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이하 인천공항)이 개항한 뒤로는 관심에서 다소 멀어졌지만 김포국제공항(이하 김포공항) 역시 엄연히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하늘관문이다. 그런데 요즘은 인천공항으로 워낙 많이들 가기 때문에 김포공항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다. 그래서 김포공항에 대한 정보들을 준비했다. 김포공항을 이용하게 되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알차게 활용해보자!
비행 전까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
동북아 지역의 대표적인 허브(환승)공항이자, 우리나라로 들고 나가는 국제선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인천공항의 경우에는 야간 비행을 이용하는 승객, 환승 시간이 긴 승객을 위해 휴게시설을 많이 구비해뒀다. 일반 승객들이 대기할 수 있는 대합실, 릴렉스존의 수준도 상당하다. 하지만, 아쉽게도 김포공항은 그정도의 시설은 갖춰져 있지 않다. 전반적으로 비행 전까지 한두시간 대기하는 정도에 적합한 수준이다. 다만, 그 안에서도 나름대로 조용하고 편리한 핫스팟이 있으므로 참고하자.
▶ 국제선 청사 4층 대합실
▲4층 대합실은 식당가 맞은편이다. 유아휴게실과 이화의료원(병원)도 대합실 옆에 있다
위치 |
김포국제공항 국제선청사 4층 |
이용시간 |
운영시간 내 (06:00~23:00) *김포국제공항은 24시 운영하지 않음 |
이용요금 |
무료 |
연락처 |
- |
Tip |
충전기 인근에 자리잡으면 좋다 |
한때 영화관이 운영되기도 했던 김포공항 국제선 청사 4층은, 영화관이 빠진 뒤 사람들이 식당 이용을 제외하면 잘 찾지 않는 공간이 되었다. 덕분에 4층 대합실은 언제 가도 사람이 별로 없어 개인별 공간이 넉넉한 편이다. 각종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콘센트도 여럿 마련되어 있으므로 휴대폰이나 노트북을 충전하면서 쉬고 싶을 때는 4층 대합실을 선택해보자. 단 대합실 의자가 작고 불편하기 때문에 2시간 이상 쉬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 롯데몰 김포공항점
위치 |
지하철 김포국제공항역과 바로 연결, 김포공항 국제선 청사와 국내선 청사 사이 |
이용시간 |
10:30~22:00 |
이용요금 |
입장료 무료, 주차비 별도 |
연락처 |
02-6116-4000 |
만약 지방에서 김포공항으로 달려왔는데 비행기 시간이 아직 한참 남았다면, 공항에서 하염 없이 기다리는 것보다 공항 바로 맞은편의 롯데몰 김포공항점이 나을 것이다. 백화점, 영화관, 마트, 서점까지 구비된 복합 쇼핑센터다. 시간이 아주 넉넉하다면 영화관을, 그렇지 않다면 백화점이나 서점에서 천천히 휴식을 취하다가 길 건너편 공항으로 이동하면 된다. 이곳에서 놀다 보면 시간가는 줄 몰라 나중에 부랴부랴 정신 없이 뛰어다니는 수가 있으니, 출국수속이나 이동 시간을 잘 계산해서 최소 한 시간 이상의 여유를 두고 나오는 것을 추천한다.
전망대, 문화공간
▶ 김포공항 전망대
<출처: 한국공항공사 공식 블로그>
위치 |
한국공항공사 청사 6층 (5호선 김포공항역 1번출구에서 도보 5분가량) |
이용시간 |
10:00~17:00 *매주 월요일 및 설날/추석연휴 휴관 |
이용요금 |
무료 (주차 무료) |
연락처 |
02-2660-4146 |
현재의 김포공항 전망대는 한국공항공사가 1995년에 세운 것을 2007년 12월경 리모델링 한 것이다.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옆 한국공항공사 청사 6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비행기가 이착륙하는 모습과 활주로가 훤히 내려다보이는 전망대로 자녀를 동반한 가족단위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입장과 주차가 무료이므로 김포공항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한번쯤 방문해볼 것을 추천한다.
▶ 평창동계올림픽 홍보존
<출처: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치 |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 3층 출국장 앞 휴게공간 |
이용시간 |
공항 운영시간 내 (06:00~23:00) *김포국제공항은 24시 운영하지 않음 |
이용요금 |
무료 |
평창올림픽 홍보와 붐 조성을 위해 80㎡ 규모로 조성된 홍보존. 이곳에는 대회 공식 마스코트 수호랑과 반다비 조형물과 대회 정보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아이스하키, 봅슬레이, 스노보드 등 동계 올림픽 종목 피규어 조형물을 설치해 의외로 볼거리가 다양하다. 자녀들과 함께라면 비행기 탑승 전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다.
