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마우스 쥐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다구요!

다나와
2018.05.15. 18:44:21
조회 수
26,263
10
댓글 수
8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 스포츠는 처음 배울 때 기본 자세가 중요하다. PC 게임도 마찬가지다.


요즘 PC방 게임 점유율은 삼파전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가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 세 가지 게임의 공통점은 정교한 컨트롤을 요구한다는 것. 예전 <스타크래프트>가 그랬고 모든 대전 게임들이 그렇다. 사람 대 사람의 게임에서는 결국 컨트롤이 승패를 가른다. 


스포츠도 마찬가지다. 모든 스포츠는 처음 기본 자세가 중요한데, E-스포츠로 불리는 게임도 나만의 자세를 잘 잡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마다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자세에 정답은 없지만, 개중에서도 마우스 그립은 '나에게 맞는 그립법'을 찾기 위해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마우스는 그냥 잡으면 되는 것 아니었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마우스 잡는데도 방법이 있어? 마우스 그립법 3가지


▲ 사람들이 주로 쓰는 세 가지 마우스 그립법. 녹색으로 표시된 부위가 마우스와 닿는 부위다

<출처: 레이저(Razor)>


▶ 팜 그립

▲ 팜 그립은 손을 마우스에 다 올려놓는 것이 특징이다


팜 그립(Palm Grip)은 손바닥 전체와 손가락까지 모두 마우스에 밀착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그립법이며 손목보다는 팔을 써서 마우스를 움직인다.


손바닥은 제일 아래까지 대부분 마우스 본체에 밀착하고 엄지손가락은 마우스 좌측면에, 집게 손가락과 중지는 각각 마우스 왼쪽과 오른쪽 버튼에 붙이며 약지와 새끼손가락은 마우스 우측면에 붙이는 형태이다. 


팜 그립은 손목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손목에 무리가 덜 간다. 그래서 오랫동안 게임할 때 상대적으로 다른 그립법에 비해 손목 건강에 유리하다. 한쪽 방향으로의 큰 움직임이나 제한된 공간에서의 정확한 움직임에도 적합하다. 하지만, 신속한 방향전환과 화려한 컨트롤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게임 장르나, 게임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팜 그립이 안 어울릴 수도 있다.


▲ 팜 그립은 정교한 컨트롤이 가능해 저격 캐릭터인 위도우 메이커 등에 적합하다


팜 그립은 FPS(First Person Shooter) 게임에서 저격을 하거나 중거리 이상에서의 교전 등, 멀리서 움직이는 적을 정확히 따라가며 조준할 때 정확도가 높다. 대신에 사방에서 적이 쏟아지는 난전에서는 신속한 방향전환이 어려워서 불리하다. 근거리에서는 상탄 조절(총기 반동을 마우스 움직임으로 제어하여 조준점을 유지하는 것)에 유리하기 때문에 초근접 전투에서는 성적이 꽤 괜찮은 편이다.


반면에 마우스 커서를 쉴새없이 움직여야 하는 RTS(Real-Time Strategy)나 AOS(Aeon of Strike) 장르에서는 감도를 높일 경우 커서가 너무 날아다녀서 원하는 곳에 정확히 멈추는 컨트롤의 정교함이 떨어지고, 감도를 내리면 커서가 너무 굼떠서 팔 전체가 금새 피로해지므로 이런 장르에서는 약점이 있다.


팜 그립에 적합한 마우스는 감도가 민감하면서도 약간은 무거운 제품이 좋다.  때로는 세밀하게, 때로는 빠르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해야 하고, 정밀한 움직임을 위해서는 가벼운 제품보다는 적당히 묵직한 제품이 어울린다.


▶ 팜 그립용 추천 마우스

▲ 레이저 데스에더 엘리트


손이 큰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으로는 RAZER 데스에더 엘리트가 있다. RAZER 마우스는 덩치 큰 제품이 많아서 손 큰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크기는 127(세로) x 73(가로) x 43(높이)mm이며 무게는 96g이다.  최대 감도는 16,000DPI이며 응답속도는 1,000Hz에 가속도를 지원한다. 


특히 450 IPS(Inch Per Second)의 인식률로 빠른 움직임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팜 그립에 적합하다는 평이다.



▲ ROCCAT 콘 퓨어 오울아이


손이 작다면 ROCCAT 콘 퓨어 오울 아이 (KONE PURE OWL_EYE)가 있다. 115 x 70 x 35mm(세로 x 가로 x 높이)이며 무게는 88g이다. 최대 감도는 12,000DPI이고 응답 속도는 1,000Hz에 스캔율은 12,000FPS이고 250 IPS의 인식 속도를 제공한다. 제공하는 버튼은 7개이고 소프트웨어를 통한 매크로 기능도 있다. 이 제품의 경우 팜그립뿐만 아니라 다른 그립의 사용자들에게도 많은 추천을 받는다.


