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가전으로 자리잡고 있는 로봇청소기는 지난 몇 년간 많은 사랑을 받으며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왔다. 점점 더 많은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대가족부터 1인 가구까지 다양한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세계 최초로 출시되어 이목을 끌었던 1세대 로봇청소기부터 손 하나 까딱하지 않아도 되는 최신형 로봇청소기까지, 연대별 로봇청소기 제품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1세대 | 초음파 및 적외선 센서 자동으로 움직이는 ‘로봇청소기’ 등장 |
세계 최초의 로봇청소기, 일렉트로룩스 트릴로바이트
세계 최초의 로봇청소기는 스웨덴의 가전회사 일렉트로룩스에서 출시되었다. 9개의 초음파 센서를 탑재한 이 제품은 장애물을 감지해 자동으로 청소하고 배터리가 부족하면 충전기로 돌아가는 자동 충전 기능을 갖추었으며, 청소 속도를 3단계로 조절하는 기능 또한 갖추었다.
다소 둔탁해 보이는 생김새와 트릴로바이트라는 이름은 고생대 바다의 청소부 역할을 했다는 삼엽충(Trilobite)에서 가져온 것. 2003년 1월 국내에도 정식 출시되었으며, 당시 출시 가격은 228만 원으로 매우 고가였다. 약 3년 후인 2005년 출시된 2세대 트릴로바이트는 여기에 계단 인식, 청소 예약,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추고 청소 성능도 업그레이드 되었다.
50만 원대 보급형 로봇청소기 아이로봇 룸바
트릴로바이트는 당시로서는 상당히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서울 강남, 서초를 중심으로 예상을 뛰어넘는 판매 실적을 보였고, 곧이어 미국 아이로봇사의 보급형 로봇청소기 룸바가 50만 원대의 저렴한 가격에 출시되었다. 적외선 센서를 탑재한 이 제품은 장애물을 감지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자동 충전 기능도 없었지만, 그만큼 가격 부담이 적어 상당수 팔려나갔다. 참고로 아이로봇사의 룸바 시리즈는 아직까지도 활발하게 출시되고 있다.
국내 최초의 로봇청소기 LG전자 로보킹
이후 초음파 센서, 적외선(IR) 센서, 카메라 센서 등을 탑재한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삼성, LG 등 국내 제조사들도 로봇청소기 시장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당시 로봇청소기들은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가장 기본적인 길 찾기 및 장애물 감지 성능이 매우 떨어졌고, 로봇청소기는 점점 비싼 애물단지 취급을 받으며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받기 시작했다. 로봇청소기가 ‘바보 가전’이라는 이미지를 갖게 된 것도 바로 이때부터.
그러나 이 시기가 아예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센서, 적외선(IR) 센서, 카메라 센서 등 이때 사용되었던 센서들이 현재까지도 최신형 로봇청소기 제품들의 보조 센서로 맹활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2세대 | LDS 센서 탑재 로봇청소기, 센서를 달고 똑똑해지다! |



3세대 | 반자동 스테이션
먼지 자동 비움으로 더 편하게!
|



3.5세대 | 자동 스테이션
걸레 세척부터 건조까지 자동으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