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래온 더티 테스트는 저장장치에 연속으로 쓰기를 진행해서
트루 스피드의 쓰기 속도를 파악할 수 있는 유틸입니다.
(서브로 장착해서 0%에서 100%까지 풀로 채우는 1회를 돌린 결과 자료 들 입니다.)
고성능 NVMe TLC 제품 들과 D램이 없는 도시바 MLC 제품을 빼고는
거의 모두 MLC > TLC > QLC 수준으로 낸드의 특성을 제대로 보여 줍니다.
(수명 테스트 전용이 아닌 그래프, 속도, 시간 등이 표시되는 신버전이 나온지 오래되지 않아서
저용량 SSD 제품 들은 테스트 수량은 적은 편 입니다.)
[[ 더티 테스트 컴 제원 ]]
## NVMe & 기타 테스트용 커피 8700K 오버 컴
CPU / 인텔 코어i7-8세대 8700K // (3.7GHz @5.1GHz)
보드 / ASUS ROG MAXIMUS X APEX
SSD / 삼성 860 Pro 256GB (메인 OS용)
RAM / G.SKILL DDR4 16G PC4-34100 CL19 TRIDENT Z (8Gx2) // XMP 4,300MHz
그래픽 카드 / AMD SAPPHIRE 라데온 VII HBM2 16GB
HDD / Toshiba Enterprise MG04ACA500E 5TB (SATA3/7200rpm/128M)
파워 / Seasonic P-760 80PLUS PLATINUM (2세대)
팬컨 / LAMPTRON FC5 V2 Black (채널당 30W 4채널)
CPU 쿨러 / DEEPCOOL GAMER STORM CAPTAIN 360 (120mm x 3열 수냉)
RAM 쿨러 / G.SKILL TURBULENCE II FAN White (오버 램 & M.2 쿨링)
케이스 / CORSAIR GRAPHITE SERIES 760T Black
기타 / 윈도우10 Pro 64비트
## SATA3 SSD 테스트용 샌디 2600K 오버 컴
CPU / intel 코어 i7-2세대 2600K // (3.4GHz @4.5GHz)
보드 / ASUS P8P67 DELUXE (B3)
SSD / 삼성 850 Pro 256GB (메인 OS용)
메모리 / G.SKILL DDR3 PC3-17600 CL7 PI S (2Gx4) // XMP 2,133MHz
그래픽 카드 / ASUS STRIX 지포스 GTX960 DC2 OC D5 4GB // GPU 1,337MHz
HDD / Hitachi 1.5TB Deskstar 7K3000 (SATA3/7200/32M)
파워 / 써멀테이크 스마트 프로 RGB 850W 브론즈 풀 모듈러
팬컨 / LAMPTRON FC5 V2 Black (채널당 30W 4채널)
쿨러 / CORSAIR HYDRO SERIES H100i v2 (120mm x 2열 수냉)
케이스 / 쿨러마스터 CM590 III 블루 LED 윈도우 MID TOWER
기타 / 윈도우7 Ultimate-K SP1 64비트
※ 용량별 120GB 환산 시간으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 더티 테스트 결과가 SSD 쓰기 성능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고
테스트 컴과 환경에 따라 차이날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해 주시면 적당할 겁니다.
※ 120GB 환산 시간 기준 ▶ 128G는 6.67% (÷1.067) / 240G는 200.00% (÷2.000) / 250G는 208.33% (÷2.083) /
256G는 213.33% (÷2.133) / 275G는 229.17% (÷2.292) / 480G는 400.00% (÷4.000) / 500G는 416.67% (÷4.167) /
512G는 426.67% (÷4.267) / 1T는 853.33% (÷8.533) / 1.5T는 1280.00% (÷12.800) / 2T는 1706.67% (÷17.067) /
5T는 4266.65% (÷42.667) / 14T는 11946.62% (÷119.467)
#############################################################################
<< 저용량 더티 테스트 >>
# 더디 테스트는 낸드의 트루 스피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지라
도시바 Q300 Pro를 빼고는 MLC가 TLC를 모두 앞서는 결과가 나옵니다.
