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을 무대로 펼쳐지는 불꽃의 향연, 2023 불꽃축제 꿀팁모음 코로나로 3년 만에 열린 2022 불꽃축제가 성황리에 종료되고, 2023년인 올해도 어김없이 서울 세계 불꽃축제가 개최된다! 매년 10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오는 대한민국 대표 행사인 만큼 많은 분들이 이번 행사를 손꼽아 기다려 왔을 것이다. 올해 불꽃축제는 '다채로운 색깔로 내일의 세상을 환하게 비추는 밝은 미래'라는 주제 아래 관람객들에게 꿈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가장 많은 바지선 투입과 새롭게 선보이는 '허리케인 불꽃'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화려한 불꽃쇼를 감상할 수 있다고 하니 놓치지 말자! 2023 불꽃축제의 기본적인 정보와, 명당자리, 인생샷을 남기는 사진 촬영 꿀팁을 알아보고, 가족,연인,친구들과 잊지 못할 가을밤의 추억을 만들어보자! |
1. 서울 세계 불꽃축제 2023 |
▣ 행사기간: 2023.10.7 (SAT) 1:00 PM - 9:30 PM ▣ 위치: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50(여의도동) ▣ 행사장소: 여의도 한강공원 일대 (마포대교~한강철교) ▣ 홈페이지 |
<이미지출처:한화와 함꼐하는 서울세계불꽃축제 2023 홈페이지> |
▶ 서울세계불꽃축제 2023, 불꽃 프로그램 순서!
진행순서/시간 |
프로그램 |
---|---|
PM 01:00 ~ 06:00 |
시민참여 프로그램 |
PM 07:00~07:20 |
개막식 |
PM 07:20~07:35 |
불꽃쇼 / 중국 (SUNNY-A Dream Comes True) |
PM 07:40 ~ 07:55 |
불꽃쇼 / 폴란드 (SUREX-Light Up the World) |
PM 08:00 ~ 08:40 |
불꽃쇼 / 한국 ((주)한화-Moonlight 달빛 속으로) |
PM 08:40 ~ 09:30 |
불꽃 애프터 파티 / DJ공연 EDM 미디어쇼 (여의도 한강공원 내 메인스테이지) |
PM 08:40 ~ 11:00 |
클린캠페인 대학생 자원봉사단 V원정대와 함께하는 클린활동 |
※교통통제 내용 |
교통통제 시간: PM 02:00~10:00 여의동로(마포대교 남단 ~ 63빌딩 앞) 올림픽대로와 노들길 ~ 63빌딩 진입구간 |
▶ 축제 명당자리와 필수지참 준비물&팁
※ 축제 명당자리는 이곳!
* 여의도 한강공원 멀티플라자
* 한강철교 북단
* 한강대교 전망대쉼터 노을/구름카페)
* 이촌 한강공원
* 노들섬
* 선유도 공원, 요트 또는 유람선
* 노량진 사육신 공원
* 노량진 근린공원
* 여의도 인근 건물 옥상
* 한강 유람선
* 강변북로 카페
* 숙명여자대학교 기숙사 옥상
* 남산 타워 전망대
* 노량진 학원 옥상
* 중앙대 건물 옥상
※ 필수지참 준비물!
* 따뜻한 외투나 무릎 담요
* 방석 또는 돗자리
*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 보조배터리
* 맛있는 음식과 음료
* 불꽃축제 기다리면서 즐길 책, 보드게임
* 양산, 선글라스, 자외선 차단제 등 (낮부터 기다릴 경우)
* 휴지, 손수건, 쓰레기 봉투
2. 부산 불꽃축제 2023 |
▣ 행사기간: 2023.11.04 (SAT) 2:00 PM - 9:00 PM ▣ 위치: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해변로 219 (광안동) ▣ 행사장소: 광안리해수욕장·이기대·동백섬 일원 ▣ 홈페이지 |
<이미지출처: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 홈페이지> |
▶제 18회 부산불꽃축제, 기본적인 내용 (향후 업데이트)
* 향후 업데이트 (프로그램 미정)
▶ 축제 명당자리
※ 축제 명당자리는 이곳!