서비스, 편의시설
▶ 유아 휴게실, 임산부 휴게실
위치 |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 4층 동편(대합실 방면), 국내선 청사 1층 동편, 3층 격리대합실 |
이용시간 |
운영시간 내 (06:00~23:00) |
이용요금 |
무료 |
Tip |
공항 안내데스크에서 유모차를 렌탈하면 비행기 탑승 전까지 이용할 수 있다. |
갓난아이를 동반한 부부, 또는 임산부가 차디찬 공항 바닥에서 대기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 김포공항에는 유아, 임산부 휴게실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기저귀 갈이대, 유아침대, 세면대, 쇼파, 정수기 등이 준비되어 있으니 필요시 주저 말고 이용하자. 단, 전자레인지가 없어서 분유/모유를 얼려왔을 경우 곤란할 수 있으니, 이럴 때는 유아휴게실 이용 전에 미리 공항 내에 있는 편의점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오자.
▶ 병원
위치 |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 일반대합실 4층 동편(대합실 방면) |
이용시간 |
07:00~20:30 |
이용요금 |
의료서비스에 따라 별도 청구 |
연락처 |
02-2665-7102 |
여행 전 의료진의 진료, 몸상태 점검이 필요한 경우, 또는 심신에 이상을 느껴 병원을 찾아야 할 수 있다. 김포국제공항에는 지난 2014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이 개원해 운영되고 있으며, 이대목동병원에서 파견된 전문 의료 인력이 상주해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로 비상약 혹은 상비약은 국제선 청사 3층에 위치한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
▶ 수하물보관소
위치 |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청사 1층 우편취급소 뒤편, 국제선 청사 1층 2번 게이트 뒤편 |
이용시간 |
06:30~21:00 |
이용요금 |
20kg 무게 택배 기준 15,000원. (크기/무게에 따라 상이함) 포장방법에 따라 포장요금 추가 |
연락처 |
02-2661-1201 |
무거운 캐리어를 집까지 끙끙대며 가지고 가기 싫다면? 국제선, 국내선 청사 1층에 위치한 수하물보관소를 이용하자. 택배를 이용해 집까지 편안히 보낼 수 있다. 그외 국내외 여행에 자전거를 함께 가져가는 경우 자전거를 비행기에 실을 수 있도록 포장도 해주며(요금 별도), 여행지에 가져가지 않아도 되는 물건들을 보관도 할 수 있다(보관료 별도).
▶ 무료 충전거치대
김포공항에는 위에서 소개된 4층 대합실 외에도 곳곳에 무료 충전거치대가 있다. 전자기기 충전을 위한 콘센트가 설치된 테이블 충전대에서 노트북이나 기타 스마트기기 등을 비행기 탑승 전 미리 빵빵하게 충전하자. 비행기에서도 USB 케이블을 이용해 충전할 수 있지만 한번에 하나의 기기만 가능하고, 충전되는 전류의 세기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사양 노트북 등은 기내에서 충전이 안 된다. 때문에 이런 제품을 충전하려면 공항에서 미리 하는 것이 좋다.
김포국제공항의 라운지 소개
▲물론 이정도로 럭셔리하진 않다
김포공항에도 라운지가 있다. 현재 일반 승객들이 이용 가능한 라운지는 국내선 2곳, 국제선 3곳으로 총 5곳의 라운지가 운영 중이다. 김포공항 라운지의 특징은 모두 출국장(면세구역 입장 전)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 때문에 출국 수속을 다 마친 뒤에는 라운지를 이용할 수 없다. 이용객이 많은 성수기에는 라운지에서 쉬다가 수속 시간이 빠듯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김포공항처럼 외부에 라운지가 위치할 경우에는 시간 배분을 잘 해야 한다. 또 인천공항에 비하면 라운지의 규모나 시설이 다소 부족하므로 이 점을 유념하자.
번호 |
라운지 |
위치 |
PP카드 입장허용 |
1 |
대한항공 국제선 |
국제선 청사 3층 보안검색장 입장 전 |
X |
2 |
대한항공 국내선 |
국내선 청사 3층 보안검색장 입장 전 |
O |
3 |
아시아나 국제선 |
국제선 청사 3층 출국장 우측 세븐일레븐 편의점 옆 |
X |
4 |
이사아나 국내선 |
국내선 청사 3층 동편 출발장 입구 옆 |
O |
5 |
휴 라운지 (국제선) |
국제선 청사 2층 |
O |
*이용에 제약이 있는 CIP(기업인 전용) 라운지, VIP 라운지는 제외함
*리뉴얼 및 라운지의 개별 정책 변경에 따라 PP카드 입장 허용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
기획, 편집 / 다나와 송기윤 (iamsong@danawa.com)
글, 사진 / 테크니컬라이터 이현정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