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진보가 얼마나 놀라운 수준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인 안드리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에서 근무 중인 베네딕트 에반스(Benedict Evans)가 올린 트윗을 통해 화제를 모은 것.
1995년 공개된 애니메이션 토이스토리 CG를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 팜(Render Farm) 전체 CPU에는 트랜지스터 10억 개가 집적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애플 스마트폰인아이폰6에 탑재된 A8칩에는 무려 20억 개에 이르는 트랜지스터가 집적되어 있다는 것.
물론 단순하게 트랜지스터 수의 차이가 곧 성능의 차이를 의미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트랜지스터 숙다 많을수록 프로세서 성능과 기능이 강화되는 건 틀림없다.
https://twitter.com/BenedictEvans/status/766818644156219392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엄청난 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뤄져 있다. 트랜지스터 하나하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간단하고 작은 소자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들을 결합해 다양한 계산을 하거나 주변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결합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 수가 많을수록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성능과 기능은 더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A8 칩은 20nm 제조공정을 이용해 애플이 자체 개발한 SoC다. A8 칩의 실제 크기는 8.47×10.5mm다. 이에 비해 토이스토리 CG 렌더링에 이용한 렌더팜은 수백 개에 이르는 머신이 줄지어 있는 걸 알 수 있다. 이 머신을 이용해 토이스토리의 CG 렌더링을 처리한 것이다.
베네딕트 에반스는 2년 전 스마트폰이 토이스토리에 쓰인 렌더팜보다 높은 계산 능력을 갖고 있었다고 트윗을 남기고 있다. 토이스토리 렌더링에 쓰인 렌더팜은 썬마이크로시스템즈의 스팍스테이션(SPARCstation) 20이라고 한다.
픽사는 렌더맨(RenderMan)이라고 불리는 CG 렌더링 도구를 개발한 곳이기도 하다. 렌더맨은 영화 쥐라기공원에 등장하는 공룡 CG 렌더링이나 터미네이터2에도 사용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픽사는 렌더맨을 이용해 토이스토리 CG를 렌더링하기 위해 CPU 클록 100MHz짜리 스팍스테이션 20 워크스테이션을 이용해 듀얼프로세서 87개, 쿼드프로세서 30개를 모아 렌더팜을 구축했다고 한다. 이는 1975년 탄생한 슈퍼컴퓨터 크레이-1보다 300배에 이르는 계산 능력에 해당했다. 이 렌더팜은 토이스토리 CG 를 분당 11만 프레임 렌더링할 필요가 있었는데 모두 렌더링하려면 무려 46일에 이르는 연속 처리 시간이 필요했다고 한다.
<저작권자(c) 테크홀릭(http://www.techholic.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