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 TV, 세탁기 등 상당히 많은 가전제품의 모델명은 외우기 힘든 알파벳과 숫자의 나열로 이뤄져 있다. ‘XX전자 양문형 100L 냉장고’라는 심플한 이름이면 좋을 텐데, 그 뒤에 주렁주렁 숫자와 알파벳들이 이어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냉장고의 경우, 워낙 세부 기능이나 옵션이 많기 때문에 디자인은 동일해도 해도 수십까지의 파생 모델들이 존재한다. TV, 세탁기, 건조기 등 대형가전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모델명은 그 차이를 구분 짓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처음 보는 사람들은 이러한 모델명이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지지만, 이러한 모델명엔 그 나름의 규칙과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의미를 알고 나면 모델명만 보고도 이 제품이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캐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판매 페이지를 읽지 않아도 어느 정도 필요 없는 제품을 거를 수 있고, 원하는 옵션에 맞춰 모델명을 직접 검색하는 등 모델명의 의미를 알고 나면 제품을 쇼핑할 때 훨씬 편해질 것이다.
그럼 지금부터 냉장고 대표 브랜드인 '삼성전자', 'LG전자' 냉장고 모델명의 비밀을 살펴보자. 가성비 냉장고로 많이 찾는 '캐리어' 냉장고도 함께 소개한다.
1. 삼성전자 냉장고 모델명의 비밀
2022년형 삼성전자 냉장고 중에서 대표적인 제품은 삼성전자 비스포크 RF85B98B1AP(3,978,010원)이다. 비스포크 냉장고는 다양한 컬러 조합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며, 맞춤형 가전 시대를 열었다.
모델명을 보면 언뜻 보면 숫자와 영어가 반복되는 의미 없는 암호 같지만, 이와 같은 모델명에는 크게 7개의 사양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형태(RF), 용량(85), 출시연도(B), 타입/부가기능(98B), 에너지등급(1), 그리고 색상(AP)이다.
형태
RF-85-B-98-B-1-AP
RF 4도어
RS or RH 양문형
RB 일반형 (▲냉장 ▼ 냉동)
RT 일반형 (▲냉동 ▼ 냉장)
모델명의 첫 두 글자의 알파벳은 냉장고의 형태를 담은 정보 값이다. 본 제품에는 RF라는 알파벳이 붙었는데, 이는 4도어 제품임을 뜻한다. 4도어 제품은 ‘RF’, 양문형 제품에는 ‘RS’ 혹은 ‘RH’, 상단에 냉장고가 있고 하단에 냉동고가 있는 일반형 제품은 ‘RB’, 상단에 냉동실이 있고 하단에 냉장실이 있는 제품에는 ‘RT’가 붙는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알파벳을 삼성전자 냉장고 제품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주로 소비자가 보게 되는 것은 RF, RS, RB, 그리고 RT다.
용량
RF-85-B-98-B-1-AP
두 자리 숫자 X 10 = 냉장고의 대략적인 용량
두 번째로 확인할 수 있는 두 자리의 숫자는 10L 단위의 용량을 뜻한다. RF85B98B1AP의 용량을 나타내는 숫자는 85로, 단순 계산 시에는 850L로 환산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제품의 스펙상 용량은 823L(냉장실 485L, 냉동실 338L)다. 두 자릿수로 표현하기 힘든 900L 이상 용량의 제품은 숫자 10을 사용한다. 총 용량 930L의 냉장고 제품인 RF10B9935W5K(5,962,460원)가 대표적인 사례다.
출시연도
RF-85-B-98-B-1-AP
B 2022년 - A 2021년 - T 2020년 - R 2019년
- N 2018년 - M 2017년 - K 2016년
세 번째로 찾아볼 수 있는 알파벳 B는 제품의 출시연도를 뜻한다. 이 제품의 출시연도 정보인 B는 2022년을 뜻한다. 연도를 나타내는 알파벳은 B(2022년), A(2021년), T(2020년), R(2019년), N(2018년), M(2017년), K(2016년) 등이다. 다만 반드시 이 알파벳이 출시연도에 딱 들어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동일한 제품이 디자인만 바뀌어 유통되는 경우가 여기에 속한다.
