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4K 프로젝터 라이프 간단한 문답으로 보는 내게 맞는 제품 고르기
축구의 계절. 모두가 기대가 큼만큼 설레였다가도 우리나라 대표팀의 뼈아픈 패배엔 탄식을 합니다. 요즘 스포츠 중계 역시 UHD HDR 영상까지 지원해주고 있어서, 4K 프로젝터는 반짝 특수를 누리고 있는데요. 꼭 우리나라 팀의 경기만이 아니더라도 이 참에 대형 화면으로 기존 풀HD LED TV보다 4배 더 선명한 해상도를 지닌 4K 빔프로젝터를 하나 구비하고 싶은 마음이 드시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막상, 선택을 하자니 TV처럼 단순하게 요즘 많이 나가는 대형 가전사의 제품이 아니다보니 아리송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의 선택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간단한 질문과 답변만으로 제품을 고를 수 있는 간단하지만 유용한 문항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제부터 귀하의 슬기로운 4K 프로젝터 라이프를 위한 최적제품 찾기 문답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질문 1. 4K 프로젝터도 국산을 선호하나요?
1. 그렇다
2. 꼭 그렇지는 않다.

1번 그렇다. 라고 답변하신 분이라면 LG 사상최초의 4K 프로젝터 HU80KA외에는 아직까지 대안이 없습니다. 과거 삼성에서도 Projector를 만들었지만, 지금은 마켓에서 철수한 상태라서 이 분야에 대한 유일한 보루라고 할 수 있습니다.
2번 꼭 그렇지 않다라고 답변하신 분은 다음 질문으로 넘어가세요.
질문 2. 가전제품과 같은 편리한 AS를 선호하나요? 아니면 전문적인 기능을 선호하나요?
1번 가전제품과 같은 편리한 AS를 선호한다.
2번 전문적인 성능을 선호한다.

1번 가전제품과 같은 편리한 AS를 선호한다 라고 답변하신 분은 역시나 AS인프라 면에서 엘지의 HU80KA가 가장 부합되는 모델입니다. 가전 베이스의 제조사이기 때문에 쾌적한 AS인프라가 제공하는 편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2번 전문적인 성능을 선호한다면 다음 3번 질문을 넘어가세요.
질문 3. 4K 프로젝터를 구입할 때 저렴한 제품을 선호하나요? 아니면 최고의 성능을 추구하나요?
1번 저렴한 제품을 선호한다
2번 최고의 성능을 추구한다.
1번 저렴한 제품을 선호한다 라고 답변하신 분은 질문 4번으로 넘어가세요.

2번 최고의 화질 성능을 추구한다라고 답변하신 분은 옵토마사의 레퍼런스기인 ZUHD8을 추천합니다. 4K 영상 구현 방식에서 2K 영상스위칭 기술을 사용한 텍사스인스트루먼트사의 기술을 사용하였으며, DLP의 정교한 화면 정렬과 레이저 광원의 자연스럽고 밝고 풍부한 색감이 장점이며, 옵토마사 최상위 기종에 들어간 퓨어엔진을 비롯한 정교한 튜닝이 일품입니다. 프로젝터는 기본적으로 빛을 일정한 거리에서 투사하는 방식이라서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화질에 유리합니다. 밝은 곳에서 주로 쓴다면 블랙광학타입을 암막상태에서 주로 사용한다면 화이트 매트 원단 스크린을 선택하는 것도 용도에 맞게 스크린을 활용하는 요령입니다.
질문 4. 가격과 성능이 균형잡힌 가성비를 추구하나요? 아니면 가장 저렴한 제품은 찾나요?
1번 균형잡힌 가격대비성능을 추구한다
2번 가장 저렴한 제품을 찾는다.
1번 답변을 하신 분은 질문 5로 넘어가세요.

2번을 가장 저렴한 제품을 찾는다라고 하신 분은 벤큐의 100만원대 중후반의 4K 프로젝터인 W1700이 어울립니다. 이보다 더 저렴한 UHD 모델도 출시되었지만 합리적인 가격에 4K 프로젝터에서 기대하는 화질 수준을 충족하면서 가격이라는 어려운 과제를 극복한 완성도 높은 베이직 모델입니다. 4K HDR같은 범용적인 기술뿐 아니라 시네마틱 칼라 등 유니크한 기술이 투입된 역작이다.
질문 5. 얼리어답터 성향이 있나요?
1. 그렇다.
2. 그렇지 않다.

1번 그렇다라고 답변하신 분은 옵토마사의 UHD51a를 추천합니다. 4K 영상소스에 대응하는 미디어플레이어가 자체 내장되어 있고 아마존에서 지원하는 알렉사 음성인식 키트와 호환되기 때문에 프로젝터의 작동과 내장 스피커 볼륨 조절을 음성으로 조정가능합니다. 또한 다양한 라인업을 구비한 옵토마사의 4K 모델중에서 중급형의 수준높은 영상품질도 일품입니다. 얼리어답터 뜻 그대로 여기 소개된 다양한 제품군 중에서 가장 최근에 출시된 모델입니다.
2번 그렇지 않다라고 하신분은 다음 질문 6으로 넘어가세요.
질문 6. 프로젝터를 사용할 공간이 비교적 작은 편인가요? 아니면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는가요?
1. 비교적 작은 편이다(가로 세로 4미터 이하)
2. 가로 세로 4미터 이상의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다.

1번 답변을 하셨다면 비교적 작은 공간에서 투사하기 위해선 짧은 거리에 충분한 크기의 영상을 쏠 수있는 단초점 모델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단초점 모델 4K 프로젝터는 흔하지 않습니다. SUHD60은 3.2미터에 120인치 크기, 2.7미터에서 100인치 투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공간의 제약을 덜 받습니다.
2번 답변을 하셨다면 다음 질문 7로 넘아가세요.
질문 7. 프로젝터만 쓰는 심플한 구성을 원하나요, 아니면 극장같은 풍부한 음향이 있는 홈시어터를 원한나요?
1. 프로젝터만 쓰는 심플한 구성을 원한다
2. 극장같은 풍부한 음향이 있는 홈시어터, 홈시네마 방식을 원한다.

1번 답변을 하신 분은 미디어 플레이어가 내장되어 있거나 자체 컨테츠 활용도가 높은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엘지의 HU80KA나 UHD51a가 적합하며 자체 내장된 스피커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엘지 4K 모델인 경우는 영상과 음향의 싱크 문제 없이 무선 블루투스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HU80KA의 경우 4K 공중파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유무선 랜을 통해 넷플릭스 서비스도 프로젝터만으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2번 답변을 하신 경우 옵토마사의 4K 중급형 모델인 SUHD75나 SUHD60을 기본으로 선택하고 극장과 같은 풍부한 음향이 있는 홈시어터를 원한다면 AV리시버와 5.1채널(7.1채널) 스피커를 함께 사용하면 됩니다.

또한 4K 미디어 재생장치인 캠브리지 오디오의 CXUHD 4K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함께 사용하면 상용화된 현존 기술에서 구현 가능한 현실적인 수준에서의 최상의 화질과 음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 하나 본격적인 홈시네마 시스템은 자가 설치가 간단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신뢰할 만한 전문 설치 업체에 시공을 의뢰하는 것이 다소의 추가 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기기의 성능을 잘 발휘하면서 깔끔하게 기기들을 인스톨하고 배선하는 방법입니다.
모두들 즐거운 4K 시네마 라이프를 즐기기 바라며.
<저작권자(c) AV프라임(www.avprim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