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로셸러 폴스타 CEO. 그는 한국이 폴스타에 가장 적합한 시장이며 브랜드 고도화의 핵심 무대라고 했다.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 공동취재)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폴스타가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을 북미 시장 대응을 위한 전략 생산 거점으로 명확히 규정하면서 국내 시장에서 브랜드 위상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마이클 로셸러(Michael Lohscheller) 폴스타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0일 서울 한남동 폴스타 스페이스에서 진행된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 대표 기자와 가진 인터뷰에서 “부산은 지금도, 앞으로도 폴스타에 매우 중요한 생산 기지”라며 “이는 관세를 회피하기 위한 선택이 아니라 품질·경험·효율성을 포함한 종합적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폴스타 차량 생산은 현재 중국 저장성 저우저우와 청두 공장이 주력이다. 그러나 부산에서 생산되는 폴스타4는 미중 관세 전쟁 영향과 무관하게 2022년 이미 결정된 건으로 향후 북미 수출 물량의 핵심 기지가 된다. 로셸러 CEO는 “관세가 하나의 이유가 될 수는 있지만 결정적 요인은 아니며 부산 공장의 품질과 생산 경험을 가장 우선했다”고 밝혔다.
그는 “2주 전 캐나다를 방문했을 때 부산에서 생산된 첫 폴스타4가 북미에 도착하는 순간을 직접 확인했다”며 “부산은 아시아와 북미를 연결하는 지리적·전략적 허브”라고 설명했다.
로셸러 CEO는 폴스타의 핵심 철학을 디자인, 고성능, 지속가능성 세 가지 요소로 정의했다. 그는 “모빌리티의 미래는 배출 없는 차량이라고 믿는다”며 “특히 환경을 고려하면서도 펀 드라이빙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에게 강한 호소력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 시장에 대해 “디자인·고성능·친환경성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장 중 하나”라며 “그래서 폴스타에 가장 적합한 시장이며 브랜드 고도화의 핵심 무대”라고 평가했다.
올해 폴스타는 한국 수입차 시장에서 전년 대비 484% 성장, 26개 수입 브랜드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성장의 핵심은 폴스타4였다. 로셸러 CEO는 “폴스타4가 디자인, 성능, 지속가능성 등 한국 시장에 적합한 요소를 갖췄다”며 “서울 스페이스 등 리테일 성과도 시너지를 냈다”고 설명했다.
내년에는 대형 SUV 폴스타3와 퍼포먼스 GT 폴스타5가 국내 출시된다. 로셸러 CEO는 “폴스타4가 성장 기반을 만들었다면 폴스타3와 5는 브랜드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완성할 모델"이라고 밝혔다. 특히 폴스타5에 대해 “제로백 3.2초, 고성능 GT면서도 4명이 탈 수 있는 실용성을 갖춘 차량”이라며 “재활용 소재 등 혁신 요소를 담은 모델로 한국 시장 반응에 매우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신생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우려와 관련해 로셸러 CEO는 “볼보 서비스 네트워크(국내 39개 거점)를 그대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이 고객에게 큰 신뢰감을 준다”며 “제품은 차별화하지만 서비스 안정성은 공유하는 전략이 강력한 경쟁력”이라고 밝혔다.
한국 배터리 탑재 확대 및 기술 협력과 관련해서는 “현지 조달은 일반적으로 좋은 전략이며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뛰기 전에 걸어라’는 말처럼 먼저 북미 시장 성공을 확인한 뒤 고려해야 할 문제”라며 성급한 투자 확대보다는 철저한 시장 검증을 우선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폴스타는 부산공장을 전기차 북미 수출의 핵심 거점으로 활용하며 글로벌 전략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관세 우회 목적이 아닌 품질과 생산 효율성을 기반으로 한 결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폴스타4의 성공에 이어 내년 고가 라인업 투입으로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서의 확실한 자리매김을 노리고 있다.
로셸러 CEO는 “한국은 폴스타에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내년 3개 모델 전개를 전환점으로 삼아 브랜드 영향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