도어타입
RF-85-B-98-B-1-AP
1 일반 2 푸드 쇼케이스 - 가드고정
3 듀얼 쇼케이스 - 가드고정 4 일반 (Wi-fi 없음)
5 패밀리허브 6 푸드 쇼케이스 (슬라이딩)
7 패밀리허브, 푸드 쇼케이스 8 듀얼 쇼케이스 (슬라이딩)
네 번째의 가장 앞 숫자인 9는 모델의 때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보통은 내부적인 구분을 위해 제품의 등급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가장 잦다. 일반적으로 숫자가 더 클수록 높은 등급의 모델이다.
그 뒤에 있는 숫자는 도어타입을 뜻한다. 예컨대 RF85B98B1AP의 경우, 앞의 9는 프리스탠딩 제품임을 뜻하며, 뒤의 8은 듀얼 쇼케이스 도어타입이라는 걸 의미한다.
부가기능
RF-85-B-98-B-1-AP
그 뒤의 숫자 혹은 숫자+알파펫은 부가기능을 뜻한다. 해당 조합에 따라 정수기, 메탈 쿨링 적용 부위, 쇼케이스, 아이스메이커, 살균 탈취 기능 유무 등 세부적인 기능에 차이가 생긴다. 한자리 숫자로 표기할 수 있는 경우를 넘어서서 여러 알파벳으로 표기되는 제품도 찾아볼 수 있다.
다만 이는 ‘반드시’라고는 볼 수 없다. 출시연도에 따라 회사가 집중하는 세일즈 포인트나 유통사에 따라 이 숫자는 달라질 수 있다.
에너지등급
RF-85-B-98-B-1-AP
1 에너지 효율등급 1등급
2 에너지효율 등급 2등급
부가기능 뒤에 위치한 숫자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을 표기한 것이다. 보통은 1(1등급)에서 3(3등급) 사이의 숫자로 표기되지만, 이 또한 표기가 생략되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2021년 출시된 RH62A504EB4는 에너지소비효율 2등급의 제품이지만, 제품명에서는 2라는 숫자를 찾아볼 수 없다. 또한, 에너지 효율등급 개정 등의 사유로 모델명 숫자와 에너지효율 등급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색상
RF-85-B-98-B-1-AP
AP 색상 선택 가능 01 코타화이트 (메탈)
05 코타차콜 (메탈) 31 새틴그레이 (글라스)
32 글램핑크 (글라스)
등등
백색가전이라는 명칭이 무색하게 최근의 가전제품은 다양한 색으로 치장하고 있고 또 이게 제품의 세일즈 포인트가 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냉장고 또한 다양한 색상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가장 뒤에 붙은 두 글자 혹은 세 글자의 알파벳 혹은 숫자는 제품의 기본 색상을 의미한다. 본 제품처럼 AP라고 표기되는 경우에는 정해진 색이 있는 게 아니라, 색상 선택을 할 수 있는 모델을 뜻한다.
삼성전자 비스포크 RF85B98B1AP는 어떤 제품?
올해 2월 출시된 4도어 정수기형 냉장고이다. 총 용량은 823L이며, 푸드 쇼케이스가 상칸 양쪽 문에 각각 있어 자주 꺼내는 음료나 양념을 수납하기 편하다. 냉장고 문에 베버리지 센터라는 내장형 정수기를 내장했고, 얼음의 종류와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 기능을 지원한다. (3,978,010원)
2. LG전자 냉장고 모델명의 비밀
LG 오브제컬렉션은 공간 인테리어를 표방하는 가전 라인업으로, 해당 라인업에 속하는 냉장고는 일반 LG 디오스 냉장고보다 가격대가 높고 다양한 고급 부가 기능을 탑재한다. 특히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크래프트 얼음 제조 기능은 LG 오브제컬렉션 중 일부 모델에서만 적용되고 있다.
이번에는 그중에서 대표적인 신제품인 LG전자 오브제컬렉션 M873MWW031(1,840,920원)의 제품명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제품의 모델명은 크게 7가지의 사양 정보를 담고 있다. M(형태), 87(용량), 3(출시연도), MWW(디자인), 0(부가기능), 그리고 에너지소비효율(1)이다.
