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5090 AI BOX 제이씨현
게이밍 노트북은 동급의 PC 대비 가격대가 높은 편입니다. 게다가 아무리 거대한 노트북이라도 쿨링 솔루션을 위한 내부 공간도 비좁습니다. 그래서 장착되는 하드웨어의 성능도 제한되는 편이죠. 예를 들면 지포스 RTX 5090 Laptop의 경우, 데크톱 지포스 RTX 5080 수준의 구성을 갖췄습니다. 그러나 발열 억제를 위해 부스트 클록 등 일부 사양을 상당 부분 제어합니다. 하나의 제품을 구입해서 공간 효율이 높은 하이엔드 게이밍 PC를 구성할 수 있다는 압도적인 장점이 있다고는 하지만, 여러 단점들 그 중에서도 성능이 신경 쓰이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이번 리뷰에서 살펴볼 제품이라면, 최소한의 공간 투자로 게이밍 노트북의 성능을 보완해줄 수 있습니다.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5090 AI BOX 제이씨현'으로 데스크톱 지포스 RTX 5090을 그대로 사용하는 eGPU 제품입니다. Thunderbolt5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트북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과연 얼마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지, eGPU의 단점으로 꼽히던 대역폭 문제는 어떨지와 소음과 소비전력은 얼마나 측정될지 이어지는 내용을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IGABYTE AORUS MASTER 16 BYH (SSD 1TB)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5090 AI BOX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5090 AI BOX / GPU-Z

























소음 측정 : 이중 체임버 구조의 무향실 / CIRRUS RESEARCH CR-162B (Class2 타입)


시스템 전체 소비전력 측정 : HPM-100A Wattman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5090 AI BOX 제이씨현

차분한 디자인, 감성 한 스푼 AORUS RGB LED 효과
'GIGABYTE AOURS 지포스 RTX 5090 AI BOX 제이씨현'은 언뜻 보면 SFF 케이스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제품 길이가 302mm, 너비는 172mm 그리고 높이는 189mm로 아주 작은 게이밍 PC와 비슷한 크기죠. 디자인적으로 일관된 검은색 패널을 채택하여 AORUS 다운 고급스러운 느낌을 잘 살려냈습니다. 전면과 후면을 제외하고 상단과 하단 그리고 양 측면에는 메시 디자인을 채택하여 쿨링에 신경 썼음을 알 수 있습니다.
RGB LED는 전면 AORUS 로고에서 RGB LED 효과가 점등합니다. 기본적으로 RGB LED 효과는 전원이 인가 되고, 노트북 혹은 PC와 연결된 상태에서 점등합니다. RGB LED 효과는 GIGABYTE 컴포넌트와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출력은 외부 모니터로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5090 AI BOX 제이씨현'은 지포스 RTX 5090을 그대로 사용하여, 게이밍 노트북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게 해줍니다. 다만, Thunderbolt5를 통해 연결되므로, 일정 수준의 대역폭 손실 및 레이턴시가 발생합니다. 이는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5090 AI BOX 제이씨현'을 외부 모니터에 연결 할 때 보다 노트북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때에 두드러집니다. 3DMark TimeSpy로 확인해보면 외부 모니터에 연결 했을 때에는 그래픽 점수가 약 4만 점이었으나, 노트북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면 2만 6천점까지 하락합니다.
이는 게임 성능에서도 나타나며, QHD 해상도에서 최신 인기 게임 타이틀 배틀필드6를 구동한 결과 평균 프레임의 차이가 약 10% 수준 발생하였습니다. 1% Low 프레임은 평균 프레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CPU와 메모리 영향을 많이 받기에 격차가 크지 않았으며, 이는 테스트한 4종 게임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한 현상이기도 합니다.

외부 모니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성능 하락폭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더 큰 화면으로 볼 수 있으며, 노트북 자체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한계를 극복할 수 있기도 하죠.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5090 AI BOX 제이씨현'을 외부 모니터에 연결하고 배틀필드6를 구동해본 결과, UHD 최고 프리셋에서 평균 126.2 프레임, 1% Low 79.5 프레임을 기록했습니다. 충분한 성능의 게이밍 노트북과 모니터를 구비했지만, 실제 게이밍 성능에서 아쉬움을 느낀다면 만족스러운 성능을 발휘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숙한 소음, 소비 전력은 지포스 RTX 5090 그 자체
쿨링 솔루션은 240 규격 라디에이터로 구성되었습니다. 구리 플레이트가 GPU, 메모리 그리고 전원부까지 담당하다보니 소음 수치가 높게 측정되지 않을까 걱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걱정은 기우에 불과합니다. 일체형 수랭 쿨링 방식이기에 아이들 상태에서도 쿨링팬이 약 900 RPM으로 작동하며, 이때의 소음 수치는 약 30.4 dB(A)입니다. 부하 상태에서는 쿨링팬이 1,659 RPM으로 작동하며 약 43.6 dB(A)을 기록했습니다. 소음 수치 자체는 정숙하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5090 AI BOX 제이씨현'은 내부의 850W 파워서플라이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 받습니다. 이때의 소비전력을 측정해보면 최대 591.6 W로, 일반적으로 메인보드 PCIe 슬롯에 장착하는 지포스 RTX 5090 그래픽카드의 소비전력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노트북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 용량이 높은 멀티탭을 사용하거나, 벽 콘센트에 직결하는 편이 좋겠습니다.

게이밍 노트북 성능이 아쉬울때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5090 AI BOX 제이씨현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