* 동백섬
* 이기대 해안 산책로 절벽 지점
* 용호만 매립 부두
* 광안대교 앞
* 달맞이 고개
* 장산
* 전망대 (더베이101, 동백섬 누리마루, 청사포)
* 유람선 (예약제)
* 스타벅스 (예약제)
* 광안리 아쿠아팰리스, 호메로스 호텔 앞 백사장 (유료좌석)
3. 불꽃/야경사진 필수 아이템은? |
● 짐벌 : 불꽃놀이를 흔들림 없이 생생하게 영상으로 남기고 싶다면! 불꽃축제의 현장감을 영상으로 담고 싶을 때 추천하는 아이템은 짐벌이다. 짐벌이 생소한 분들도 있겠지만, 짐벌은 흔들림 없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도와주는 제품으로 이해하면 쉽다. 일반적인 셀카봉이나 삼각대는 사진 촬영 용도인 경우 추천하며, 영상 촬영 비중이 더 높을 경우 짐벌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영상 촬영시 흔들림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셀카봉과는 달리 짐벌의 경우 중심축을 유지하는 촬영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는 영상을 찍기에 더 좋다. 짐벌 구매시 좌우, 상하, 회전 흔들림을 보정하는 3축 짐벌을 추천하며, 탈착이 편한 마그네틱 방식 제품이나 삼각대 내장 옵션 등 다양하므로 사용자 상황에 맞춰 원하는 짐벌을 골라 사용하기 바란다.
● 삼각대/셀카봉 : 흔들림 없는 불꽃 사진의 필수템! 멋진 야경과 불꽃 사진을 촬영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본 전제는 바로 흔들림 없는 사진 촬영이다. 불꽃을 배경에 두고 흔들림 없는 사진을 찍기를 원한다면, 삼각대와 셀카봉을 적극 고려해보자. 불꽃축제는 일몰 후에 열리는 야외행사이고, 많은 인파가 몰리는 만큼 보조 도구 없이는 흔들림 없는 사진을 남기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삼각대 혹은 셀카봉을 준비한다면 순간 터지는 불꽃의 궤적을 담기에도 용이하고, 불꽃과 함께 연인, 가족, 친구들과의 모습을 담아낼 수 있으니 일석이조다. 불꽃 사진을 촬영할 때엔 한 곳에 자리를 잡고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데 불꽃이 터질 때 빛이 밝다고 해도 카메라를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꽃의 궤적을 제대로 담기 어렵다. 그러므로 삼각대를 사용해 카메라를 고정시키고 헤드를 이용해 구도를 잡는 것이 좋다. 삼각대를 설치하더라도 셔터를 누르는 순간 카메라가 움직이기 때문에 릴리즈를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팁!
● 릴리즈/리모컨 : 미세한 흔들림도 놓치지 않는 삼각대 친구! 삼각대를 놓고 야경 사진을 촬영할 때 셔터를 누르는 순간에도 카메라의 미세한 흔들림을 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릴리즈를 사용할 경우 어떠한 진동도 발생하지 않고 흔들림을 막을 수 있기에 릴리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셔터 릴리즈는 연결 방식에 따라 유/무선으로 나눌 수 있다. 유선 방식은 작동이 확실하나 케이블이 빠지거나 선 길이가 제한되므로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무선에 비해 가격대가 저렴하다. 무선 릴리즈는 케이블이 없어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통 100m까지 무선으로 촬영이 가능하지만 유선에 비해 가격대가 비교적 비싸다.
● 크로스 필터 : 초간단 감성 사진 촬영 비법! 가로등 조명이 십자가 모양으로 아름답게 빛나는 사진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과연 어떻게 촬영해야만 불빛의 방향을 나눌 수 있는 것인지 궁금증을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정답은 바로 크로스 필터를 이용한 촬영이다. 크로스 필터는 말 그대로 필터 표면에 선이 그어져있어 빛을 선의 방향으로 번지게끔 만들어주는 렌즈 필터이다. 필터의 종류는 4방향, 6방향, 8방향 필터가 있으며 방향의 개수에 따라 빛의 방향의 수도 결정된다.
