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디테일링 블로거 네미온 입니다! 오늘은 셀프세차방법 중 자동차 왁스 바르는 법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왜? 자동차에 왁스를 바를까요? 가장 큰 이유는 두가지 입니다.
첫째 : 차량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차량은 표면은 먼지, 수액, 새똥, 타르 등의 오염에 항상 쉽게 노출이 됩니다. 이런 오염들이 차량용 왁스의 보호 없이 직면하게 되면 크게는 차량표면의 색상바램 및 침식등이 발생되게 됩니다.
둘째 : 반짝이고 윤택한 차량 표면을 원하세요? 왁스에는 차량 표면의 광도를 올려 주는 성분이 포함되어 바르고나면 바르기 전 보다 훨신 좋은 윤택한 표면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 때문이라도 사랑하는 우리의 애마에 차량용 왁스를 바르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 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2. 왁스를 바르기전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세차 입니다!
세차 없이 더러운 표면위에 왁스를 바르는 것은 잔기스 유발과 왁스의 보호기능이 많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왁스 성능을 최대로 끌어 올리려면 차량 표면 정리 후에 왁스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 부분까지 신경쓰면 초심자 분들은 질릴 수가 있으니 아래 차량표면 정리 방법 및 순서는 참고만 하시고 일단 세차 후 왁스바르는 재미를 느껴보세요!
<왁스 성능을 최대로 끌어 올리기 위한 표면 정리 방법 및 순서>
순서 |
방법이름 |
내용 |
가이드 라인 링크 |
1 |
세차 |
차량표면의 보이는 오염물을 제거한다 |
|
2 |
클레이바 |
미세하게 고착된 차량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
|
3 |
페인트클랜징 |
차량표면에 찌든 때를 제거한다 |
|
4 |
왁스바르기 |
차량표면을 보호한다 |
현 포스팅 |
3. 왁스를 바르기 위한 준비물? 그러면 왁스를 바르기 위한 준비물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차량용 왁스
왁스를 바르려면 차량용 왁스가 있어야겠죠? 차량용 왁스는 크게, 고체형, 걸죽한 액체형, 물같은 액체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세한 왁스의 종류와 선택보다는 개괄적인 왁스바르는 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대표적인 왁스의 종류 : 좌측 고체형 soft99의 신격방수 / 우측 액체형 soft99의 미러샤인>
2) 어플리케이터
어플리케이터는 왁스를 바를 때 왁스를 이 어플리케이터에 묻혀 차량 표면에 도포할 때 필요한 도구 입니다. 어플리케이터는 종류가 다양하지만 크게 재질이 스폰지형태와 천재질의 형태로 나뉘어 집니다. 흔히 왁싱용패드, 스폰지패드, 어플, 테리어플, 마이크로화이바어플로 불리기도 합니다
<스폰지 형태의 왁싱용 어플리케이터>
<천 재질의 어플리케이터>
3) 버핑타월
왁스를 바르고 왁스의 잔유물을 닦아 낼 때 사용하는 타월이 필요 합니다. 보통 버핑타월이라고 불리우며 마이크로화이바 재질을 많이 사용합니다. 시중에 마이크로화이바 버핑타월로 검색하면 많은 제품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버핑타월 퓨어스타 社의 바이올렛 트위스트 버핑타월>
<다시한번 자동차 왁스를 바를 때 필요한 준비물 세가지를 확인 해 봅시다!!~>
4. 자동차 왁스 바르는 법?
세차와 위의 세가지 준비물 (차량용왁스, 어플리케이터, 버핑타월)이 준비가 되었으면 왁스바를 준비가 모두 된 것 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자동차에 왁스 바르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고체형왁스의 경우 스폰지형태의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폰지 어플리케이터를 고체형 왁스통에 넣어 왁스를 묻혀 줍니다>
이때 너무 많은 양보다는 가볍게 묻혀 준다는 느낌으로 스폰지 어플리케이션에 떠 줍니다.
<액체형왁스의 경우는 스폰지어플리케이터나 천재질의 어플리케이터를 기호에 따라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래 사진과 같은 500원짜리 동전 만큼 액체형 왁스를 덜은 후 액체형 왁스가 어플리케이터 전체에 묻을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터를 접어서 비빈 후 차량에 바르면 됩니다.
