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나면 더 잘 보이는 전기히터>
코로나19로 시끄러웠던 한 해를 보내고 벌써 연말이 되었다.
예년 같았으면 크리스마스 등 각종 연말 행사로 떠들썩했겠지만,
지금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집중해야 하기에,
집에서 조용히 연말을 보내도록 하자.
이왕이면 따뜻하게...
전기히터!
솔로에겐 애인만큼 옆구리를 따뜻하게 해주고,
커플에겐 화끈한 열기를 선사해주고,
가족에겐 훈훈함을 더해주는 고마운 친구다.
(더불어 잘만 사용하면 가스 요금보다 더 경제적인 효과까지!)
올겨울, 나와 함께할 전기히터를
슬기롭게 '픽'해보자.
<지름 전 체크! 지금 나에게 필요한 난방기기는?>
[전기히터]
1) 히터 내부에 있는 발열체를 가열, 복사열을 통해 난방.
2) 책상 밑, 욕실 등 부분 난방에 적합.
[전기온풍기]
1) 히터 발열체에서 가열된 열기를 팬을 통해 대류를 일으켜 넓은 공간을 난방.
2) 거실, 캠핑 등 넓은 공간 난방에 적합.
[라디에이터]
1) 얇은 금속판을 가열해 열을 방출, 은은한 열기로 공간을 난방.
2) 욕실, 다용도실 등 좁은 공간 난방에 적합.
[컨벡터]
1) 실내 공기를 가열해 대류 난방하는 방식으로 소음이 거의 없고 공간 차지가 적음.
2) 욕실, 다용도실, 공부방 등 좁은 공간 난방에 적합.
<전기히터, 네가 궁금해! 전기히터란 무엇인가?>
전열 코일을 사용해 발열하며, 복사열을 전달하는 난방기기
1) 소음이 거의 없음.
2) 예열시간이 짦음.
3) 난방 공간에 한계가 있음.
4) 다소 낮은 소비 전력.
<세라믹? 석영관? 뭐가 달라? 발열 방식별 장단점>
[할로겐 히터]
수명이 길고, 발열 속도가 빠르나 충격에 약해 깨지기 쉬움.
[카본 히터]
열 전달성이 뛰어나고 전력 소모가 적지만 화재 위험이 높음.
[석영관 히터]
가장 대중적인 발열체로 따뜻하고, 화상 위험이 적으나 예열이 느림.
[세라믹 히터]
예열이 빠르고,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나 전력 소모가 큼.
[근적외선 히터]
열 전달성이 뛰어나고 신진대사를 자극하나 전력 소모가 큼.
<소비전력과 난방 효과는? 면적별 소비 전력 고르기>
외부 공기가 자주 유입되는 장소에서는
소형 제품 여러 대로 면적을 분할하여 난방하는 것이 효율적임.
단열 상태가 안 좋을 때 → 난방출력 600Kcal/h로 1평을 난방
일반적인 단열 상태일 때 → 난방출력 500Kcal/h로 1평을 난방
단열 상태가 좋을 때 → 350Kcal/h로 1평을 난방
<전기요금, 얼마나 나올까? 전기히터 소비전력 및 예상 전기요금>
[누진세 구간 / kWh당 요금]
200kWh 이하 → 93.3원
201~400kWh → 187.9원
400kWh 초과 → 280.6원
*주택용 저압(2019.10월 적용) 기준이며 절대값은 아님.
난방기기 소비전력 |
사용시간 |
월간 전력 사용량 |
예상 전기요금 |
250W |
하루 평균 |
45kWh |
12,850원 |
500W |
90kWh |
22,470원 |
|
750W |
135kWh |
32,080원 |
|
1000W |
180kWh |
41,690원 |
|
1500W |
270kWh |
74,880원 |
|
2000W |
361kWh |
103,600원 |
<어디에 설치하는 게 좋을까? 전기히터 설치 방식>
[벽걸이]
벽에 거는 형태로 공간 차지가 적으나 못질이 필요함.
[천장]
천장에 설치해 공간 효율성을 높였으며, 광범위한 난방이 가능하나 설치가 번거로움.
[바닥]
설치가 필요 없으며 이동이 자유로우나 공간이 좁아지고, 안전상 넘어뜨릴 위험이 높음.
<어떤 제품을 써야 할까? 전기히터 유형>
[탁상용]
테이블에서 쓸 수 있는 사이즈며, 소비전력과 난방 효율성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1인용으로 적합함.
[스탠드형]
바닥에 세워놓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형태로
탁상용보다 넓은 범위 난방 가능.
[선풍기형]
세라믹 히터의 복사열을 이용한 제품이 많으며,
상하조절 및 회전이 가능해 스탠드형보다 넓은 범위 난방이 가능함.
[타워형]
슬림형 디자인으로 좁은 공간에 설치하기 쉬우나
고정력이 약해 넘어지기 쉬움.
[파티션형]
폴딩이 가능한 파티션 형태로 공간 효율성이 높음.
<전기히터 구매 시 체크사항>
1) 사용 목적, 소비전력, 난방 면적을 고려하여 제품 선택.
2) 전기안전 스위치, 과열방지장치, 안전망 등 안전장치 유무 체크.
3) 난방 환경을 기준으로 발열 방식 장단점 체크.
4) 높이 조절, 각도 조절, 회전, 리모컨 등 편리한 사용을 위한 부가기능 체크.
5)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체크(가능한 1등급으로 구매).
6.) 공인된 안전인증마크가 있는지 체크.
<전기히터 사용 시 주의할 점은?>
1) 전기 히터 주변에 물건을 두지 않는다(화재 위험).
2) 멀티탭에 연결할 경우 한 멀티탭에 한 개 제품만 사용해 과부하를 방지한다.
3) 사용 중 수시로 전선 피복 및 플러그 상태를 확인한다.
4) 장시간 사용 시 실내가 건조해지므로 가습기를 틀어준다.
5) 1시간 이상 사용 시 창문을 열고 환기시킨다.
6) 가까이 두고 사용할 경우 화상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 거리를 확보한다.
기획, 편집 / 다나와 오미정 sagajimomo@danawa.com
구성 / 문유진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