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입력, 센서, 감지회피, 먼지비움, 걸레세척, 걸레건조, 소음 등 로봇청소기를 선택하기 위해서 살펴볼 것이 한두개가 아니다보니 구매하기 전부터 머리가 아픈 경우가 많다. 이에 이러한 고충을 해결하고자 다나와에서는 '추천 로봇청소기'라는 카테고리를 운영중이다.
이 카테고리에서는 친절하게 구성된 상세검색을 통해 로봇청소기에 대해 잘 모르는 초보자도 자신에게 딱 맞는 로봇청소기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추천 로봇청소기' 카테고리 활용 방법을 아래와 같이 안내하고자 한다.
1. '추천 로봇청소기' 카테고리로 이동
추천 로봇청소기 카테고리는 최신형 로봇청소기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LDS라이다 또는 ToF 센서가 장착된 로봇청소기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로봇청소기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카테고리
2. 상세검색 활용
1) 제조사별
제조사별에서는 다나와 기준 인기 제조사(나열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우측 51개+를 누르면 전체 제조사를 확인할 수 있다. 제조사를 선택하면 나오는 상품을 줄일 수 있지만 특별히 원하는 제조사가 없다면 꼭 선택할 필요는 없다.
2) 용도
대세는 흡입 청소는 물론 물걸레질도 가능한 로봇청소기이나 물걸레를 따로 직접하는 경우 흡입전용을 선택해 흡입청소만 가능한 로봇청소기를 살펴보면 되며, 반대로 별도의 진공청소기로 흡입 청소를 하는 경우라면 물걸레전용을 선택해 물걸레질만 가능한 로봇청소기를 살펴보면 된다.
3) 스테이션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 본체가 도킹되어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을 자동으로 비워주는 먼지비움, 로봇청소기의 물걸레를 세척하거나 건조해주는 걸레세척/걸레건조, 물걸레 청소시 물이 부족한 경우 물을 보충해주는 자동급수 등의 기능을 갖는다. 전 기능이 다 있으면 좋겠지만 가격이 높아지기 때문에 꼭 필요한 기능인지를 따져보고 기능을 선택하자.
4) 청소성능
흡입 청소능력과 물걸레 청소능력의 강도를 기준으로 구성한 청소성능이며, 상세기준은 다음과 같다.
성능 |
(강) |
(중) |
흡입 |
흡입력: 5,001Pa~ |
흡입력: 3,001~5,000Pa |
흡입가능: 쇠구슬 |
흡입가능: 콩, 원두 |
|
적합환경: 먼지많음 |
적합환경: 먼지보통 |
|
걸레 |
방식: 회전형 |
방식: 음파진동형/왕복형 |
적합환경: 오염심함 |
적합환경: 오염보통 |
흡입(강)/걸레(강)이 가장 청소능력이 뛰어난 것은 맞지만, 강도가 (중)이라고 해서 일상적인 환경에서의 흡입 청소나 물걸레 청소에 부족함이 있지는 않기에 예산에 맞게 청소성능을 선택해도 무방하다.
5) 감지회피
사물의 종류를 빠르게 파악해 흡입을 하거나 피해가는 사물인식, 사물의 세부적인 종류를 파악하지는 못하나 장애물을 인식해 흡입을 하거나 피해가는 장애물회피(사물인식 보다 정확도 떨어짐), 카펫 청소시 물걸레를 들어올려 카펫을 젖지 않게 해주는 물걸레리프팅, 바닥보다 청소가 어려운 카펫 청소시 흡입력을 자동으로 올려주는 카펫부스트가 감지회피의 핵심 기능
청소 전 집안 정리를 최소화 하고 싶다면 사물인식 기능을 추천하며, 사물인식 기능이 없더라도 원활한 청소를 위한 장애물회피 기능은 권장한다. 집에 카펫이 있는 경우 물걸레리프팅, 카펫부스트 모두 활용도가 높은 기능이다.
6) 편의기능
청소 중 배터리가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스테이션에 도킹하여 충전 후 이어서 청소를 해주는 자동충전과 스마트폰을 통해 로봇청소기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스마트폰제어는 필수적인 기능
메인브러시가 잘 엉키지 않는 재질로 되어 있거나 일시적으로 엉키더라도 그라인더로 엉킴을 끊어주는 먼지엉킴방지는 필수는 아니나 추천되는 기능, 로봇청소기에 부착된 카메라로 집안 내부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홈캠은 필요에 따라 선택하는 기능으로 볼 수 있다.
7) AS편의성
정상적인 사용 상태에서 발생한 성능, 기능상의 고장인 경우 무상 AS를 받을 수 있는 품질보증기간으로 이 기간은 길면 길수록 유리, AS시에는 보통 택배로 보내거나 센터에 방문을 하는데 방문출장이 가능한 경우 AS기사가 사용자의 집으로 직접 방문하여 AS를 진행한다. (단, 출장비는 별도로 청구되고 지역에 따라 출장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어 문의 필요)
8) 가격대
로봇청소기의 평균가는 70만원선으로 기능에 따라 차이가 있겠으나 이 가격보다 높다면 비싼 로봇청소기, 낮다면 저렴한 로봇청소기로 볼 수 있다.
이미지 출처: LG전자, 삼성전자, 샤오미
생활가전CM 김영선 kys@cowave.kr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비교로, 다나와(www.danawa.com)
세상의 모든 특가정보를 한눈에! [입소문쇼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