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포드가 한국 시장 철수를 전제로 한 사업권 이전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4월부터 불거진 철수설에 대해 포드코리아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포드코리아와 국내 최대 딜러사인 선인자동차 간 기업 결합건을 심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포드코리아 딜러사 소속의 한 임원 제보에 따르면 포드코리아와 선인자동차가 오는 12월 31일부로 국내 사업 독점권을 모두 양도, 양수하는 계약서를 작성했으며 공정위에 기업 결합을 위한 심사를 상정하고 요청했다. 공정위는 회사의 합병뿐만 아니라 영업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 양수 등의 행위에 대한 심의를 거쳐 최종 승인하게 된다.
현재 포드코리아는 미국 본사의 직영 법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선인자동차·프리미어 모터스·더파크 모터스·이한 모터스 등 4개 딜러를 통해 전국 26개 전시장을 거느리고 있다. 그러나 선인자동차가 포드코리아의 사업권을 넘겨받을 경우 사실상 단독 총판 체제로 전환되면서 시장 독점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된다.
포드코리아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일부 직원들이 이미 퇴직 절차를 밟는 등 철수설이 현실화하는 정황도 나타나고 있다. 문제는 포드 판매의 60~70%를 차지하는 선인자동차가 수입·판매 권한을 모두 가져가면 소비자 선택권 제한, 가격 인상, 서비스 공백 등 부작용이 불가피해 진다는 점이다.
또한 프리미어 모터스가 운영 중인 10여 개 서비스센터가 문을 닫게 될 경우 포드·링컨 차량 보유자들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더파크 모터스와 이한 모터스까지 계약 만료 후 이탈하면 전국적인 서비스 마비도 우려된다.
일부 딜러들은 “독점 체제 전환 시 차량 가격이 20% 이상 오를 것”이라며 마케팅을 벌이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20% 이상 가격이 오르면 가성비로 인식되던 포드·링컨 모델 경쟁력이 사라질 것”이라며 “판매 부진이 다시 서비스·부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포드코리아가 사업권을 선인자동차에 넘기려는 배경에는 직접 철수에 따른 이미지 타격을 피하고, 기존 딜러사와의 분쟁을 최소화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이는 ‘꼼수 철수’라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현재 포드는 리콜 여파로 머스탱과 링컨 에비에이터의 판매를 중단한 상태다. 포드코리아는 딜러사에 100% 도매 판매 방식(홀세일)을 적용하고 있어 판매 중단에 따른 재고 부담은 모두 딜러에게 전가되고 있다.
한편 현재 공정위 기업결합 심사 과정에서는 타 딜러사들의 이슈 제기와 과거 리콜 사태에 따른 손실 보상 문제가 쟁점이 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도 글로벌 브랜드의 무책임한 철수로 소비자 피해가 발생했던 만큼, 이번에는 공정위의 투명한 심사와 포드코리아의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