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PG 남영자 덕주임입니다. 아래 rew. 회원님께서 소개해주신 대로, 윈도우 11에 CPU 제한이 걸려 있다는 소식이 주말동안 여러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궜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윈도우 11, CPU 제한 걸려있다?
<이미지 출처 : 네이버 뉴스 캡쳐, 기사 원문은 ZDNet Korea>
네 맞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곧 출시할 윈도우11은 CPU 제한이 걸려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아주 엄밀히 따지면, CPU를 제한하는 것보다는 TPM 2.0 칩 또는 TPM 기능을 강제하는 것이긴 합니다만, 아무튼 구형 CPU를 사용한 시스템에는 이것이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구형 CPU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윈도우11 설치 자체가 안 되거나, 설치가 되더라도 동작이 제대로 안 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1 : 시스템 요구사항
Compatibility for Windows 11- Compatibility Cookbook | Microsoft Docs
2. CPU 제한, 왜 걸려 있는 걸까? TPM은 또 뭘까?
이번 윈도우11 CPU 제한 소동은 TPM(Trusted Platform Module)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한마디로 구형 CPU/시스템에는 TPM 기능이 없기 때문에, 윈도우 11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TPM이란 말이 생소하게 들리실 수도 있는데요, 일종의 보안 시스템입니다. 아주 오~래전 PC방 초장기 시절에 PC방에서 사용하던 하드웨어 방식의 HDD Sheriff (하드 보안관)을 기억하시는 분들이라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약간 비슷하거든요.
▲ 하드 보안관은 PC를 재부팅하면 기존 세팅값으로 하드를 원상복구 시켜주던 보안 모듈이다
노트북 중에 비즈니스 노트북이라고 부르는 노트북들은 같은 사양인데도 훨씬 가격이 비싼 것을 보셨을텐데요. 비즈니스 노트북은 업무상 기밀을 다루는 경우가 많아서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모두 보안 기능을 강화했습니다. 일종의 TPM이 적용되어 있는 셈이죠.
아무튼 이 TPM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하드웨어 기반입니다. 비즈니스 노트북으로 유명한 HP, 레노버(씽크패드), 델 등에서 내놓는 비즈니스 노트북들은 각각 TPM 기능을 하는 별도의 하드웨어 칩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장장치에 소프트웨어로 설치하는 보안 프로그램은 삭제나 위조, 변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 TPM은 하드웨어 기반이기 때문에 해커의 공격을 훨씬 안전하게 막아낼 수 있습니다.
인텔 8세대 이후의 프로세서와, AMD 라이젠 2000번대 이후의 프로세서는 fTPM(Firmware TPM, 펌웨어 TPM, 인텔의 경우 PTT라고 부름)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서 윈도우 11을 쓸 수 있지만, 그 이전의 CPU는 윈도우 11 사용이 불가능할 전망입니다.
3. 사양의 문제는 아닐까?
네, 사양의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윈도우11의 권장사양을 살펴보면 램 4GB, 저장공간 64GB 이상, CPU 1GHz 이상 듀얼코어 이상 수준입니다. 윈도우10과 비교해도 별 차이가 없는 정도이기 때문에 사양은 문제가 아닐 것입니다. 사양만 놓고 보면 켄츠필드, 샌디브릿지, 불도저와 같은 구형 CPU로도 충분히 구동할 수 있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문제는 TPM에 국한해야 된다는 것이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4. 최신 CPU가 아닌 컴퓨터는 윈도우 11을 전혀 못 쓰는 걸까?
방법이 있긴 합니다. 바로 TPM 2.0 칩을 구매해서 메인보드에 장착하는 것입니다. 위 사진은 제가 포토리뷰로 촬영했던 ASUS Z590-A STRIX 메인보드인데요, 주황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부분이 TPM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곳입니다. 아래에 TPM 이라고 표기된 것이 보이시죠? 이런 최신 메인보드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구형 메인보드에도 TPM 장착 부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곳에 TPM 2.0 모듈을 구매해서 장착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윈도우 11 설치가 가능한 것이죠.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윈도우 11이 TPM 2.0을 강제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TPM 2.0 모듈의 가격이 몇 배로 뛰고 있습니다. 구형 시스템에서 굳이 6만 원이 넘는 돈을 주고 TPM 2.0을 구매해서 윈도우 11을 써야 할까요? 저는 당장은 안 써도 된다는 생각입니다. 윈도우 10도 아직 지원 기간이 충분히 남아 있기 때문에, 느긋하게 윈도우 10을 쓰면서 향후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면 되거든요.
5. 결론
윈도우 11 설치 제한
1. 인텔 8세대 이후 가능, 이전 세대 불가능(TPM 2.0 모듈을 메인보드에 장착하면 가능)
2. AMD 라이젠 2000번대 이후 가능, 이전 세대 불가능(TPM 2.0 모듈을 메인보드에 장착하면 가능)
3. 그래픽카드 다이렉트 12 지원해야 가능
해결방안
1. 최신 CPU를 사용한다
2. TPM 2.0 모듈을 구매해서 메인보드에 장착한다
3. 당분간 윈도우 10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