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정보

롬 라이터로 망가진 바이오스 복구하기 (1)

IP
2021.01.16. 00:24:27
조회 수
3718
3
댓글 수
5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테스트용 시스템을 저렴하게 구해보려고 여러 중고장터를 살피다가 몇주 전에 바이오스에 약간 문제가 있어 싸게 판매하는 i5-2500K와 Z68 메인보드 세트를 업어왔습니다. 처음에는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해결되지 않을까싶어 USB를 이용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시도해봤는데 역시는 역시, 전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그래서 처음부터 예상한 바이긴 하지만 롬 라이터를 이용해 롬칩을 직접 수정하자해서 롬 라이터를 구매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롬 라이터를 이용한 바이오스를 복구하는 방법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사실 롬라이터만 있으면 그리 어려운 작업은 아닙니다. 윈도우 까는 정도의 난이도에 추가로 롬칩만 직접 꺼내거나 납땜되어있는 표면 실장형이면 SOP용 집게를 이용해서 롬 라이터에 연결하는 작업만 하면 됩니다.

이렇게 간단한 작업이지만 저는 이 작업을 하면서 커다란 난관에서 막혀서 진행하지 못했었는데요, 이 해결 방법에 대해서도 적어보려합니다.


먼저 롬라이터가 있어야겠죠. 가장 흔한 CH341A 롬라이터입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저는 마음이 급해 오프라인으로 구매했지만 알리익스프레스를 이용하면 2000원대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4000원대에 구매 가능합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롬 칩을 수정하려면 롬 칩을 꺼내야겠죠. 위쪽 사진의 가운데에 스티커가 붙어있는게 롬 칩입니다. 스티커를 떼면 아래쪽 사진처럼 롬칩이 있는데요, 다행히 제껀 삽입 실장형으로 직접 떼낼 수 있었습니다. 자세히 보면 롬 라이터 위쪽에 반원의 모양으로 각인이 있는걸 알 수 있는데, 이게 칩의 방향을 알려줍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떼어내면 다음과 같이 거미다리같은 것이 붙어있는 칩이 있습니다. 저는 칩을 꺼내다 다리가 좀 휘었는데, 조심히 꺼내시면 안휘게 꺼낼 수 있습니다. 휘어도 다리 위치만 맞춰서 잘넣기만 하면 되긴하는데, 너무 휘면 다시 맞추다가 부러질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랄게요. (사실 한개 뽀사먹어서 알리에서 칩 주문함ㅋㅋ;)



external_image
칩을 확대하면 뭐라뭐라 적혀있는데 사진으로는 잘 안보이네요. 이 칩에는 정확히 winbond 25Q64BVAIG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냥 칩 모델명이라고 보면돼요. 글자의 w 왼쪽에는 반원 모양의 음각이 잘 보이네요.


이제 이 칩을 롬 라이터에 꼽아야하는데 그 전에 롬 라이터의 뒤쪽의 바를 올려줍니다. 올려주면 구멍이 열리는데요, 저기에 칩의 거미다리가 들어갑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이제 사진처럼 칩을 올려놓고 바를 내리면 칩이 롬 라이터에 고정이 됩니다. 아주 간단해요.




여기서 주의할점!!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왼쪽 사진은 롬 라이터의 뒷면이고 오른쪽은 위 사진과 같은 사진인데요, 빨간 네모를 보시면 반원이 어느 방향인지, 또 다리를 어디다 고정시켜야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CH341A는 USB를 꽂는 반대방향을 반원이 바라보도록 하면 되고, 바이오스 롬 칩은 25 SPI BIOS로 사진상으로 가장 왼쪽부터 다리가 들어가면 되요. 사진의 오른쪽은 24 I2C EEPROM이 들어가는 곳이니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이제 롬 라이터를 다른 컴퓨터에 꽂아줍니다.


빨간색 불이 들어오면 제대로 잘 꼽힌겁니다.



이제 손으로 직접하는건 칩을 다시 원래 메인보드에 꽂는것 외에는 없고 그전까지 컴퓨터에서 작업을 하면 됩니다.

저는 윈도우10  64비트 환경에서 작업했습니다.


먼저 아래 파일 다운로드 해주세요.


CH341A-programmer-1.4.zip

2.64MB

롬 라이터 프로그램과 CH341A 드라이버인데요, 먼저 압축을 푸시면 됩니다.



압축을 풀으시면 위와 같은 폴더 하나와 파일이 있는데, 드라이버부터 깔아야겠죠. Driver Install가 드라이버 설치 파일입니다. 열어주세요.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프로그램을 열으시면 왼쪽 사진처럼 뜰텐데, INSTALL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잠시 뒤에 오른쪽 사진처럼 Driver install success!라고 드라이버 설치됐다고 알려줍니다.







내용이 길어져서 다음 글에서 이어 적도록 하겠습니다.

https://dpg.danawa.com/bbs/view?boardSeq=230&listSeq=4585800




더 많은 개조자작기는 여기에서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여객기 님의 다른 글 보기

1/1
해당 게시판 관련 글이 없습니다.
VGA/MB 포럼 인기 글
1/0
해당 게시판 VGA/MB 포럼 인기 글 이 없습니다.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