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선물 준비에 고심하고 있을 여러분을 위해 준비했다. 부모님들이 현금 다음으로 좋아하실 그것, 바로 홍삼이다. 비싼 돈 주고 사는 홍삼인데 이왕이면 제일 홍삼 성분이 많이 든 것으로 고르고 싶다. 먹으면 확실히 다른, 몸에서 효과가 느껴질만한 그런 제품으로.
오늘 확인할 포인트 : ‘진세노사이드’가 얼마나 들었나
흔히들 홍삼을 먹고 면역력이 좋아지고, 피로가 덜 쌓인다고 한다. 그게 다 ‘진세노사이드’라는 영양성분 덕분이다. 진세노사이드는 인삼 속 사포닌 성분을 말한다. 이 성분이 면역력 증진, 피로 회복,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이쯤되면 만병통치약?) 등의 효능을 가졌다고. 까다롭기로 유명한 식약처에서 이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가지고 건강기능식품인지 아닌지를 파악한다니 말 다 했다.
우리 같은 일반인들이 흔히 상상하기로는 홍삼을 간식삼아(?) 통째로 먹는 것이 가장 좋아 보이지만, 효능은 둘째치고 매일 통홍삼을 먹는 상상을 하니 고역이 따로 없다. 그래서 언제 어디서나 먹기 편하도록 제조 식품을 만들었다. 제조식품 중에서도 홍삼 성분을 그대로 농축한 농축액이 좋다. 말 그대로 엑기스이기 때문에 몸에 좋은 성분도 꽉꽉 들어차 있다. 그중에서도 농축액 중 홍삼고형분 비율이 높은 것이 더 진하다.
제품을 구매할 때는 1회 섭취량이 얼마나 되는지도 살펴야 한다. 예를 들어 물을 넣어 달인 추출액은 농축액보다 단위용량 대비 진세노사이드 비율이 낮지만, 1회 섭취량이 농축액보다 훨씬 많아서 결과적으론 비슷한 양의 진세노사이드를 섭취하게 되는 셈이다.
홍삼제품, 종류별 평균 가성비(진세노사이드 1mg당 가격)
홍삼 제품 중에서 진세노사이드 함유량이 높은 게 홍삼발(?)이 센 제품이라는 건 알았다. 그런데 홍삼 제품이 오죽 다양한가. 농축액부터 추출액, 음료, 젤리까지 형태가 다양하고 거기다 1회 섭취량이 다 다르다. 초보자들이 성분표시만 보고는 어떤 제품에 진세노사이드 함유량이 많은지 파악하기 어렵다. 그래서 대표적인 제품 몇 종을 골라서 비교해봤다.
▲ 주요 홍삼제품들의 진세노사이드 함유량. 모든 수치는 제조사가 공개한 수치를 기준으로 계산.
가격은 2018년 9월 7일 다나와 최저가 기준
홍삼 제품을 크게 농축액, 추출액, 젤리나 캔디 3가지로 분류했을 때 진세노사이드 1mg당 가격을 비교하면, 농축액이 진제노사이드 1mg당 100원 이하인 경우가 많고, 추출/희석액 제품은 150~200원 사이에 많으며, 젤리나 캔디는 200원부터 1200원까지 제품별로 편차가 크다. 젤리나 캔디의 경우 홍삼의 효능만 노리고 먹기보다는 다양한 성분, 간식으로 먹기 좋은 맛 등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
단 여기서 말하는 가성비는 진세노사이드 성분에 한정한 것이다. 녹용성분 등 홍삼 외에 다른 좋은 성분을 넣었거나, 더 고급의 홍삼 원료를 사용한 제품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더 비싸기 때문에 위와 같은 계산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 실제로 제품을 고를 때는 이런 점을 감안해서 구매하도록 하자.
▶ 홍삼농축액
▲ 이마트 6년근 홍삼정업
이른바 ‘홍삼정’이라고도 불리는 그것이다. 홍삼을 그대로 추출, 농축한 농축액을 말한다. 진세노사이드 함유량이 많은 편이어서 진세노사이드 1mg당 가격도 100원 이하의 제품이 많다. 홍삼 성분만 놓고 보면 가성비가 가장 뛰어난 유형이다.
홍삼농축액
형태 : 유리병 등에 담긴 점도가 높은 액체
진세노사이드 1mg당 가격 : 100원 이하의 제품이 많음
장점 : 홍삼고형분 함유량이 높다. 진세노사이드 1mg당 가격이 저렴하다
단점 : 휴대와 섭취가 불편하다
▶ 홍삼달임액
▲ 정관장의 홍삼달임액
정제수에 홍삼을 넣어 달인 그대로를 말한다. 물이 대부분이라서 농축액보다 홍삼고형분이 적을 수밖에 없다. 고형분 함유량은 제품에 따라 다른데 0.5~5% 이내에 그친다. 하지만, 오해하진 말자. 농축액은 한 티스푼 용량을 먹지만 달임액은 1포에 50~100ml 정도를 먹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진세노사이드 양은 비슷하게 섭취할 수도 있다.
