용 지포스 RTX 5080 시스템의 평균 종합 스코어인 9137와 비교해 약 93% 수준의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멀티 코어 활용도가 높은 랜더링 등의 창작 작업 성능을 짐작할 수 있는 블렌더 4.4.0 벤치마크 성능은 데스크탑용 코어 i9 13900K 급의 성능을 기록, 게이밍 머신으로 뿐 아니라 전문 워크로드 용으로도 강력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코어 울트라 9 275HX는 CPU 성능을 포커싱한 모델이기에 통합 NPU의 성능이 아쉬운 면이 있지만, 제품에 장착된 지포스 RTX 5080 랩탑 모델을 이용해 훨씬 뛰어난 성능을 취할 수 있다.
비록 통합 NPU의 성능이 최신 하드웨어에 비해 아쉬운 면이 있다해도, 고성능이 요구되지 않는 웹캠 배경 효과나 노이즈 캔슬링 같은 작업을 할당해 CPU나 GPU에 가해지는 워크로드 부담을 줄여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에는 PCIe 4.0 x4Lane M.2 SSD인 마이크론 2500 1TB가 장착되어 있다. 약 7000MB/s의 읽기 성능과 5500MB/s 수준의 쓰기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엑스박의 벨로시티 아키텍처 기반의 PC 버전 고속 스토리지 기술인 다이렉트 스토리지를 지원한다.
SSD에 저장된 데이터를 곧바로 VRAM으로 복사 후 GPU로 압축 해제하는 기술로, 이를 통해 CPU 부담을 덜어 로딩 속도 개선 및 게임 플레이 중 발생하는 간헐적인 데이터 로딩에 의한 스터터링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제품에는 지포스 RTX 5080 랩탑과 마이크론 2500 1TB의 조합을 통해 다이렉트 스토리지를 구현하는데, 다이렉트 스토리지를 활용할 경우 그렇지 않을 때와 비교해 약 370% 수준의 스토리지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아직 다이렉트 스토리지를 지원하는 게임들이 많지는 않지만, 라쳇 앤 클랭크 리프트 어파트, 포스포큰, 포르자 모터스포츠 등, 지원 타이틀이 등장하고 있다.
고성능 게이밍 경험을 위한 컴패니언앱 지원
고성능 게이밍 머신인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은 코어 울트라 9 275HX CPU와 지포스 RTX 5080 랩탑 모델의 결합에 더불어, 스틸시리즈의 Nahimic 오디오 기술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가상 서라운드와 스마트 볼륨, 저음과 고음, 사운드 소스의 거리감 조절, 음악과 영화, 게임, 음성 채팅 등 컨텐츠에 걸맞는 프리셋을 지원하며, 음성 채팅 시 노이즈 캔슬링, 추가 스피커를 조합한 서라운드 환경 등, 풍부한 사운드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MSI 센터는 하드웨어 모니터링,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학습해 최적의 성능과 전력 시나리오를 자동 설정하는 AI 엔진, 시스템에 저장된 이미지를 자동 관리해주는 '스마트 이미지 검색', 게임 플레이 중 좋은 플레이 장면을 자동 녹화하는 '게임 하이라이트', 키보드 LED를 조정하는 '미스틱 라이트', AI 랜 관리와 MSI의 자체적인 AI 노이즈 캔슬링 기능도 제어할 수 있다.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에는 인텔 CPU와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시리즈 중 최상급 모델인 코어 울트라 9 275HX,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80 랩탑 모델이 결합되었다.
덕분에 최고 성능 부품이 쓰인 제품에 비한다면 아쉬울 수 있지만, 모바일 라이프 관점에서 본다면 충분히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데다, 가격과 발열, 소비전력, 무게도 합리적이다. USB PD를 지원하는 썬더볼트 5 인터페이스를 지원해 전용 어댑터보다 가벼운 USB 충전기나 USB PD 지원 보조배터리로 외부에서 사용하는 부담도 덜어냈다.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16:9 비율의 QHD 보다 세로로 긴 16:10 비율의 QHD+(2560x1600) 해상도 모니터를 채택했고, 추가로 세 개의 모니터를 연결해 본체 것을 포함한 최대 4개의 디스플레이를 활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덥고 습한 여름 날씨는 그 자체가 스트레스다.
여기에 작업 머신의 성능이나 기능 부족으로 작업 효율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워 완료까지 속도를 내지 못한다면 스트레스는 배가된다. 자연의 이치인 날씨 자체는 어쩔 수 없지만, 최소한 MSI 벡터 16 HX AI A2XWIG-U9 QHD+와 같이 높은 수준의 성능과 확장성을 갖춘 작업 머신으로 스트레스 지수를 낮춰 보는 건 어떨까.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