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엔조이 AMD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 벤치마크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하드웨어는 조금 무리하면 교체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좋은 제품이 출시 된다면 지갑에 약간의 출혈만 감내하면 충분히 교체할 수 있죠. 하지만, 데이터 센터, 서버 혹은 연구 목적의 워크스테이션이나 HEDT는 아무리 예산이 많아도 교체를 꺼려하는 기업과 기관이 많습니다. 기존 작업의 호환성을 생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AMD의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 하이엔드 데스크톱 프로세서의 성장세는 가히 놀라운 수준입니다. 사실상 Intel이 독점하던 사업에서 매 세대마다 승전보를 울리고 있기 때문이죠.
서버 시장에서의 AMD EPYC 프로세서의 분전도 있겠으나, 그 중심에는 AMD Ryzen Threadripper 시리즈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고성능 워크스테이션을 타깃으로 하는 AMD Ryzen 프로세서의 대장의 역할을 아주 톡톡히 해내고 있기 때문이죠. AMD는 Ryzen 데스크톱 프로세서 시리즈를 통해 일반 소비자 시장에 6 코어 12 스레드 시대를 열었는데, 워크스테이션과 HEDT 시장에서도 비슷한 행보를 보였습니다. 16 코어 32 스레드로 시작하여, 32 코어 64 스레드, 64코어 128 스레드까지 매 세대별 멀티 스레드 성능을 강화하였고, 마침내 Ryzen Threadripper PRO 7995WX에서는 96 코어 192 스레드에 도달하였죠.
그리고 AMD Ryzen Treadripper 7000 시리즈가 출시된 지, 약 2년이 조금 안된 2025년 7월에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가 출시되었습니다. 플래그십 라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는 이전 세대 Ryzen Threadripper PRO 7995WX와 마찬가지로 96 코어 192 스레드 구성입니다. 추가로 PRO와 Non PRO 라인업으로 구분되며, AMD는 Threadripper PRO 라인업을 워크스테이션, Non PRO 라인업을 HEDT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메인보드 플랫폼 또한 Ryzen Threadripper 7000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CPU 소켓은 sTR5를 유지하며, PRO 라인업 단독으로 운용하는 WRX90 칩셋과 PRO와 Non PRO 모두 장착할 수 있는 TRX50으로 나뉩니다. 두 칩셋 사이에 눈에 띄는 차이점은 메모리 채널이 WRX90은 8 채널, TRX50은 4 채널을 지원한다는 점과 PCIe 레인 개수입니다.
Ryzen Threadripper 7000 시리즈와 비교하여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에서 달라진 점은 Zen5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여 4nm 공정으로 제작되었다는 것이 가장 눈에 띱니다. Zen5 아키텍처를 채택함으로써 L1 캐시 용량이 늘어 나기도 했습니다. 공정의 미세화와 아키텍처의 발전으로 부스트 클록도 상승했고요. DDR5-6400 MT/s RDIMM 메모리를 지원하는 점에서 이전 세대에 비해 이점을 얻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드웨어적인 부분을 위주로 살펴보면 눈에 띄는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과연 2년이 약간 안되는 기간 만에 돌아온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는 얼마나 성장해서 돌아왔을까요? 이어지는 내용을 통해 AMD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 Ryzen Threadripper 9980X, Ryzen Threadripper 9970X의 테스트 결과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테스트 결과가 모든 사용자 환경을 대변하진 않습니다.
