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뇽하세요. 블루트레이더스 STEAM PACK FX300-5G 128GB SSD
클린 벤치 및 더티 테스트 자료 입니다^^
대만산 ASOLID 컨트롤러는 테스트해 본 적이 없어서
이 제품으로 각종 벤치 테스트를 해 보았는데,,,
파이슨 컨트롤러와 비슷하게 0FiLL 패턴에서 4K 수치가 아주 높게 나옵니다.
각종 벤치 수치 들은 대부분 잘 나오는 편이지만
더티 테스트에서 상하로 아주 큰 진동과 꽤 느리게 진행되는 아쉬운 면을 보여 줍니다.
2만원대 수준의 상당히 저렴한 D램리스 3D TLC SSD 이지만
상하판 알루미늄 하우징으로 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괜찮은 편인 듯 싶습니다.
================================================================================================================
>> 테스트 컴퓨터 제원
테스트 SSD / 블루트레이더스 STEAM PACK FX300-5G 128GB
CPU / intel 코어 i7-2세대 2600K // (3.4GHz @4.5GHz)
SSD / 삼성 850 Pro 256GB (메인 SSD)
보드 / ASUS P8P67 DELUXE (B3)
메모리 / G.SKILL DDR3 PC3-17600 CL7 PI S (2Gx4) // XMP 2,133MHz
그래픽 카드 / ASUS STRIX 지포스 GTX960 DC2 OC D5 4GB // GPU 1,337MHz
HDD / Hitachi 1.5TB Deskstar 7K3000 (SATA3/7200/32M)
파워 / 써멀테이크 스마트 프로 RGB 850W 브론즈 풀 모듈러
팬컨 / LAMPTRON FC5 V2 Black (채널당 30W 4채널)
쿨러 / CORSAIR HYDRO SERIES H100i v2 (120mm x 2열 수냉)
케이스 / 쿨러마스터 CM590 III 블루 LED 윈도우 MID TOWER
기타 / 윈도우7 Ultimate-K SP1 64비트
================================================================================================================
>> Crystal Disk Info
표시 항목이 적은 편은 아닌데 대부분 특성 이름이 제대로 안 나오고
온도가 40도로 고정되어 있어서 아쉽네요.
>> Crystal Disk Mark 테스트
업체 카탈로그에 기재된 공식 스펙은 읽기 560MB/s # 쓰기 465MB/s 인지라
읽기와 쓰기 모두 공식 스펙을 충족시키는 듯 싶네요.
<< 3.0.1 / 5.0.5 버전의 랜덤 벤치 >>
파이슨 컨트롤러 제품처럼 ASOLID 컨트롤러도 랜덤 벤치보다 4K 읽기 수치가 아주 높게 나오고
4K 쓰기 수치도 꽤 높게 나옵니다.
<< 3.0.1 / 5.0.5 버전의 0Fill 벤치 >>
>> Anvil's Benchmark 테스트
쓰기 점수는 잘 나오는 편이라 합계 점수도 꽤 높게 나오는 수준 입니다.
0Fill 패턴은 역시 파이슨 컨트롤러와 유사하게 아주 높은 점수가 나오긴 합니다.
>> ATTO Disk 테스트
ATTO 벤치는 0Fill 패턴으로 진행이 되는지라 전체적으로 고르게 매우 잘 나오는 편 입니다.
>> HD Tune 테스트
약간의 불규칙한 진동으로 진행이 되고 평균 속도는 꽤 높은데 엑세스 시간은 조금 느린 편 입니다.
읽기 그래프는 거의 일직선 가깝게 수평으로 나오고 엑세스 시간이 아주 빠릅니다.
>> AS SSD 테스트
4K-64Thrd 수치가 높은 편이라 읽기 점수가 아주 높게 나오고 합계 점수도 상당히 높게 나옵니다.
>> 더티 테스트
초반부터 아주 큰 진동폭을 보이며 느리게 진행이 되는 편 입니다.
평균속도 50% 미만 구간이 65.9%나 되는지라 상당히 불안정한 듯 싶습니다.
## 더티 테스트 %별 내역
초반부터 속도 변화가 아주 심하며 트림랙은 조금 적은 편이지만 상당히 느리게 진행이 됩니다.
평균 속도가 190MiB/s 정도로 나쁘지 않는데 테스트 시간은 26분 8초로 꽤 느린 편 이네요.
더티 테스트 비교/ 저용량 [120~128GB] (19개)
컨트롤러 자체에 내장된 램을 활용한다고 하던데 용량이 워낙 작은편이라서 그런지
더티 테스트에서 별다른 효과없이 하위권 수준 입니다. (D램 유무는 외장 D램 기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