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추석도 얼마 남지 않았다. 제사를 드리는 가정이라면 제사상을 어떻게 올려야 할지 고민하기 일쑤이다. 다양한 음식과 그에 맞는 각종 제기용품을 준비하려면 걱정이 앞선다. 음식의 경우에는 보통 지방마다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있지만 준비하는 제기/제사용품에 있어서는 비슷한 점이 많고 최근 인터넷에서 저렴하면서도 인증된 제품판매가 늘면서 선택이 폭이 넓어졌다.
우선 제사 차리기 전 자주 듣는 용어부터 알고 넘어갑시다!!
제사 음식을 제수라고 한다. 제수는 지방과 가정에 따라 다르며 제수를 제사상에 차리는 것을 진설이라고 한다.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각기 형편에 따라 조금씩 조절 하는 게 보통이다.
제사는 기본적으로 5열 7원칙이며 차례상이나 제사상은 북쪽을 향하는 곳에 차려야 한다.

위에 나온 순서는 집안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겠지만, 위에서 언급한 방법은 주로 추석 때 많이 하는 방법인 만큼 집안이 어떻게 차리는지는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그중 놓는 음식에 대해 몇 가지 알아야 하는데 특히 조심해야 할 음식들이 있으며 놓는 방법을 알고 있는게 좋다.
- 밤(栗:율)은 있는데 겉껍질을 깐 후 속껍질을 깔 때 돌려 깎기를 해서 변색방지를 위해 찬물에 담가두었다가 사용한다.
- 대추는 동조서율이라고 해서 동쪽에 놓고 제사장 서쪽에 놓는다.
- 녹두전은 껍질을 벗긴 녹두를 물에 불렸다가 곱게 갈아 속 재료를 넣어 제기 위에 올려놓기 좋은 크기로 부쳐내 놓는다. 그 외 전종류로는 버섯전, 완자전, 명태살 전도 있다.
- 두부전이 있는데 두부전은 소적(두부로 부친것)이라고 하는데 제사음식에 들어가는 3적 중 하나로 3적은 육적(고기), 어적(조기), 소적(두루)중 하나이다.
- 식혜를 제사 때 내놓는데 식혜는 서포동혜라고 해서 동쪽에 놓는다.
- 고기(육적)은 어동육서라고 해서 고기는 서쪽에 놓는데 육적을 담는 제기는 적틀이라고 부른다.
- 조기는 어적이라 해고 어동육서라고 해서 생선은 동쪽에 놓는다. 놓을 때 달걀을 분리(흰자, 노른자)를 분리해 지단을 부친 후 곱게 썰고 빨간색은 당근채, 파란색은 피망으로 해서 보이게 한다.
- 황태포는 놓는데 놓는 위치는 서쪽이다. 지방마다 다르지만, 황태포로 놓는 곳도 있으며 대구포로 놓는곳도 있다.
알고가면 좋은 상식!! 제사에 쓰이지 않는 음식 |
- "치"자로 끝나는 음식을 올리지 않는다. |
제기세트
![]() |
![]() |
![]() |
제기
![]() |
![]() |
![]() |
제기함
![]() |
![]() |
![]() |
병풍
![]() |
![]() |
![]() |
![]() |
요즘에 뜨는건 바로 휴대용 제기세트
집안이 아닌 벌초를 한 후 성묘를 위해 준비한 제기용품들을 꺼내는데 최근에는 이런 일들 손쉽게 도와주는 휴대용 제기세트들이 꾸준히 나오고 있어 사용이 편리해졌다. 가격도 부담 없고 크기도 작은 편이라 휴대성도 뛰어나다.
![]() |
![]() |
![]() |
준비는 되었는데 빠졌다면 꼭 챙기세요!! (위패, 향/양초, 돗자리)
제기용품들이 준비되었다고 해도 살펴보면 위패나, 향/양초, 그 외 제기용품들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쓰려고 준비할 때 부족하면 난처해진다. 사용하기 1~2주 전에는 늦어도 미리 부족한 제품을 확인 후 구매한다. 구매 시 충분히 준비하는 게 좋다.
![]() |
![]() |
![]() |
제사 시 유기나 제기용품의 경우는 한번 구입한 후 관리만 잘하면 다시 사는 일은 드물지만 향/양초의 경우는 소모성 상품이기 때문에 지난번에 쓴 후 다시 확인하지 못하고 그대로 넣어버린 후 다시 사용 시 곤란해질 수 있는 상황이 있는 만큼 꼭 충분하게 준비해놓으며 제품 상자에 구매날짜 등을 간단하게 적어두면 꺼내지 않아도 어느 정도 사용했는지 짐작 가능한 만큼 이런 것도 하나의 지혜다.
![]() |
![]() |
![]() |
![]() |
추석제사는 설제사와 차이가 있다!!
제사에 있어 또 하나의 차이는 명절에 따라 다른 점이 있다. 일반 제사 때에는 밥을 올리지만 설날 때는 떡국을 올리며 추석 때는 송편을 올린다는 점이 다른 점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가정도 있겠지만 이 부분도 가정마다 다르므로 꼭 어떻게 보내는지 확인하는 게 좋다.
더불어서 알면 좋은 것중 하나의 제사음식 의미이다.
제사음식의 의미 |
- 대추 : 왕이 될 만한 후손이라는 뜻 |
※ 구매 및 관리 유의점
제기용품들의 경우 보통 명절이나 특정한 날이 아니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후 관리가 중요하다. 집안 내 별도의 보관장소가 없거나 제기/제사용품을 따로 보관하는 함이 없다면 사용 후 잘 닫아낸 후 건조한 곳에서 보관한다. 기본적으로 제기는 마른행주로 닦아 보관한다.
간혹 제기 위에 랩을 씌워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사용 후 랩을 벗겨내고 키친타월로 닦은 경우가 있다. 그러나 어른분들이 싫어하실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후 쌀뜨물을 진하게 해서 담가둔 후 식초에 탄 물을 닦아 중화되면 제기 특유 냄새도 없애주며 잘 씻어낸 후 닦은 후 보관하면 오랜 시간 지나도 문제없이 사용 가능하다.
우리고유의 명절 잘 준비하고 잘 관리하여 잘 보내시길 바란다.
제사상에 쓰이는 한자용어 |
- 고비합설(考?合設) : 내외분일 경우 남자조상과 여자 조상은 함께 차린다. |
생활CM 양아열 clear@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비교로, 다나와(www.danawa.com)
세상의 모든 특가정보를 한눈에! [입소문 쇼핑]
[지갑이 열리는 뉴스] [다나와 이벤트] [여자를 말하다] [여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