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스 하이퍼 OS (로터스 제공)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자동차 회사들의 기술 경쟁이 ‘출력’에서 ‘경험’으로 이동하고 있다. 성능 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차량 내 인터페이스와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 집중하고 있는 것. 스크린과 소프트웨어가 새로운 엔진이 된 지금, 럭셔리 브랜드들은 ‘디지털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드라이빙 철학을 재해석한다. 포르쉐의 정교함, 테슬라의 직관, BMW의 정제된 조작감, 그리고 로터스의 혁신적 하이퍼 OS 등 이제 퍼포먼스의 무게추는 출력이 아닌 UX로 옮겨가고 있다.
로터스 하이퍼 OS
로터스가 새롭게 선보인 하이퍼는 단순한 자동차용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브랜드 철학을 재해석한 ‘디지털 퍼포먼스’의 선언이다. 하이퍼 OS는 로터스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디지털 운영체제로 운전자의 감각과 차량의 데이터를 하나의 인터페이스 안에 녹여낸 것이 특징이다.
두 개의 퀄컴 스냅드래곤 8155 칩이 실시간 3D 렌더링을 구현한다. 3회 터치로 전체 기능의 95%에 접근할 수 있고, 물리적 버튼 대신 직관적 시각 디자인과 동적 애니메이션으로 감각적인 몰입감을 준다. OTA(Over the Air)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이 지속적으로 진화한다.
로터스의 이런 행보는 UX 경험이 브랜드의 핵심 가치로 부상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브랜드가 추구하는 순수한 직관성과 반응 속도를 디지털 시대의 드라이빙 본능으로 구현했다. 실제로 하이퍼 OS는 단순한 계기판과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아니라, 차량의 성능·주행 모드·운전 보조 기능·엔터테인먼트까지 통합하는 하나의 디지털 코어다.
하이퍼 OS의 등장은 럭셔리 고성능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 구도를 제시한다. 얼마나 빠른가보다 얼마나 스마트하게 반응하는가가 브랜드의 힘을 가르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로터스는 하드웨어 중심의 스포츠카 DNA를 유지한 채 이를 소프트웨어 기반 퍼포먼스로 재해석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BMW OS 9 (로터스 제공)
BMW OS 9
BMW는 2001년 최초의 iDrive 시스템을 통해 자동차 인포테인먼트의 통합 제어 개념을 제시했다. 그로부터 20여 년이 지난 현재, iDrive 9까지 발전했다.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시대에 맞춰 완전히 재구성된 형태로 등장했다. iDrive 9은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AAOS)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기존 iDrive 8 대비 핵심적인 변화는 시스템 반응 속도 향상, 그래픽 전환의 단순화, 그리고 메뉴 구조의 수평화를 꼽을 수 있다.
운전자는 회전식 컨트롤러, 터치, 음성 입력 중 원하는 방식으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시스템의 시각 디자인은 최소화된 아이콘, 단색 톤의 배경, 단순화된 그래픽 레이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픽 요소는 주로 실시간 렌더링 기반으로 움직이며, 차량 상태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업데이트된다.
기능적으로는 개인화와 원격 업데이트(OTA)가 시스템의 핵심으로 통합됐다. 운전자는 BMW ID를 기반으로 프로필을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좌석 위치, 조명 설정, 내비게이션 목적지 기록, 음악 스트리밍 계정 정보 등이 차량 간 자동 동기화된다. 이전 세대 대비 외부 앱 호환성 측면에서도 확장성이 강화됐다.
테슬라 모델 S 오토파일럿 & UI (로터스 제공)
테슬라 오토파일럿 & UI
테슬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주행 보조 시스템(Autopilot)으로 나눠 모두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먼저, UI 설계는 단순화와 반응 속도를 우선한다. 주요 메뉴는 화면 좌측에 고정된 세로형 구조로 배치되고 주행 중 필요한 기본 정보는 상단 영역에 고정된다. 그래픽 요소보다는 정보 가독성을 중시한다.