형태
M-87-3-MWW-03-1
M 4도어 S 양문형
J 정수기형 W 와인냉장고
X 1도어 컨버터블 Z 김치냉장고
LG전자 냉장고 모델명에서 가장 처음 접할 수 있는 정보는 제품의 형태다. 본 제품은 알파벳 M을 달고 있는데, 이는 일반형인 형태의 냉장고를 의미한다. 상단에 냉장고가 있으며 하단에 냉동고가 위치한 형태다. 이외에도 F(4도어), S(양문형), J(정수기형), W(와인냉장고) 등의 알파벳이 모델명에서 사용된다.
용량
M-87-3-MWW-03-1
두자리 숫자 X 10 = 냉장고의 대략적인 용량
두 번째로 보게 되는 두 자릿수의 숫자는 LG전자 제품 또한 '용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역시나 단위는 10L다. M873MWW031의 경우에 해당되는 숫자는 87로, 단순 계산으로는 870L의 용량을 가진 제품임을 추측할 수 있다. 실제 이 제품은 냉장 508L, 냉동 367L로, 합계 875L의 용량을 가진 냉장고다.
출시연도
M-87-3-MWW-03-1
3 2022년 - 2 2021년(10월) - 1 2021년 - 0 2020년
세 번째의 숫자 3은 제품의 세대를 뜻한다. 그렇기에 숫자는 냉장고의 라인업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기된다. M873MWW031은 올해 출시된 오브제컬렉션인데, 올해 출시된 제품에 붙는 숫자로 3이 표기된 것이다. 일괄적으로 어떤 숫자가 연식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라인업에 따라 이 숫자는 달라질 수 있다. 같은 라인업의 제품이라면 이 숫자가 클수록 최근에 출시된 제품으로 보면 된다.
디자인
M-87-3-MWW-03-1
가장 앞 알파벳 : 도어 재질
M 미스트 글라스 F 페닉스 S 스테인리스 N 메탈
2∼3번째 알파벳 : 색상
W 화이트 M 매트블랙 B 블랙 S 샌드
AAA 색상 선택 가능
등등
뒤에 위치한 세 글자의 알파벳은 제품의 재질, 색상, 디자인 등을 의미한다. 이 제품의 경우 해당되는 알파벳은 MWW인데, 첫 번째의 M은 ‘미스트 글라스’ 재질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이 위치에는 F(페닉스), S(스테인리스), N(네이처 메탈)의 알파벳도 올 수 있다.
뒤에 위치한 WW는 색상이다. 앞의 알파벳이 상부, 뒤의 알파벳이 하부의 색상인데, WW라는 제품명에 미뤄 이 제품은 위아래가 모두 화이트 색상의 제품임을 추측할 수 있다. 이는 오브제컬렉션에 한정된 표기법으로, 라인업에 따라 의미하는 바는 달라지기도 한다.
부가기능
M-87-3-MWW-03-1
0 매직스페이스 없음 1 매직스페이스 있음
3 노크온 기능 4 노크온 매직스페이스
디자인 뒤에 위치한 숫자도 라인업에 따라 다르게 표기된다. 보통은 탑재된 부가기능에 따라 표기법이 달라진다. M873MWW031의 제품명에서 해당되는 숫자 ‘03’의 경우, 앞의 숫자인 0은 매직스페이스가 없다는 걸 의미한다. 1이 되면 매직스페이스가 하나, 2는 매직스페이스가 2개임을 의미한다.
3과 같은 뒤의 숫자는 숫자가 클수록 접이식 선반, 음성 인식 지원 등 더 다양한 부가기능을 내장하고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4, 5, 6 순으로, 김치냉장고는 1, 3, 5 순으로 숫자가 커진다.
에너지등급
M-87-3-MWW-03-1
1 에너지 효율등급 1등급 2 에너지효율 등급 2등급
가장 뒤에 위치한 알파벳 혹은 숫자는 에너지효율등급을 나타낸다. 제품에 따라서 1등급을 1, 3등급을 3으로 표기하거나, 1등급 E, 3등급 Q와 같이 알파벳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가장 뒤에 숫자나 알파벳이 없는 경우도 종종 있으며, 설치형 제품을 나타내는 S 등의 알파벳이 붙기도 한다.
LG전자 오브제컬렉션 M873MWW031은 어떤 제품?