AMD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
AMD Ryzen Threadripper 9980X
AMD Ryzen Threadripper 9970X
AMD Ryzen Threadripper PRO 7995WX
AMD Ryzen 9 9950X3D
Intel Core Ultra 9 285K
ASUS Pro WS WRX90E-SAGE SE (AMD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 7995WX)
GIGABYTE TRX50 AERO D (AMD Ryzen Threadripper 9980X, 9970X)
GIGABYTE X870E AORUS PRO ICE (AMD Ryzen 9 9950X3D)
MSI MPG Z890 카본 WIFI (Intel Core Ultra 9 285K)
NVIDIA GeForce RTX 5090 32GB Founders Edition
G.SKILL DDR5-6400 CL32 T5 NEO ECC/REG
CORSAIR WS DDR5-5600 CL40 ECC/REG 패키지 256GB(32Gx8)
G.SKILL DDR5-6000 CL28 TRIDENT Z5 NEO RGB J 화이트 패키지 (32GB(16Gx2))
마이크론 Crucial T705 M.2 NVMe (1TB)
FSP MEGA TI 1650W TITANIUM 풀모듈러 ATX 3.1
SilverStone XE360-TR5
Phanteks GLACIER ONE 360 T30 V2(AMD Ryzen 9 9950X3D, Intel Core Ultra 9 285K)
Silverstone XE360-TR5
다음의 사항으로 CPU의 온도 및 소비전력을 측정하였으며, 기본 상태는 메인보드의 바이오스 디폴트 값입니다.
■ 프로그램 : Cinema 4D 10분 (고부하 환경)
■ CPU 쿨러
Silverstone XE360-TR5( 3열 360mm 일체형 수랭 쿨러)
- AMD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 AMD Ryzen Threadripper PRO 7995WX)
Phanteks GLACIER ONE 360 T30 V2 (3열 360mm 일체형 수랭 쿨러)
- AMD Ryzen 9 9950X3D, Intel Core Ultra 9 285K)
■ 써멀 컴파운드 : 맥스엘리트 Halnziye HY-P15
■ 메인보드 (BIOS 디폴트 설정)
ASUS Pro WS WRX90E-SAGE SE (BIOS : 1203) - AMD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 & 7995WX
GIGABYTE TRX50 AERO D (BIOS : FA3a) - AMD Ryzen Threadripper 9980X & 9970X
GIGABYTE X870E AORUS PRO ICE (BIOS : F7) - AMD Ryzen 9 9950X3D
MSI MPG Z890 카본 WIFI (BIOS : A70) - Intel Core Ultra 9 285K
쿨엔조이 AMD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 벤치마크
프로세서 성능 요약 및 분석
테스트에 활용된 벤치마크 총 19 항목의 결과를 요약 및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7.2%p 상승한 싱글 스레드 성능
Ryzen Threadripper 시리즈의 타깃 시장은 높은 멀티 스레드 성능이 필요한 기업과 하이엔드 유저입니다. 그럼에도 싱글 스레드 성능을 내려놓지 않은 점에서는 점수를 줄만 합니다. 동일한 코어 구성을 지닌 Ryzen Threadripper PRO 7995WX에 비해서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의 싱글 스레드 성능은 17.2%p 상승한 결과입니다. 여러 복합적인 이유가 있겠으나, 아키텍처의 발전과 공정의 미세화, L1 캐시 메모리 증가와 메모리 성능의 향상을 이유로 꼽을 수 있겠습니다.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 내에서는 Ryzen Threadripper 9970X의 싱글 스레드 성능이 높게 측정 됩니다. 스펙 상으로 부스트 클록과 TDP는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와 동일하나, 더 높은 베이스 클록에서 작동하기에 발생한 결과로 판단됩니다.
■ 경이로운 수준, 멀티 스레드 성능 상승(29.3%p)
멀티 스레드 성능에서는 그야말로 엄청난 향상을 보여주었습니다.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는 Ryzen Threadripper PRO 79995WX 대비 29.3%p 향상된 결과입니다. 멀티 스레드 성능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에서 코어 활용도에 따라 Ryzen Threadripper 9980X와 순위가 간혹 바뀌긴 했지만,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는 Ryzen Treadripper PRO 7995WX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였습니다.
64 코어 128 스레드 구성의 Ryzen Threadripper 9980X가 이전 세대 플래그십인 Ryzen Threadripper PRO 7995WX를 멀티코어 성능에서 앞선다는 점도 눈여겨 볼만 합니다. 출시 시기의 차이가 약 21개월이지만, MSRP 기준으로 2배 차이인 제품이 세대 교체의 대상이라는 점이 말이죠. Windows OS 상에서 테스트한 결과이기에 상황을 100% 대변할 수는 없겠지만, 가격도 낮으면서 메인보드 선택에서도 자유로운 Ryzen Threadripper 9980X이 매력적으로 보일 수도 있겠습니다.
