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립 PC 혹은 게이밍 PC를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에게 있어 현 그래픽카드 시장은 구하기도 힘들고 설령 구했다 하더라도, 가격이 매우 비싸 구매하기가 꺼려 지는게 현 그래픽카드 시장이다.
그렇다면 반대로 CPU 시장은 어떨까? AMD는 라이젠 5000 시리즈를 필두로 현재 CPU 시장의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반면 인텔은 12세대 CPU인 엘더레이크 Non-K CPU를 공식적으로 출시하여 소비자들에게 있어 다시금 제품을 벤치마크하고 고민을 하는 시즌이 돌아왔다.
금번 기사에서도 이러한 벤치마크의 연장선으로 현 시점 메인스트림급 게이밍 PC에 있어 많이 선택되고는 하는 i5 12400와 R5 5600X를 벤치마크를 한번 해볼까 하는데, 일반적인 DDR4 3,200MHz 순정 셋팅이 아닌 DDR4 XMP vs DDR5 XMP로 준비해 봤다.
물론 i5 12400의 경우 3,200MHz로 셋팅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더 많은것은 사실이지만 엘더레이크 CPU의 실질적인 성능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DDR5가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만큼, 금번 기사에서는 각각의 플랫폼에 있어 최대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DDR4 XMP vs DDR5 XMP를 적용해 봤다.
각자의 XMP 메모리를 적용한 i5 12400과 R5 5600X 과연 게이밍 성능 그 중에서도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는 어느 쪽이 더 우세할까?
동일한 6코어 12스레드, 테스트 PC 사양은?
벤치마크에 있어 진행된 PC 셋팅으로는 앞서 언급한 i5 12400과 R5 5600X의 두 CPU에 XMP 메모리로는 현실적인 DDR5 XMP 메모리인 DDR5 5,600MHz CL36를, AMD의 경우엔 DDR4 3,600MHz CL18의 스펙을 갖춘 XMP 메모리를 적용한 후 진행했다.
그리고 그래픽카드에 있어서는 RTX 3060Ti FE를 적용했으며 메인보드는 메모리 오버클럭이 가능한 인텔 B660 및 AMD는 B550으로, OS는 스펙표와 같이 Intel은 Windows 11를 AMD는 Windows 10을 적용했다.
본격 게이밍 벤치마크, DDR4 AMD vs DDR5 Intel 실제 성능 차이는?
먼저 살펴볼 게임의 장르는 앞서 필자가 기사 서두에 언급했듯 온라인 게이밍 환경에 포커스된 PC인 만큼 국내 온라인 인기 게임을 위주로 준비해 봤다.
가장 먼저는 일전 도화가라는 신규 클래스와 함께 DirectX 11을 공식 지원을 발표했던 로스트아크인데, R5 5600X와 12400 벤치마크에 있어서 DX11 및 DX9 두 환경 모두 AMD R5 5600X가 소폭 앞서는 성능을 보여 주었다.
이 외로도 오버워치와 배틀그라운드의 경우에도 앞선 로스트아크와 비슷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만 리그 오브 레전드의 경우엔 앞선 벤치마크와는 달리 AMD R5 5600X가 좀더 우위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어서 온라인 게임이자 비디오 게임이기도 한 파이널 판타지 14 엔드워커와 디비전2 및 고사양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도 함께 준비해 봤다.
먼저는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와 디비전 2인데 앞선 온라인 게임 벤치마크와는 반대로 Intel i5 12400이 AMD R5 5600X를 소폭 앞서는 성능을 보여 주었으며, 파이널 판타지 14 엔드워커에 있어서는 다시 AMD R5 5600X가 소폭 우위를 점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아무래도 게임에 따라서 최적화나 벤치 환경의 차이 등이 있는 만큼 조금씩 다른 결과값을 보여주는데, 벤치마크를 정리해 보면 일반적인 XMP 메모리 셋팅에 있어서는 AMD R5 5600X가 소폭 앞서는 성능으로 확인됐다.
앞서 언급했듯 금번 벤치마크의 경우엔 i5 12400은 DDR5 5,600MHz CL36에 R5 5600X는 DDR4 3,600MHz CL18를 기준으로 진행한 벤치마크인 만큼 순정 메모리, 혹은 사용자에 따라 별도의 추가 오버클럭을 통한 성능 향상을 적용한다면 필자가 진행한 벤치마크 결과값과는 다르게 나올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참고하여 살펴보면 좋으리라 생각된다.
메모리 오버가 가능한 AMD와 Intel, 문제는 메인보드 가격?
다만 이러한 메모리 오버클럭을 통한 추가 성능향상을 노려볼 수 있는 AMD 및 Intel 플랫폼에 있어서 Intel에 있어 다소 아쉬운 요소가 있는데.. 준비해온 자료와 같이 DDR4 기준으로 평균 15만원 내외에 판매되고 있는 B660의 가격이다.
DDR5 플랫폼을 지원하는 B660의 경우엔 보다 더 비싼 25만원 내외로 현재 전반적인 보드의 가격이 다소 비싼 가격에 출시된 상황이다.
반대로 AMD의 경우엔 일부 메인보드에선 A320에서도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하면 5600X+램오버가 가능하며 조금 좋은 보드를 구매하고자 한다면 B450 보드를 통해 5~8만원 선에서 구매가 가능하니, 보드 조합에 있어서 intel 제품을 구매하고자 했던 소비자들은 AMD 대비 다소 아쉽다라고 느낄만한 요소가 아닐까 싶다.
물론 필자의 경우 인텔 플랫폼을 DDR5를 기준으로 한 만큼 DDR4 플랫폼에 동일한 DDR4를 구성한다면 비교적 가격이 낮아질 수는 있겠으나, 매우 저렴한 H610 + 12400F 조합이라 한다면 메모리 오버클럭이 안되어 순수 성능에 있어서 소폭 밀릴수도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현 시점 PC를 조립하는 소비자라 한다면 이러한 DDR4 및 DDR5 플랫폼에 따른 가격적인 요소 등을 잘 비교하여 PC를 구매하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된다.
게이밍 PC 시장에서 검증된 AMD R5 5600X, 그를 쫓는 Intel i5 12400
모쪼록 금번 기사에서는 동일한 6코어 12스레드라는 동일한 CPU에 있어 DDR4 및 DDR5 플랫폼에 따른 XMP 메모리를 적용한 기사로 벤치마크를 진행해 봤다.
앞선 벤치마크를 짧게 요약해 본다면 각자의 XMP 메모리 셋팅을 적용한 환경에서의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는 AMD R5 5600X가 intel i5 12400대비 소폭 더 앞서는 성능을 보였으며, 비디오 게임과 같은 일부 게임에 있어서는 소폭 밀리는 내용으로 확인 됐다.
물론 벤치마크를 진행하는 PC의 환경이나 게임의 최적화에 따른 차이가 있다는 점은 참고하길 바라며, 기사 서두에 언급했듯 현 시점에서 온라인 게임을 포커스 한 게이밍 PC라면 여전히 R5 5600X가 조금 더 합리적인 선택이 되지 않을까 싶다.
특히나 CPU에 대응하는 보드와 CPU의 가격을 고려해본다면 말이다.
기사의 끝으로 2022년 1분기 중에는 AMD에서 3D V-캐시를 적용한 ZEN3 CPU가 출시될 예정이며 2022년 하반기에는 Intel 및 AMD 차세대 CPU 프로세서가 예고된 만큼, 소비자들에게 있어서는 R5 5600X와 i5 12400의 구도와 같이 올해에는 조금 더 흥미로운 PC 시장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