총 용량 875L인 4도어 양문형 냉장고로, 올해 6월 출시되었다. 미스트 글라스 중 화이트 색상이 위, 아래 적용돼 깔끔하고 단정한 이미지를 준다. 부가기능으로는 인공지능 냉기케어시스템 및 내부의 팬에서 자외선 LED가 동작해 세균을 감소시키는 안심제균+ 기능이 대표적이다. (1,840,920원)
3. 캐리어 클라윈드 냉장고 모델명의 비밀
마지막으로 살펴볼 제품은 캐리어의 KRNC250PSM1(478,810원)이다. 이 제품의 모델명은 KRN(라인업), C(형태), 250(용량), P(색상), SM1(고유 모델명)를 뜻한다. 아울러, 클라윈드는 캐리어에어컨의 전문가전 브랜드명이다. 그중 피트인 라인업은 세미빌트인 가전 라인업으로, 밀레니얼 세대인 신혼부부와 1∼2인 가구를 타깃으로 한다.
라인업
KRN-C-250-P-SM1
CRF or KRD or KRN 일반 냉장고
CSR or CSVI 와인 냉장고
CSC 뚜껑형 냉동고
CSBM 스탠드형 냉동고
제품명의 가장 앞에 위치한 알파벳으로 라인업을 유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캐리어에서 직접 판매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대다수가 CRF로 표기된다. 와인냉장고의 경우에는 CSR 혹은 CSVI, 뚜껑형 냉동고는 CSC, 스탠드형 냉동고는 CSBM, 스탠드형 대형 냉동고는 CFT 등의 제품명을 갖는다. 클라윈드라는 브랜드를 론칭한 이후에는 일반 냉장고에 KRD, KRN의 표기도 혼용되고 있다.
형태
KRN-C-250-P-SM1
C 일반형 (▲냉장 ▼ 냉동)
T 일반형 (▲냉동 ▼ 냉장)
S 양문형
+
D 1도어 N 2도어 이상
두 번째로 확인할 수 있는 알파벳 C는 제품의 형태를 의미한다. C는 상단에 냉장실, 하단에 냉동실이 있는 형태의 일반형 냉장고다. 상단에 냉동실이 있는 일반형 냉장고는 T, 양문형 냉장고는 S(2도어~4도어)로 표기된다. 형태 뒤에 D 혹은 N의 알파벳이 더 붙기도 하는데, 이는 냉장고 도어의 개수에 따른 구분이다. 도어가 하나인 경우는 D, 두 개 이상인 경우는 N을 표기하기도 한다.
용량
KRN-C-250-P-SM1
냉장고의 대략적인 용량
캐리어 냉장고의 용량 표기는 여타 제조사에 비해 직관적이다. 리터 단위의 용량을 그대로 제품명에 담기 때문이다. KRN-C250PSM1을 살펴보면, 중간에 위치한 250이라는 숫자를 그대로 제품 용량으로 치환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제품의 용량은 250L로, 냉장실이 180L, 냉동실이 70L의 용량을 가진다.
색상
KRN-C-250-P-SM1
P 핑크 E 베이지 M 민트 G 화이트
용량 뒤에 위치한 알파벳 P는 제품의 색상을 의미한다. 이 제품의 경우를 보자면, P라는 알파벳으로 하단 도어가 핑크색이라는 걸 유추할 수 있다. 피트인 파스텔 콤비 제품의 하단 도어 색상은 네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색상은 E(베이지), P(핑크), M(민트), G(화이트)로 표기된다.
고유 모델명
KRN-C-250-P-SM1
제품의 가장 마지막에 붙는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인 SM1은 제품의 관리 차원에서 붙는, 규칙을 찾기 힘든 고유한 정보다. 그렇기에 여기에는 소비자들이 인지할 만한 스펙에 대한 정보 값이 담기진 않는다. SM1은 캐리어 클라윈드 피트인 파스텔 콤비에 붙은 고유한 모델명이라고 봐도 좋을 것이다.
캐리어 클라윈드 피트인 KRNC250PSM1은 어떤 제품?올해 2월 출시된 250L 용량의 냉장고로, 에너지소비효율 3등급, 색상은 화이트를 기반으로 한 사랑스러운 디자인의 제품이다. 상단에는 냉장실, 하단에는 냉동실이 위치한 일반형 냉장고로, 하단의 도어 색상을 화이트, 핑크, 민트, 베이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1,840,920원)
기획, 편집 / 조은혜 joeun@danawa.com
글 / 최덕수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