▲ 정관장의 홍삼정 에브리타임
달임액과 비슷하게 농축액을 희석한 제품도 있다. 농축액에 정제수를 더해서 먹기 편하게 작은 파우치 형태로 만든 것이다. 달임액보다는 진한편이다. 요즘 TV에서 PPL로 자주 등장하는 스틱형 제품이 대부분 여기에 속한다. 달임액과 희석제품은 진세노사이드 1mg당 가격이 150~200원 수준이다.
홍삼달임액 & 농축액 희석제품
형태 : 레토르트파우치 등에 담긴 묽은 액상의 제품. 농축액 희석제품이 조금 더 걸죽함
진세노사이드 1mg당 가격 : 150~200원 사이의 제품이 많음
장점 : 휴대와 섭취가 편하다
단점 : 농축액보다 진세노사이드 1mg당 가격이 비싸다
▶ 홍삼 젤리, 캔디, 양갱 등 간식류
▲ 종근당건강의 아이키즈 홍삼젤리
아이들이나 어르신들이 먹기 편하도록 젤리나 캔디, 양갱 등으로 만든 제품도 잘 팔린다. 하지만 1일 섭취량을 다 먹어도 농축액이나 달임/희석액에 비해 진세노사이드 섭취량은 적은 편이다. 자고로 홍삼은 입에 써야하는 법인가보다. 가격도 진세노사이드 함량 가격으로만 따지면 싸지 않다.
홍삼 젤리, 캔디, 양갱 등 간식류
형태 : 홍삼성분을 함유한 젤리, 캔디, 양갱
진세노사이드 1mg당 가격 : 300~1200원 등 (진세노사이드 함유량 비공개 제품도 많음)
장점 : 휴대와 섭취가 편하고 간식으로 먹을 정도로 맛이 좋은 편
단점 : 대부분 진세노사이드 함유량이 적은 편
▲ 정관장의 홍삼비타
마지막으로 가볍게 마실 수 있는 홍삼 음료들도 있다. 순수하게 음료로 출시한 제품도 있고, 추출액이나 희석 제품 중 홍삼 함유량이 건강기능식품에 미치지 못해 음료로 구분된 제품도 있다. 잘 알아보고 구매하자.
다른건 몰라도 홍삼 성분은 제대로 먹을 수 있는 가성비 제품들!
부모님의 건강을 위한 선물이라면 일단 홍삼농축액 제품을 알아보는 게 좋을 듯하다. 홍삼 효능을 제대로 맛볼 수 있으니까. 농축액 제품 중에도 잘 나가는 제품으로 추려봤다.
▶ 정관장 홍삼정 로얄
홍삼계의 명품 브랜드 정관장의 스테디셀러다. 1일 섭취량은 3g인데 그 안에 진세노사이드는 Rg1, Rb1, Rg3 모두 합해 16.5mg 들어있다고. 6년근 홍삼 고형분이 64%나 된다. 홍삼계의 명품이라 제품 자체 가격은 비싸지만, 진세노사이드 함유량이 많아서 가성비로 보면 나쁘지 않다. 명품이 왜 명품인지 보여준다.
▶ 이마트 6년근 홍삼정업
이마트에서도 꽤 좋은 품질의 홍삼농축액을 내놓고 있다. 1일 섭취량 5g에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Rg1, Rb1, Rg3 모두 합해 30mg이나 들었다. 6년근 홍삼 고형분이 65%로 구성됐으니 이만하면 유명 브랜드 못지 않은데 이마트 자체 제품이라 가격은 착하다.
▶ 한삼인 홍삼활력고
농협홍삼의 브랜드 한삼인에서는 홍삼활력고를 가져왔다. 홍삼농축액 외에도 당귀, 천궁, 숙지황, 백출, 결명자, 오가피, 백복령, 구기자, 산수유 등 갖가지 약재들이 함께 들어있다. 진세노사이드 외에도 좋은 성분이 듬뿍 들어가 효능이 좋다고 한다. 다만 다른 약재들이 잔뜩 들어가서 그런지 홍삼 성분은 다소 낮다.
▶ 천지양 6년근 고려 홍삼정 골드
진세노사이드 함량 수치를 자신 있게 내걸어 놓은 브랜드다. 마찬가지로 6년근 홍삼 고형분 65%로, 1일 섭취량 3g 기준에 진세노사이드는 18mg이나 함유됐다. 가성비로 인기있는 제품.
▶ 백세인 더사포닌 파벽발효 흑홍삼정
요즘은 흑홍삼도 뜨더라. 백세인의 홍삼정은 인삼꽃부터, 열매, 껍질, 뿌리 어느 하나 버리지 않고 통째로 갈아 넣었다. 고형분 농축액 60%에, 홍삼농분말 5%까지 들어있다. 제조사 표기에 따르면 1일 섭취량 3g에 진세노사이드가 무려 40mg이나 들었다고. 일반 홍삼보다 흑홍삼이 사포닌 함량이 높다더니 과연 그렇다. 다만 가격이 꽤 센 편이다.
올 추석 홍삼농축액를 선물하기로 했다면 구구절절 이 제품을 고르게 된 이유도 설명해보자. 약장수 같이 보일진 몰라도 선물 받은 사람이 홍삼을 더 열심히 섭취하는데는 도움이 될 것이다. 여러분의 홍삼을 선물 받을 누군가가 건강하길 바란다.
기획 편집 송기윤 iamsong@danawa.com
글 사진 염아영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