▶ 클로 그립

▲ 클로 그립은 손으로 마우스를 움켜쥐듯 잡는다


클로 그립(Claw Grip)은 손목을 마우스 끝 부분에 올리고 손가락은 세워 버튼을 누른다. 손바닥은 중간부분은 뜨고 손바닥 제일 아랫부분만 마우스와 닿는다. 팜 그립에 비하면 손바닥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손가락을 세워서 손가락 끝으로 버튼을 누르기 때문에 반응 속도가 빠르다. 또한, 마우스 위에 손목을 올려놓으므로 팜 그립 처럼 손목 피로도가 낮다. 


저격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근접 전투도 아닌 파라 스타일의 플레이라면 클로 그립이 적당할 수 있다


장점은 버튼을 누르는 속도가 팜 그립보다 유리하다. 다만, 초탄을 신속히 맞추는 반응속도를 얻는 대신 적을 따라가는 조준은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손이 큰 사용자들은 손목을 바닥에 살짝 대고 클로 그립과 핑거 그립의 중간 정도로 변형해서 쓰기도 한다. 또 클로 그립 사용자 중에는 상황에 따라 팜 그립과 핑거 그립을 오가며 쓰는 사용자들도 있다. 


▶ 클로 그립용 추천 마우스

▲ 로지텍 G903 LightSpeed Wireless


손이 큰 사람을 위한 클로 그립용 마우스는 로지텍 G903 LightSpeed Wireless를 추천한다. 크기는 130.3 x 65.5 x 40.4mm(세로 x 가로 x 높이)로 상당히 큰 편이다. 가로보다 세로가 길어 손목까지 마우스 위에 올려도 불편하지 않다. 


최대 감도는 12,000DPI에 응답 속도는 1,000Hz이며 무게는 110g에 무게추 10g을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버튼은 총 9개이고 휠은 상하좌우 4방향 조절이 가능하다. 


 

▲ ROCCAT 콘 퓨어 옵티컬 (KONE Pure Optical)


손이 작은 사람들을 위한 추천 제품으로는 ROCCAT 콘 퓨어 옵티컬이 있다. 크기는 115 x 70 x 35mm(세로x가로x높이)에 무게는 93g이다. 마우스 상판과 버튼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손가락 전체를 버튼에 올리는 팜 그립보다 손가락 끝으로 톡톡 치는 클로 그립에 적합하다.


최대 감도는 5,000DPI에 응답속도는 1,000Hz이고 150IPS 인식률을 갖고 있고 7개의 버튼을 제공한다.


▲ 핑거 그립 (팁 그립, 핑거 팁 그립이라고도 함)


핑거 그립은 손바닥과 손목을 마우스와 전혀 접촉하지 않고 오직 다섯 개의 손가락과 손목의 힘만으로 마우스를 제어하는 자세다. 손목은 마우스패드에 붙박이처럼 고정하고 검지와 중지로 버튼을 누르고 나머지 손가락은 마우스 좌우를 잡고 마우스를 컨트롤한다.


▲ 난전에 어울리는 트레이서, 겐지를 즐겨 한다면 핑거 그립이 적당하다


핑거 그립의 단점은 손목 건강에 안 좋은 그립법이라는 것이다. 핑거 그립은 손목 스냅과 손가락 힘으로 마우스를 컨트롤한다. 그래서 손목에 무리가 올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들이 손목 부상을 입었다는 뉴스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손목 부상을 입은 선수들의 그립법이 핑거 그립인 경우가 많다.


대신 마우스를 클릭하는 반응속도가 빠르다. 마우스를 사방으로 움직이는 것도 기민하다. FPS보다는 커서가 눈에 보이고 커서를 움직여서 명령을 내리는 RTS, AOS 장르에서 많이 쓴다.


FPS에서는 상대방을 정신 없이 괴롭히는 근거리 전투와 난전, 화려한 컨트롤에 적합하다. 단 평소에 손목을 한곳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마우스를 아래로 내리는 거리가 짧아서 상탄 조절을 오래 할 수 없다. 그래서 돌발상황 난사에서 의외로 승률이 낮다. 같은 이유로 멀리서 뛰어가는 적을 조준점에서 놓치지 않고 따라 붙는 것에도 약하다. 손목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마우스가 움직이는 범위가 좁기 때문이다.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탄 조절을 할 때나 조준상태를 적에게 고정할 때 손목이 아닌 팔을 쓰도록 연습해야 한다.


핑거 그립 사용자는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벼운 제품을 쓰는 것을 추천한다.


▶ 핑거 그립 추천 마우스

 

▲ 커세어 하푼 RGB


커세어 하푼 RGB 게이밍 마우스는 무게가 85g으로 가벼우며 크기도 111.5 x 68.3 x 40.4mm (세로x가로x높이)로 작은 편이다. 최대 감도는 6,000DPI에 응답 속도는 1,000Hz이다. 상판과 버튼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핑거 그립 또는 클로 그립에 적합하다.


6개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버튼이 있고 바닥면은 마찰계수를 낮추기 위한 PTFE 테프론 피트를 장착해 컨트롤 성능을 높였다. 핑거 그립을 위한 조건을 모두 갖춘 마우스다.


