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인텔의 프로세서 전쟁은 최근 2차전을 치루고 있으며 조만간 AMD 라파엘 프로세서의 3D 모델이 하이엔드 급으로 출시가 되면서 허리에서의 전쟁에서 최전방 공격수의 싸움으로 옮겨 붙을 듯 하다. 하지만 2개의 프로세서 업체들이 판매하는 신제품, 특히나 경쟁사의 라인보다 없거나 혹은 성능이 높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사실상 저렴한 가격 특히나 가성비를 극대화된 프로세서가 출시될 확율은 낮다.

▲ 간략 스펙 : AMD(소켓AM5) / AMD B650 / M-ATX (24.4x24.4cm) / 전원부: 12+2+1페이즈 / Vcore 출력: 최대 600A(50A) / 메모리 DDR5 - 6200MHz (PC5-49600) / 4개 / 메모리 용량: 최대 128GB / XMP / EXPO / 확장슬롯 VGA 연결: PCIe4.0 x16 / PCIe버전: PCIe4.0, PCIe3.0 / PCIex16: 1개 / PCIex16(at x4): 1개 / PCIex1: 2개 / CrossFire / 저장장치 SATA3: 4개 / M.2: 2개 / NVMe / PCIe4.0 / PCIe5.0 / 후면단자 HDMI / DP / USB 3.1 / USB 3.0 / USB 2.0 / RJ-45 / 오디오잭 / 랜/오디오 Realtek Dragon RTL8125BG / 최대 2.5기가비트 / RJ-45: 1개 / Realtek ALC897 / 7.1채널(8ch) / 내부I/O RGB 헤더(4핀): 1개 / ARGB 헤더(3핀): 3개 / 시스템팬 헤더(4핀): 3개 / 썬더볼트4 헤더: 1개 / USB2.0 헤더: 2개 / USB3.0 헤더: 2개 / USB3.0 Type C 헤더: 1개 / 특징 UEFI / Dr.MOS / LED 라이트 / LED 헤더 / M.2 히트싱크 / 전원부 방열판 / TPM헤더


▲ 에즈락 B650M PG 립타이트 메인보드는 가장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마이크로 ATX 규격의 메인보드이며 최근 하드웨어 특히나 주변기기들을 위한 넉넉하게 지원한다.

▲ AMD 650E 650 칩셋 스펙 비교표


이 메인보드의 메모리 뱅크는 총 4개로 듀얼 채널 구성시 최대 128GB 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DDR5-4800 부터 사용이 가능하나 DDR5-4800 메모리의 경우 삼성, 하이닉스 모듈이 대부분 DDR5-5200 까지는 무난하게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DDR5-5200 으로 설정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XMP 3.0, EXPO 를 통해 최대 DDR5-6200 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메인보드의 소켓은 AM5 이며 LGA 타입으로 달라졌다. 기존에 라이젠 5000 시리즈가 핀을 사용한 PGA 방식에서 접점 방식인 BGA 로 달라졌다고 보면 되는데 프로세서 입장에서는 핀이 없어졌기 때문에 물리적인 불량 확율이 완전히 없어졌지만 아쉽게도 메인보드의 소켓 핀이 불량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하지만 이 형식을 취하게 되면 흔히 "무뽑"은 완전히 없어졌으며 프로세서의 쿨러도 AM4 와 동일하기 때문에 기존의 쿨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가 TDP 를 버틸 수 있는 쿨러라면



프로세서에 안정적인 전원을 고급해 주는 전원부는 총 15페이즈 구조로 12 + 2 + 1 페이즈 구조이다. 당연히 모두 DR.MOS, 블랙 캐피시터, 초크 등이 사용되어 에즈락의 전통적인 고급형 메인보드에 사용되는 것이 그대로 사용되었으며 프로세서에 전력을 공급해 주는 DR.MOS 쪽만 방열판이 적용되어 있다. 이 메인보드의 사용 설명서를 참조해 보면 프로세서에는 Vcore 출력은 최대 600A(50A) 까지 가능하다.


