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게임들이 쏟아지고 있는 요즘!
어디서든 고사양 게임을 즐기기 위한 휴대용 게임기
그 대세를 이끄는 두 제품이 있으니..바로
스팀덱 vs ROG Ally
작년까지 원엑스플레이어 등 나름 선전하고 있었으나
스팀덱과 ROG Ally가 연이어 출시하며
<출처: 다나와리서치>
올해 위와 같이 높은 판매 성장을 +_+
아직 높은 가격대 + 휴대성 개선은
계속 풀어야 할 과제이나
고사양 게임을 돌릴 수 있는 휴대용 게임기가
새로운 트랜드라는건 분명한 사실!
현재 선택지는 위 두 모델에서
고민이 대부분일텐데
아래 비교를 통해 구매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 Low Spec 비교 (512GB 기준)
일단 두 제품의 세부 스펙을 비교하면..
대부분 ROG Ally가 우위에 있네요.
물론 가격 및 출시 시기의 차이도 있으나
<출처: 다나와리서치>
스팀덱의 점유율을 거진 다 가져온만큼 대단한 인기..
전반적인 성능은 Ally가 좋으나 메모리 채널이 듀얼로 구성된
64bit(대역폭:51.2GB/s) 이기에
쿼드채널 128bit(대역폭:88GB/s)의 스팀덱보다
같은 용량의 메모리 구성에 있어 아쉬운 부분도 있으며
스팀 게임에 최적화된 스팀덱 OS의 강점으로 인해
어느 한쪽이 쉽게 무너지지 않는
경쟁 구도를 펼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퍼포먼스 비교
1) 게임 실행 및 로딩
(해외 테스트 영상 참고 자료니 참고용으로만..)
숫자가 낮을수록 좋은 실행 및 로딩 시간은
평균적으로 5초 정도 차이가 있으며
특히 디아4의 초기 실행에서 많은 차이가 있는데
스팀OS에서 윈도우 게임 실행을 위한 별도 세팅이
실행시 다소 부하를 좀 더 주는 듯 합니다.
2) 평균 FPS
AMD 최신 칩셋인 7840U 기반의 Ally가
동일 게임 옵션에서 확실히 우위에 있네요.
최대 TDP가 스팀덱의 두배인 30W이니
그만큼 APU 최대 성능을 뽑을 수 있겠으나
그만큼 스템덱보단 배터리 소모가 빠른거는 참고!
▣확장성(용량)
기본 512GB로 A급 게임(약 75GB) 기준,
최대 6~7개 게임만 설치 가능하기에
클라우드 게임만 하지 않는 이상
구매 후 고용량의 SSD로 교체하는 것이 추세.
<2230 규격의 M.2 NVMe SSD>
(▲다나와에선 위와 같이 검색 가능!)
스팀덱은 제조사에서 교체 권장하지 않는
만큼 별도의 부팅디스크도 만들고 복잡하나
Ally는 클라우드 리커버리 기능을 통해
별도의 수동 재설치 과정 없이
시스템 전체가 교체한 SSD에 이전 가능합니다.
<스팀덱/Ally 분해시 SSD 위치>
▣.최종 장단점 및 한줄 코멘트
<스팀덱>
▲저전력에 최적화된 성능으로 높은 배터리 효율.
바로 게임에 복귀할 수 있는 퀵리줌 시스템.
▼용량 교체 및 윈도우 게임을 위한 과정은 불편.
다소 떨어지는 화질.
→ 스팀 골수 유저 + 2D & 인디 게임을 더 즐긴다면 추천.
-------------------------------------------------------------
<ROG Ally>
▲쉬운 용량 교체 + 실외에서도 선명한 LCD품질.
현존 최고 사양의 UMPC.
▼기본 구성품에 빠진 파우치
성능모드(30W)시 빠른 배터리 소진.
→ 고사양 게임용으로 현재 기준에선 최선의 선택.
기획, 글 / 다나와 박상필 psp0211@cowave.kr
(c) 스마트한 쇼핑 검색,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