이와 함께 오토파일럿 모드 활성화 시 UI는 파란색 톤으로 전환되며 시스템 제어 상태를 명확히 구분한다. 차선 유지, 차간 거리 조절, 자동 차선 변경 등 기능의 상태는 아이콘과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시각 피드백 체계는 운전자가 시스템의 판단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게 하며, 필요시 즉각적인 수동 개입을 가능하게 한다.
테슬라 UI는 단순성과 일관성이 특징이다. 모든 차량 모델이 동일한 UI 구조를 공유하므로 모델 간 사용 경험의 차이가 거의 없다. 이로 인해 유지보수·교육 비용이 줄고 OTA 업데이트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테슬라 접근 방식은 사용자 경험을 하드웨어 사양의 부속 요소가 아닌 독립적인 제품 가치로 전환했다.
포르쉐 커뮤니케이션 매니지먼트 (PCM) (로터스 제공)
포르쉐 PCM
포르쉐의 최신 UX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대표적으로 Porsche Communication Management(PCM)가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기능별 역할을 분리하고 운전 중 핵심 정보는 계기판 중심, 보조 기능은 중앙 또는 조수석 디스플레이로 분산한다. UI 반응 속도 및 시스템 처리 성능은 엔비디아 기반 GPU와 퀄컴 SA 8155P 프로세서를 병렬로 운용해 개선됐다. 데이터 처리의 분산 구조를 통해, 주행 관련 시스템과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지연 간섭을 최소화했다.
시각적 디자인은 플랫 UI 구조를 따르며 단색 기반의 인터페이스와 간소화된 그래픽 요소로 구성된다. 그래픽 해상도나 애니메이션보다 데이터 정확도와 반응 속도를 우선하며 각 인터페이스의 목적에 따라 렌더링 우선순위를 다르게 설정한다.
포르쉐는 디지털 경험을 감성적·오락적 요소보다 정밀한 제어감과 직관적 접근성으로 정의한다. 이를 위해 주요 정보는 최소한의 텍스트와 숫자로 표현되며 시각적 피드백은 컬러 대비 중심으로 단순화되어 있다. 주행 모드 변경, 회생제동 단계, 차량 안정화 제어 등과 같은 피드백은 화면 애니메이션 대신 컬러 전환과 간결한 사운드 신호로 전달된다.
메르세데스 벤츠 MBUX (로터스 제공)
메르세데스 벤츠 MBUX
메르세데스 벤츠의 MBUX는 단순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아닌 차 내 데이터 처리·음성 인식·UX 통합 프레임워크를 포함한 운전자와 차량 인터페이스 아키텍처로 정의된다. 크게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연동 구조의 세 계층으로 나뉜다. 소프트웨어는 다임러가 자체 개발한 MBUX OS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OTA 방식으로 주기적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클라우드 계층에서는 차 데이터와 사용자 프로필이 '메르세데스-미'라는 플랫폼을 통해 관리된다.
대표적 특징은 다중 디스플레이 구조다. 운전석·센터·조수석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곡면 OLED 패널로 통합한 형태다. 세 개의 화면은 독립적으로 동작하지만, 중앙 프로세서를 공유하여 그래픽·입력 데이터를 통합 처리한다. 각 영역은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으며 운전석은 주행 관련 정보, 중앙은 차량 제어 및 내비게이션, 조수석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처럼 완성차 제조사들은 이제 동력 효율보다 인터페이스의 효율을 경쟁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UI와 UX는 단순한 보조 장치가 아니라 차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 전환되고 있다. 브랜드별 접근 방식은 상이하지만, 공통된 방향성은 명확하다.
소프트웨어의 비중을 늘리고 운전자가 차량 일부가 되는 인터페이스 설계,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한 UX의 생애주기 확장이다. 이처럼 시스템 응답 속도, 정보 구조의 명료성, 시각 피드백의 정밀도, 그리고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최소화하는 설계가 새로운 ‘퍼포먼스’의 척도가 되고 있다.
정호인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