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유저 사이에는 이런 우스갯소리가 유행처럼 맴돌았다. "남북 통일이 빠를까, 애플페이 교통카드가 빠를까". 그런데 2025년 7월 22일을 기점으로 이 유행의 생명은 끝났다. 애플페이 티머니 교통카드가 전격으로 국내에서 지원됐기 때문. 항상 교통카드를 들고 다니는 아이폰 유저를 위해 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를 어떻게 등록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소개한다.
아이폰 지갑 티머니 교통카드 등록하는 방법
평소에 애플페이를 사용한다면 교통카드 등록은 식은 죽 먹기 수준이다. 아, 애플페이를 쓰지 않는다고? 그렇다면 애플페이가 낯선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보겠다. 일단, 아이폰에서 지갑 앱을 실행해 보자.
지갑 앱 우측 상단에 있는 '+' 버튼을 눌러보면 등록 가능한 카드 목록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교통 카드를 선택하면 된다.
교통 카드 목록으로 들어가면 애플이 지원하는 전 세계의 온갖 교통 카드가 전시되어 있는데 맨 위 상단에서 대한민국의 티머니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참고로 티머니만 등록할 수 있고 기후동행카드나 K-패스 기반 교통 카드는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
'나는 기후동행카드 써야 해서 티머니 필요 없겠네' 생각할 수 있지만 예비 목적으로 티머니를 소액 충전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갑자기 기후동행카드를 잃어버리는 일이 있을 수 있으니 말이다.
아무튼 다시 티머니 등록으로 돌아와 티머니 교통 카드를 선택하면 동의 화면이 나오게 된다. '동의 및 계속'을 터치하면 금액 충전 화면으로 가게 되는데 최소 3,000원부터 최대 90,000원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원하는 금액을 정하고 우측 상단에 있는 추가 버튼을 누르면 거의 다 온 것이나 마찬가지다.
추가 버튼을 눌렀을 때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충전이 되는 경우와 충전이 안 되는 경우로 말이다. 애플 지갑 앱에서 티머니 교통 카드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애플페이에 등록된 현대 카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대카드가 없다면 충전을 할 수 없다.
현대카드가 있다면 '측면 잠금' 버튼을 두 번 눌러보자. 그럼 카드 추가 화면으로 넘어가게 되고 조금 시간이 지나면 티머니 교통카드 충전이 완료된다.
이번에 애플이 티머니를 서비스하면서 세계 최초로 교통 카드 자동 충전 기능도 도입했다. 사용자가 설정한 최소 금액에 도달하면 애플페이에 미리 등록한 카드로 금액을 알아서 충전할 수 있어 잔액 걱정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최소 잔액은 5,000원, 7,000원, 10,000원 중에서 설정 가능하다.
현대 카드가 없다고 좌절하지 말자. 티머니 앱에서 직접 충전하면 현대카드 외에 자신이 소유한 은행, 증권 계좌를 활용해 금액을 채울 수 있으니 말이다. 여기에 티머니 교통카드 메뉴에서 '소득공제 등록/해지'에 들어가 보면 애플페이에 등록한 티머니 카드를 소득공제 항목으로 추가할 수 있다.
교통 카드를 등록하고 잔액까지 충전하면, 티머니 카드는 기본적으로 익스프레스 교통 카드로 설정된다. 익스프레스 교통카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페이스 ID 잠금을 해제하거나 지갑 앱을 실행할 필요 없이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를 단말기에 쓰윽 갖다 대기만 하면 돼 간편하다.
기획, 편집, 글 / 다나와 최정표 wjdvvy@cowave.kr
(c) 비교하며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