|
4. 불꽃 사진 촬영! 어떻게? |
불꽃 사진을 촬영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셔터스피드를 어떻게 끊어주느냐가 관건이 된다. 그럼 지금부터 불꽃 사진 촬영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조리개 값 F8 ~ F11 불꽃은 매우 밝기 때문에 조리개를 많이 개방하면 불꽃의 선명함을 담기가 어렵다. 조리개를 너무 많이 개방하면 불꽃이 너무 뚱뚱하게 나오고 조리개를 너무 조이면 불꽃이 너무 얇게 나온다. 조리개 값은 F8 이상으로 맞추기를 권장한다. ● 셔터스피드 모드 벌브(BULB) 로 설정 셔터스피드를 계속 느리게 조작하면 카메라 상태창에 벌브(BULB) 라고 나오는데, 벌브란 셔터스피드를 일정하게 정하여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고 있는 만큼 노출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강한 빛이 쏟아지면 짧게, 불꽃의 흐름을 표현하려면 길게 셔터를 누르면 된다. 셔터스피드는 장노출로 2~6초로 설정하는데, 불꽃마다 다르기 때문에 벌브사용을 권장한다. 다만 벌브모드는 셔터릴리즈가 필요하다. 셔터릴리즈가 없다면, 셔터스피드는 초단위(1~4초)로 맞춰야 불꽃의 궤적을 담을 수 있다. ● ISO 100 (400까지 괜찮다) 야간의 ISO(감도)는 낮을수록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감도를 너무 높이면 노이즈가 심하기 때문에 저감도로 설정해야 노이즈 없는 깔끔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 초점 모드 AF로 초점을 맞춘 뒤, MF로 고정 불꽃을 촬영할 때 밤하늘을 향해 초점을 맞추기란 쉽지가 않다. 불꽃이 터질 때마다 초점을 잡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미리 AF로 초점을 잡은 뒤 MF로 변경하여 초점을 고정해두면 편리하다. 혹시, 렌즈를 교체하게 된다면 다시 AF로 초점을 잡고 MF로 변경해야 한다. MF설정 방법은 AF상태에서 반셔터를 누르면 초점을 맞춰준다. 위의 촬영법은 불꽃 사진뿐만 아니라, 야경 촬영에도 활용할 수 있다. |
5. 불꽃 촬영에 추천하는 카메라 및 렌즈 |
불꽃 촬영이나 야경 촬영에 특화된 카메라나 렌즈는 따로 없지만, 좀 더 손쉽게 아름다운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유용한 기능이 내장된 카메라와 렌즈는 있다. 앞에서 말했듯, 불꽃/야경 사진 촬영법을 구현하지 위해서는 조리개 값과 셔터 속도를 임의로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수동 기능이 포함된 카메라가 필요하다. 그러나 요즘에 나오는 대부분의 미러리스, 하이엔드 카메라는 대부분 수동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니 똑딱이 콤팩트 카메라 사용자가 아니라면 걱정할 필요는 없다. ● 전용 리모컨 어플을 활용하여 스마트하게 촬영하자. 만약 자신의 카메라가 WiFi 스마트 기능을 지원한다면 (요즘에 출시되는 카메라는 대부분 WiFi 기능을 지원한다.) 별도의 릴리즈를 구매하지 않고 리모컨 어플을 이용해 원격으로 카메라 셔터를 조작할 수 있으니 추가 릴리즈 구매 비용을 아낄 수 있다. ● 단렌즈 vs 줌렌즈 어떤 게 좋을까? 렌즈의 경우, 단렌즈를 사용한다면 선예도가 좋기 때문에 쨍한 사진을 촬영하기에 좋으며 빛 갈림, 고정된 화각의 사진 합성에도 유리하다. 반면 줌렌즈는 단렌즈보다 앞에서 언급된 내용에서는 조금 불리하지만 다양한 화각에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촬영 환경에 맞게 다양한 화각으로 찍을 수 있다. 참고로 불꽃을 조금 더 강렬하게 촬영하고 싶다면 불꽃을 가까이 촬영할 수 있는 망원렌즈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 광각렌즈 : 보다 더 넓게 많은 불꽃을 담길 원한다면! 한 번에 여러 개의 불꽃을 담고 싶다면 렌즈의 범위 중 상대적으로 넓은 화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광각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너무 좁은 화각으로 촬영을 하면 불꽃이 언제 어디 부분에서 터지는지 찾지 못해 결정적인 장면을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 원형 조리개 지원 렌즈 : 아름다운 보케 사진을 원한다면! 원형 조리개는 일반적인 다각형 조리개보다 더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아웃포커스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보케 사진을 담을 수 있다. 보케 사진이란 초점을 맞추지 못해 희미하게 찍힌 것처럼 보이는 사진으로 보케/빛망울 효과라고도 한다. 주로 초점을 수동으로 설정한 뒤, 조리개를 최대한 개방하여 촬영하며 야경촬영에서 아름다운 보케 사진을 촬영하고 싶다면 원형 조리개를 지원하는 렌즈를 구매해야 한다.
|
디카CM 이다솔 / dasollee@danawa.com
가격비교를 넘어 가치비교로, 다나와 (www.danawa.com)
세상의 모든 특가정보를 한눈에! [입소문쇼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