늘어난 VRM 전원부의 구성은 파워에서 직접적으로 12V 전압을 더 필요로 하는데 그래서 이 메인보드는 24핀 표준 커넥터 외에 8핀 + 4핀 12V 커넥터로 VRM 전원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번 AMD 칩셋들은 모두 간단한 네이티브 히트 싱크 만으로 충분하게 발열을 식힐 수 있는 구조이다. 에즈락 B650M PG 립타이트는 이 칩셋 주변으로 ARGB LED 를 적용해 컴퓨터가 작동될 때 빛나게 만들어 두었다.

메인보드에는 총 4개의 슬롯이 있는데 그래픽카드를 장착하는 슬롯을 포함하여 모두 PCIe 4.0 규격을 따르고 있다.

하드디스크 및 2.5 인치 SSD를 장착하기 위해 SATA3 포트는 총 4개로 최근에 출시되는 인텔, AMD 메인보드가 지원하는 4개와 동일하다. 예전 메인보드들이 SATA3 포트가 6개 였지만 메인보드에 M.2 슬롯 숫자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SATA3 포트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


프로세서의 PCIE 레인에 연결되는 첫번째 M.2 2280 슬롯은 Gen4 x4 까지 지원하며 알루미늄 소재의 방열판이 기본적으로 제공된다. 새롭게 디자인된 방열판은 적층 방식으로 동일한 공간에 방열 면적을 키웠다.


RGB LED를 지원하는 핀 헤더는 총 4개를 제공하며 5V ARGB 3개와 12V RGB 1개를 지원한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인 흰색은 4핀 12V RGB 헤더 이며 회색은 5V ARGB 헤더다.

에즈락 B650M PG 립타이드 메인보드에는 컴퓨터의 부팅시 프로세서, 부팅 스토리지, 그래픽카드, 메모리를 인디케이터 LED가 장착되어 있는데 컴퓨터 사용시 주변기기의 이상 유무를 1차적으로 판별해주기 때문에 상당히 편리하다.


이 메인보드에 사운드코덱 및 랜 컨트롤러는 모두 리얼텍 사의 제품이 사용되었다. 사운드 코덱은 71. 채널을 지원하는 ALC897 이며 유선 랜 컨트롤러의 경우는 RTL8125BG 로 최대 2.5Gbps 속도를 낸다.


메인보드의 IO 쉴드 구성은 단순한 편인데 프로세서 내부의 베가 그래픽코어를 위한 디스플레이, HDMI 포트 하나씩 가지고 있으며 4개의 USB 2.0 포트 2개의 USB 3.2 Gen2 포트를 가지고 있는데 이 2개의 USB 포트는 에즈락의 키보드, 마우스 입풋 랙을 줄여주는 라이트닝 게이밍 포트 이다. 그래서 가능하면 마우스, 키보드는 해당 포트에 연결을 해주면 된다. 그리고 메인보드의 바이오스를 24핀 커넥터 하나만 장착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바이오스 플래시 백 버튼이 있으며 이 때 USB 2.0 포트 중에서 가장 하단에 있는 (사진상으로 봤을 때 회색 테두리로 표시된) 포트에 USB 메모리를 꼽고 진행해 주면 된다.


▲ AMD 라이젠7 7700 프로세서와 하이닉스 DDR5-4800 메모리를 장착했을 때 모습


▲ 바이오스 옵션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는 하이닉스 DDR5-4800 메모리의 SPD 값을 살펴볼 수 있다.

▲ 이 메인보드에서 하이닉스 DDR5-4800 메모리를 어렵기 않게 DDR5-5200 으로 설정,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이 메인보드에 라이젠 7000 시리즈 프로세서를 장착할 때 모서리 부분은 "▲" 를 맞추어서 장착하고 렛지 (손잡이)를 내려주면 단단하게 고정된다.

최신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