온도 및 소비전력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는 Ryzen Threadripper PRO 7995WX와 비교하면 코어 및 스레드 구성과 PCIe 레인 개수 정도를 제외하면 스펙 상으로 대부분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온도와 소비전력은 오히려 감소했습니다. 대체로 로드 상황보다 아이들 상태에서의 개선이 큰 폭입니다. 다만, 워크스테이션 및 HEDT를 타깃으로 하는 제품 특성 상 아이들 온도 및 소비전력 개선이 크게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CCD 공정의 미세화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됩니다. 부하 상황에서 CPU 코어 온도는 1.6℃ 하락했고, 아이들 상태에서는 5.4℃ 하락한 결과입니다. 소비전력도 마찬가지로 부하 상태에서 16.5W, 아이들에서는 46.9W 줄어들었습니다. 수치로만 본다면 그리 크게 와닿는 결과는 아니겠지만, 96 코어 192 스레드라는 구성을 되새겨보면 이 정도 차이는 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게임 성능 역시 향상
싱글 스레드 성능과 멀티 스레드 성능 모두 큰 폭으로 상승한 만큼 게임 성능에도 향상이 있었습니다. 원활한 게임 플레이를 위해 CPU에 이 정도를 투자할리는 없겠지만, Ryzen Threadripper PRO 7995WX 대비 충분히 상승했습니다. Ryzen Threadripper 시리즈의 타깃 시장은 아니지만, 하이엔드 중 하이엔드를 추구하는 유저들 중에 여건이 갖춰진다면 이전 세대보다는 나은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강력한 멀티스레드 성능을 제공하는 워크스테이션/하이엔드 프로세서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는 워크스테이션 및 HEDT용 프로세서의 이상향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멀티 스레드 활용 측면에서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 내의 미들레인지라고 할 수 있는 Ryzen Threadripper 9980X가 이전 세대 플래그십인 Ryzen Threadripper PRO 7995WX보다 높은 성능이라는 점은 인상적입니다. 이런 성능 향상에는 Zen5 아키텍처의 성능 향상 및 구조, TSMC 4nm FinFET 공정으로의 미세화가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SPECworkstation 4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예산이 충분하면서 작업 시간 단축이 중요한 기업, 연구소 및 하이엔드 유저들의 이목을 끌만한 성능 향상 폭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SPECworkstation 4 테스트 결과를 통해 전통적인 작업용 CPU 성능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최신 트렌드인 AI 및 머신 러닝에서의 성능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결과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는 ONNX와 ResNet 등 AI 워크로드에서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습니다. 전통적인 워크로드에서의 성능도 대폭 향상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높은 멀티 스레드 성능과 메모리 대역폭을 필요하는 분야에서도 성능 향상 폭이 높습니다.
CCD에 TSMC 4nm FinFET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소비전력과 온도에서 개선도 이뤄냈습니다. Ryzen Threadripper PRO 9995WX는 부스트 클록이 5.4 GHz로, Ryzen Threadripper PRO 7995WX의 5.1 GHz에 비해 높아졌습니다. 이는 일반 소비자용 CPU에 대입해봐도 차력쇼가 의심될 만큼, 높은 수준의 향상인데 오히려 아이들과 부하 상황 모두에서의 온도와 소비전력이 감소했습니다.
이외에도 메인보드 플랫폼을 유지하기에 업그레이드 계획이 있다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게다가 TRX50 칩셋은 PRO와 Non PRO 프로세서 모두 사용할 수 있기에 많은 PCIe 레인이 필요하지 않다면, 멀티 스레드 작업에 특화된 HEDT 및 워크스테이션 구성이 가능합니다. WRX90 칩셋은 Ryzen Threadripper PRO 프로세서의 PCIe 레인 활용을 극대화하여 서버 구성에 활용을 할 수도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Ryzen Threadripper 9000 시리즈는 벤치마크 등록 시점을 기준으로 업그레이드 효용성과 극한의 멀티 스레드 성능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라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