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n destination advertising: The impact of video-based destination anthropomorphism on destination image
AI 시대의 관광 마케팅, 의인화 전략이 필수
저널 오브 데스티네이션 마케팅 앤 매니지먼트(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에 발표된 최신 연구에 따르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관광지 홍보에서 의인화 전략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서비스 로봇, 디지털 가이드 등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관광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인간형 서비스 로봇이 '관광지 홍보대사'로 활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관광지의 서비스 수준과 기술적 진보를 관광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해 입증된 의인화 전략의 효과
연구팀은 두 차례의 대규모 실험을 진행했다. 첫 번째 실험에는 평균 25세(SD = 3.171)의 참가자 277명이 참여했으며, 이들 중 72.56%가 월 소득 10000-15000 RMB 구간에 속했다. 이 실험에서는 항저우 시시습지의 동반자 로봇 '런샤오야오'를 소개하는 영상이 사용됐다. 실험 영상에서는 "안녕하세요, 저는 항저우의 시시습지입니다. 저를 시시라고 불러주세요. 이것은 제 파트너 런샤오야오입니다"라는 의인화된 내레이션을 사용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19-35세(평균 26.371세, SD = 5.195)의 참가자 315명이 참여했으며, 이 중 93.65%가 학부생이었다. 이들은 난통 역사박물관의 AI 로봇 '샤오아이'를 소개하는 실험에 참여했다. 연구진은 의인화된 버전과 비의인화된 버전의 두 가지 홍보 영상을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관광객의 AI 인식과 관광지 이미지의 상관관계
연구진은 AI 마인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7개의 세부 항목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AI가 분석적 사고가 가능한가', 'AI가 자기 통제력을 가지고 있는가', 'AI가 의사결정 능력이 있는가' 등의 항목으로 평가했다. 관광지 이미지는 문화 환경, 인프라, 관광 인프라, 정치경제 환경, 혜택의 5개 차원으로 나누어 측정했다.
분석 결과, 의인화된 AI 홍보 전략은 관광객들의 AI 마인드 인식에 긍정적 영향(β = 0.389, p < 0.001)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관광지 이미지 형성에도 유의미한 효과(β = 0.412, p < 0.001)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관광객들의 AI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관광지 이미지도 함께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 0.208, p < 0.001).
AI 기술에 대한 불안감, 홍보 효과 좌우
연구진은 AI 불안감을 학습 불안, AI 구성, 일자리 대체 불안, 사회기술적 맹목성의 네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측정했다. 7점 리커트 척도(1=매우 동의하지 않음, 7=매우 동의함)를 사용한 측정 결과, AI 기술에 대한 불안감이 낮은 관광객들은 의인화된 AI 홍보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했다(β = 0.054, t = 2.491, p < 0.013). 반면 불안감이 높은 관광객들은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β = 0.005, t = 0.277, p = 0.782).
실제 적용 사례와 의인화 전략의 활용
연구는 의인화 전략의 구체적인 사례도 제시했다. 예를 들어, 2012년 런던 올림픽의 마스코트 웬록(Wenlock)과 디즈니의 미키마우스 활용 사례가 성공적인 의인화 전략으로 꼽혔다. 또한 '어머니 중국(Mother China)'이라는 표현도 의인화 전략의 좋은 예시로 언급됐다. 이러한 의인화 전략은 관광지에 대한 친근감과 이해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AI 관광 서비스를 위한 제언
연구진은 관광지 마케터와 광고 기획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했다. 첫째, 비디오 기반 광고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다. 둘째, 의인화 기법을 광고에 적절히 도입하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셋째, AI 기술이 포함된 관광지의 경우, 기술적 요소를 광고에서 부각시켜야 한다. 새로운 기술은 관광 가치를 더하고 새로운 여행 경험을 제공하므로 관광객의 관광지 이미지 평가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마지막으로, AI 기술 도입 전에 주요 고객층의 기술 수용도와 불안감 수준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해당 리포트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클로드 3.5 Sonnet과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AI Matters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