위와 같이 고체형왁스던 액체형왁스던 스폰지어플리케이터에 왁스를 묻혔으면 아래 사진과 같이 바를 부위 여러군데에 콕콕 찍어 왁스를 묻혀 줍니다. 보통 1회 왁스를 묻혀서 작업할 부위는 아래 사진과 같이 휀다 한판이나 문짝 한판 정도를 잡으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여러군데 왁스를 콕콕 찍어 놓은 후 어플리케이터를 원형으로 뱅글뱅글 돌리면서 왁스를 발라 주면 됩니다>
이때 원형방향으로 뱅글뱅글 돌리는 방법이나 직선으로 쭉쭉 문질러 도포하는 방법 모두 좋은 방법입니다. 본인이 편한방법, 제품별로 편한 방법이 있으니 각자 해 보면서 좋은 자신만의 방법을 익혀나갑시다.
<이때 어플리케이터를 과도하게 누를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가볍게 손가락을 아래 사진과 같이 올려 놓은 후 부드럽게 차량에 문질러 줍니다. 과도한 힘을 주어 왁싱을 한다고 왁스가 잘 발리는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오히려 차량표면에 잔기스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차량표면에 촘촘히 빠진 곳 없이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왁스를 바를 때 주변에 있는 플라스틱, 고무등에는 왁스가 닿지 않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와 같이 왁스를 도포 하였으면 일정시간 후 버핑타월을 이용하여 왁스의 잔여물을 닦아내야 합니다>
이때도 물론 과도한 힘을 주어서 문지르거나 할 필요가 없습니다. 가볍게 잔여물을 걷어낸다는 기분으로 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왁스별로 왁스를 발라 놓고 잔여물을 닦아내는 타이밍은 모두 다릅니다>
따라서 타월을 이용하여 왁스잔여물을 닦아내는 타이밍을 잡는 것이 중요 합니다. 왁스잔여물을 닦아내는 타이밍을 놓칠 경우 닦아내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왁스를 구입 후에는 꼭 제품에 있는 설명을 필독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왁스를 바르고 5분~10분 뒤 깨끗한 타월로 닦아낸 뒤 왁스 도포 후 건조되기 전에 타월로 닦아내주세요. 이런 문구를 꼭 확인 하고 숙지 하고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위와 같이 언제 왁스 잔여물을 닦어내야 되는지 설명이 없거나 잘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때 이용할 수 있는 스와이프 테스트 방법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스와이프 테스트 (Swipe test)
왁스를 도포 한 후 깨끗한 손가락 하나로 왁스를 도포한 부위 위를 가볍게 그어 보았을 때 그은 부분이 깨끗하고 쉽게 왁스 잔여물이 닦여나가는지 확인 하는 방법입니다.아래 사진과 같이 깨끗한 손가락으로 왁스발린 부위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그었을 때 깨끗한 표면이 보이면 그때가 바로 타월로 왁스 잔여물을 닦아내는 타이밍 입니다
따라서 왁스를 문짝 한판정도 바른 후 스와이핑 테스트를 해 본 후 왁스 닦아낼 타이밍을 계산 한 후 계속적인 왁스 작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스와이프 테스트를 하는 방법 동영상을 한번 살펴 보세요 ^^>
위와 같이 스와이프 테스트와 함께라면 세상의 어떤 왁스를 가져와도 왁스잔여물을 닦아낼 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자 그럼 위의 왁스바르는법을 간단히 정리 해 드리겠습니다.
1. 준비물 세가지인 차량용왁스, 어플리케이터, 버핑타월을 준비하고 깨끗이 세차를 한다
2. 왁스를 어플리케이터에 묻혀 준다.
3. 왁스를 어플리케이터에 묻혀 준 후 1회 작업범위는 휀다 혹은 문짝 한판 정도로 잡는다.
4. 작업범위 여러 곳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콕콕 왁스를 찍어 준다
5. 어플리케이터를 원형으로 돌리거나 직선방향으로 문질러 왁스를 발라 준다
6. 왁스 도포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 깨끗한 버핑타월로 왁스잔여물을 닦아준다
7. 왁스잔여물을 닦아낼 타이밍은 제품설명서나 스와이프 테스트로 확인을 한다.
<차량 표면을 위와 같이 세차를 한 후 왁스를 발라 보호 해 주면 분명 깨끗하과 번쩍거리게 오랬동안 유지할 수 있을꺼에요~>
<아직도 차량용 왁스를 선택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죠? 필수 입니다 ^^~>
이상으로 자동차 왁스바르는 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 그럼 다음에도 더 재미있는 차량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