▲ 로지텍 G 프로


로지텍 G 프로도 고려해 보자. 117 x 62 x 38mm(세로 x가로x높이)의 크기에 무게는 83g에 불과하다. 앞서 추천한 커세어 하푼 RGB보다 세로 길이는 조금 더 길지만 가로폭과 높이가 낮아서 손가락이 긴 사용자는 이쪽이 더 좋을 수도 있다.


최대 감도는 12,000DPI이고 응답 속도는 1,000Hz이다. 그리고 스무딩(정확한 조준을 위해 직선 움직임을 보정해 주는 기능)을 없애주는 제로 스무딩을 지원한다. 스무딩과 같은 직선 보정 기능이 도움이 될 때도 있고 불필요할 때도 있으므로 취향에 맞게 끄거나 켜서 쓰면 된다. 헤드샷을 노리거나 장거리 전투를 즐기는 샤프슈터형 사용자는 직선 보정이 있는 편이 좋고, 연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중~근거리 돌격형 사용자는 직선 보정이 없는 편이 더 좋다.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들은 어떤 그립법을 쓰고 있을까?



대표적인 FPS 게임,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들은 어떤 그립법을 쓰고 있을까? 다나와에서 창단한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임단 'DPG(Danawa Play Game)' 의 이승우(Kezwik), 조준형(Mirdayo) 선수의 마우스 그립법을 알아봤다.


▶ 이승우(Kezwik) 선수의 마우스 그립법 : 팜 그립


먼저 Kezwik(케즈윅) 닉네임을 쓰는 이승우 선수는 팜 그립을 사용한다. 손바닥과 손가락을 모두 마우스 위에 올려놓고 팔을 이용해서 안정적으로 컨트롤한다.

▶ 조준형(Mirdayo) 선수의 마우스 그립법 : 클로 그립


Mirdayo(미르다요) 닉네임을 쓰는 조준형 선수는 클로 그립을 사용한다. 손가락을 세웠음을 알 수 있고 위 사진에서 옆모습을 보면 손목이 허공에 떠있는 것도 볼 수 있다. 손목이 허공에 있다는 것은 손목이 아닌 팔로 마우스를 컨트롤 한다는 뜻이다. 


나에게 편한 그립법이 최고라면? 내 그립법에 맞는 장비를 세팅하자


사실 마우스 그립은 누군가 알려준 것이 아닌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다 자연스럽게 익힌 습관이라 할 수 있다. 수 년에서 수 십년 동안 몸에 베어 있는 습관을 하루 아침에 바꾸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차라리 본인의 습관에 맞는 플레이 스타일을 조금 더 다듬거나 그에 적합한 마우스, 액세서리의 도움을 받는 것이 나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기사를 보면서 자신의 마우스 그립법을 다시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기획, 편집 송기윤 iamsong@danawa.com
글, 사진 유민우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구매가이드 전체 둘러보기
1/1
더 치열하고 복잡해진 AI노트북 경쟁! 2025년형 LG 그램 vs 갤럭시북5 프로 (10) 다나와
M4 맥 미니로 셋업 맞추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되나요? (5) 다나와
미래를 시작하는 GPU, 엔비디아 블랙웰과 RTX 50 시리즈의 변화와 현주소 (3) 케이벤치
MSI, CES 2025에서 고성능 초경량의 비즈니스 노트북 30여종 대거 선보여 (7) 케이벤치
갤럭시S25 시리즈 공개 2주 전! 출고가와 사전예약 혜택은 어떨까? (13) 다나와
2025년 PC 시장 공략 무장, AMD CES 기조연설 핵심 정리 (5) 보드나라
6천 원부터 50만 원까지! 2025 푸른 뱀의 해 한정판 에디션 7가지 총출동 (20) 다나와
겨울 레저 매니아는 어떤 IT 제품을 쓸까? (8) 다나와
갤럭시S25 시리즈 루머 총정리! 슬림/스펙/출시일/사전예약 일정 (11) 다나와
을사년 빛낼 최강 가성비 시스템 '다나와 1월의 온라인 강의용 표준PC' (9) 다나와
화이트 디자인으로 보는 멋까지 더한 '다나와 1월의 게임용 표준PC' (8) 다나와
성능 만족, 가격 만족...균형 잡힌 사양의 '다나와 1월의 영상/음향작업용 표준PC' (7) 다나와
트렌드 싹 바뀐 PC 업계ㅎㄷㄷ (10) 동영상 있음 다나와
24년형 vs 25년형 삼성·LG 김치냉장고, 무엇이 달라졌나? (14) 다나와
강력한 성능으로 2025년을 빛낼 ‘다나와 1월 표준 노트북’ (5) 다나와
[단통법 폐지_ 최종_ 진짜 최종] 단통법 폐지! 달라지는 점은? (14) 다나와
'이래서 맥스웰, 맥스웰 하네'...나에게 맞는 맥스엘리트 파워 알아보기 (3) 뉴스탭
게이머, 크리에이터 및 전문가 겨냥한 실용적인 스토리지 선물 가이드 (4) 뉴스탭
전기면도기 가격대별 뭐가 다른거야? 필립스 전기면도기 4종 추천 나를 위한 제품은?! (6)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M4 맥북 프로부터 맥 미니까지, 나에게 맞는 맥은 무엇일까? (11)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