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더레이크는 인텔과 AMD의 급 차이를 확실하게 각인시켜 준 프로세서이자 아키텍처다. 미세 공정이나 코어 수 경쟁으로 앞서 나간 AMD에겐 두려운 존재다.
하지만 오버클럭을 지원하는 K 시리즈만 투입되다 보니 시장 반응은 예상보다 좋지 못했다. DDR5 메모리의 수급 문제와 더불어 Z690 메인보드의 미친 가격까지 더해지며 긍정 보다 부정적인 반응들이 더 많았다.
그래서 이 문제를 풀어 갈 Non-K 모델들과 DDR4를 지원하는 보급형 칩셋 메인보드가 필요 했는데 인텔이 답을 내놨다.
지난해 11월 투입된 K 시리즈에 이어 12세대 코어 프로세서의 세대 교체를 마무리 지을 Non-K 모델들과 보급형 칩셋 메인보드의 출시가 공식화 됐다.
케이벤치에서는 12세대 Non-K 프로세서 출시에 앞서 일부 모델 샘플을 입수하여 테스트를 진행해 왔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몇 몇 모델에 대한 평가 결과를 지금부터 소개해 볼까 한다.
인텔 코어 i5-12400, 이번에도 6코어 가성비 최강자
케이벤치가 입수한 12세대 Non-K 프로세서 중 가장 먼저 소개할 모델은 코어 i5-12400이다.
이 모델은 이전 세대의 400 번대 모델이 그러했듯이 코어 i5 시리즈 중 가장 저렴한 제품인데 6개의 CPU 코어가 탑재된 덕에 가성비 면에서 좋은 평가가 기대되는 모델이다.
탑재된 6개의 CPU 코어는 모두 고성능 포퍼먼스 코어이며 i7 라인업 부터 적용되는 E 코어는 모두 삭제되어 출시됐다.
E코어가 없는 구조라서 빅리틀의 장점이나 특징은 사라졌는데 오히려 P 코어와 E 코어 간 작업 배분과 그로 인한 미스 매칭 문제를 피할 수 있어 나쁜쪽으로만 보긴 어렵다.
엘더레이크의 실제 성능을 책임지는 P 코어는 그대로라서 K 시리즈에서 확인 했던 그런 놀라운 결과들을 코어 i5-12400에서도 경험할 수 있다.
소비전력은 TDP가 65W지만 최대 터보 파워 기준으로 117W까지 사용한다는데 실제 117W까지 사용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코어 i5-12400의 등급을 생각하면 그러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65W 이상의 TDP는 어쩔 수 없는 것 같아 그로 인한 성능 향상 보다는 발열 증가가 조금 우려되는 상황이다.
인텔 코어 i5-12400의 클럭 세팅은 위 이미지와 같다.
스레드 조합에 따라 최대 4.4GHz, 최소 4Ghz까지 작동하도록 만들어졌다. 기본 TDP는 65W로 맞춰 졌고 피크 파워만 169W까지 허용된다. 허용 시간은 28초가 전부라서 그 이상 65W를 넘어서면 클럭이 제한되는 쓰로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11400은 잊어라, 11700도 넘어선 인텔 코어 i5-12400
필자는 메인보드 제조사가 바이오스에서 제공하는 쓰로틀 해제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인텔의 터보 부스트 규격에 맞춰 클럭이 조절되도록 만들었으며 이를 통해 기존 세대와의 성능 차이를 확인해 봤다.
비교용으로 사용된 프로세서는 이전 세대 모델인 코어 i5-11400과 상위 모델인 i7-11700이며 이들과의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는 예상대로다. CPU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긱벤치와 산드라 모두 12세대 코어 i5-12400가 압도적이다.
작업에 따라 CPU 코어가 2개나 많은 코어 i7-11700를 넘어선 결과도 있어 상당히 충격적인데 아마 AVX-512만 지원됐어도 Sandra의 멀티-미디어와 이미지 프로싱 결과까지 이전 세대를 뛰어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3D 랜더링과 미디어 인코딩 작업도 마찬가지다. 모든 결과에서 12세대 코어 i5-12400의 작업 능력이 이전 세대를 뛰어 넘었다.
11700도 이젠 상대가 안될 정도로 코어 i5-12400의 작업 능력을 월등했다.
풀로드가 아닌 캐주얼 작업 위주의 실사용 환경을 검증하는 PCMARK10도 코어 i5-12400의 압승였다. PCMARK10의 작업 결과가 클럭이나 코어 수 영향이 적은 편인데도 이렇게 점수 차이가 큰 걸 보면 이전 어느 세대 보다 체감 성능 차이가 크지 않을까 생각된다.
게이밍도 인텔 코어 i5-12400
게이밍 환경도 마찬가지다.
솔직히 게이밍 환경은 CPU 자원을 100% 활용하지 않기에 성능 차이가 크지 않은 분야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어 i5-12400는 진정한 세대 교체가 무언가를 제대로 보여줬다.
3DMARK의 기본 테스트는 물론이고 실제 게임에서도 프레임 차이가 너무 컸다. 이미 K 시리즈로도 확인이 됐던 분야라서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Non-K 프로세서로, 코어 i5 시리즈의 막내 모델까지 이정도일 줄은 몰랐다.
이 정도면 게임용 CPU로 코어 i5-12400 이상은 고민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쓰로틀 제한은 거의 없다. 추가 성능은 기대 이하
코어 i5-12400의 TDP는 65W, 부스트는 117W다. 앞서 정리한 스펙대로라면 65W와 117W의 차이 만큼 클럭이 존재하고 쓰로틀 현상만 막으면 그 클럭 만큼 성능을 더 얻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좀 정신 없지만 어쨌든 Non-K 프로세서들은 쓰로틀 현상을 막아 그 만큼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는데 아쉽게도 코어 i5-12400는 해당사항이 없다.
인텔이 정리한 스펙표가 이상한 것 같다. 실제 테스트 결과 코어 i5-12400의 소비전력은 INTEL XTU 스트레스 테스트(AVX2) 기준 71W였으며 65W로 제한돼도 CPU 클럭에는 변화가 없었다. 전압만 미세 조정한 것인지 클럭은 쓰로틀 전과 동일한 4GHz 였다.
블랜더나 씨네벤치 R23 같은 작업은 아주 약간의 차이가 있었기에 전혀 차이가 없다고 할 순 없지만 게임 같이 일부 작업에선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코어 i5-12400는 그냥 기본값으로 사용 하는게 낫지 않을까 생각된다.
갓성비 게이밍 CPU, 인텔 코어 i5-12400
게임은 CPU 자원을 100% 활용하지 않는다. 점유율이 높은 작업들 보다 성능 차이가 적을 수 밖에 없고 CPU 코어 구성이나 아키텍처 차이도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텔 코어 i5-12400의 성능은 놀라웠다. 종전 모델이나 그 보다 높은 성능의 CPU와 비교해도 월등한 프레임을 자랑했다. 직접 비교해 보진 못했으나 이전 세대 코어 i9 시리즈도 인텔 코어 i5-12400이 대신할 수 있을 것 같다.
이에 대한 자료는 타 매체나 후기로 확인이 가능할 텐데 워낙 게이밍 쪽에서 결과가 확실하다 보니 이 보다 더 나은 프레임을 위해 돈을 더 지불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까도 고민하게 됐다.
프레임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겠지만 투자 대비 결과는 인텔 코어 i5-12400 만큼 확실한 제품을 없을 것이고 이 정도면 게이밍 프로세서의 갓성비라 부르는게 마땅하지 않을까 싶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케이벤치 미디어국. kben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