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정책 기조 중 하나인 '가계 통신비 절약'을 실현하기 위해 알뜰폰 보급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달 중 500만 가입자를 돌파할 것으로 기대되는 알뜰폰은 숫자만 놓고 보면 활성화 단계에 접어든 듯하다. 미래부는 현재 알뜰폰 구매를 희망하는 국민들이 쉽고 간편하게 통신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는 알뜰폰 허브 사이트를 구축 중이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알뜰폰 허브 사이트에 대해 집중 점검해 본다.<편집자주>
[미디어잇 이진, 최재필] 정부가 알뜰폰 육성을 위한 허브사이트 구축은 기존 우체국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허브사이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자들에게 별도 구축 자금을 지불케 해 중복 투자 논란이 일고 있다.
미래부, 알뜰폰 업계에서 5억 받아 허브사이트 구축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알뜰폰 구입을 원하는 국민들을 위해 제품 정보에서 구매까지 원스톱으로 할 수 있는 허브사이트를 구축 중이다.
미래부가 추진하고 있는 허브사이트는 15개 안팎의 알뜰폰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유통 채널이 적은 중소업체들의 판매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미래부는 사이트를 제작하는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대형 알뜰폰 업체를 중심으로 5억여 원에 달하는 구축비를 받았다.
업계에서는 CJ헬로비전과 SK텔링크, KCT, KTIS, 미디어로그 등 5개 업체가 사업비의 80%에 해당하는 4억원을 냈고, 나머지 업체들이 1억원을 분담한 것으로 보고 있다.
우체국이 운영하는 허브사이트도 있는데…
알뜰폰 허브사이트는 미래부 산하기관인 우정사업본부(이하 우본)가 이미 운영 중이다. 2013년 10월부터 전국 우체국을 통해 알뜰폰 판매를 시작한 우본은 지난해 초 알뜰폰 상품과 요금제 등을 상세히 볼 수 있는 허브사이트를 국고를 들여 제작한 바 있다.

우체국은 올해부터 당초 6개였던 알뜰폰 업체를 10개로 늘렸지만, 허브사이트 운영에 큰 어려움이 없다. 필요에 따라 업체 수를 더 늘리더라도 충분히 이용이 가능하다.
미래부가 이 솔루션을 이용할 경우 사이트 내에 제품을 바로 구입할 수 있는 '결제' 기능을 넣으면 되지만, 미래부가 고민하는 알뜰폰 허브사이트로서의 기능을 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는 분석이다.
정부 한 관계자는 "우체국 알뜰폰 관련 페이지를 조금만 보충하면 별 무리없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미래부는 우본의 것을 사용하는 대신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TI)를 활용해 알뜰폰 사업자가 낸 자금으로 새로운 허브사이트를 구축하고 있으며 5월 중 오픈할 예정이다.
알뜰폰 업계 어려움 가중되나
정부는 올해 2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민간의 모바일 앱과 웹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정부가 만든 앱을 폐지하는 등 중복사업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러나 미래부는 우본의 관련 솔루션 활용 대신 중복투자를 결정했다. 알뜰폰 업계는 그렇지 않아도 형편이 어려운데, 여기에 허브사이트 구축 비용까지 어쩔 수 없이 부담해 회사를 경영하기 어렵다고 토로하고 있다.
알뜰폰 업계는 단말기유통법 시행 후 시장에서 재미를 보지 못하고 있다. 알뜰폰 사업 자체가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이 아닌데다 포화상태인 이통시장에서 가입자를 모집해 이익을 내기란 힘들기 때문이다.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사업을 시작한 후 적자가 이어지고 있어 어려운 상황"이라며 고충을 털어놨다.
또 다른 알뜰폰 업체 관계자는 "판로 찾기가 어려운 중소 업체를 위해 유통 채널을 늘려주겠다는 취지는 좋지만, 기존 솔루션을 활용하는 대신 알뜰폰 업체들의 돈으로 중복투자를 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진 기자 miffy@it.co.kr / 최재필 기자 jpchoi@i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