# 킹다이안 S280 120GB은 총판 문의 결과는 3D TLC라고 답변을 하였는데
더티 테스트 결과를 보면 MLC 낸드가 맞는 듯 싶습니다.
# 도시바 Q300 Pro 128GB는 MLC 제품이면서 D램이 없는지라 더티 테스트에서 느리게 나옵니다.
# AFOX Original 120GB는 사운드 드라이버로 유명한 리얼텍 컨트롤러의 첫 SSD 제품인지라
D램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당히 느립니다.
# ADATA Ultimate SU800 128GB는 AHCI 드라이버 호환성 문제가 발생해서 신품으로 교환을 받았는데
동일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저의 사견으로는 3D TLC의 초창기 장착 제품인지라
실리콘모션 2258 컨트롤러의 펌웨어 완성도가 부족한 듯 싶기도 합니다.)
#############################################################################
<< 고용량 더티 테스트 >>
# 도시바 Q300 Pro 256GB만 빼고 저용량 제품 둘과 마찬가지로 모든 MLC가 TLC보다 빠릅니다.
# 삼성 850 Pro가 A/S 10년으로 출시된 것은 2D에서 3D 낸드를 장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840 Pro와 비슷한 수준의 성능으로 전작 과의 차별화를 위해 A/S 기간을 2배로 늘렸다고 보여 집니다.
(860 Pro는 다시 5년으로 줄인 것은 A/S 기간이 2배로 늘어난 것 때문에 재고 보유와 A/S 비용 증가로
제품값 상승에 영향을 끼치므로 요즘은 A/S 10년 SSD 제품이 안 나오고 있습니다.)
# 삼성 970 EVO 250GB와 960 EVO 250GB는 작은 용량의 D램과 SLC 버퍼의 용량마져 작은지라
더티 테스트에서 SATA3 제품 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 도시바 Q300 Pro 256GB는 128GB와 마찬가지로 MLC 인데도 D램이 없는지라 3D TLC급으로 느린 편입니다.
# 마이크론 크루셜 BX200 240GB은 ADATA Ultimate SU800 128GB와 유사하게
실리콘모션 2256 컨트롤러 초창기 제품이라 펌웨어 완성도가 좋지 못해서 아주 느린 듯 싶습니다.
# 마이크론 2200은 NVMe 제품에다 D램이 장착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성능 하락이 상당히 크고
그래프 또한 5차례의 변동이 생기면서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 줍니다.
# 씨게이트 바라쿠다 120은 TLC 제품 중에서 삼성 다음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여 줍니다.
#############################################################################
<< 대용량 더티 테스트 >>
# 삼성 970 Pro 512GB는 120GB 환산 시간이 채 1분도 안 걸립니다. 역시 최강 삼성 SSD 이네요.
(1테라 제품은 512GB보다 공식 쓰기 스펙이 400MB/s 더 빠른지라 50초가 안 넘을 수도 있을 듯 싶습니다.)
# SSD는 “용량이 깡패”라고 하듯이 TLC NVMe 1테라 제품 들은 SATA3 MLC 제품 들 보다 휠씬 빠릅니다.
그래서 TLC NVMe 제품은 480GB 이상으로 구매하시는 것이 매우 좋아 보입니다.
# 삼성 970 EVO Plus 1TB와 WD Black 3D 1TB는 TLC 임에도 불구하고 더티 테스트 결과가 아주 좋습니다.
# 도시바 Q300 Pro 1TB는 D램이 장착되어 있지만 용량이 적어서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듯 싶습니다.
# 마이크론 크루셜 P1 1TB는 QLC 제품답게 NVMe 제품임에도 대용량 제품 중에서 가장 느립니다.
# DIGIFAST Ace는 삼성과 WD TLC 제품처럼 2분대 미만의 속도로 참 좋아 보입니다.
#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20은 PCIe4.0 제품인데 인텔 컴은 PCIe3.0 밖에 지원이 안 되는지라
PCIe3.0에서의 테스트 결과 입니다.
#######################################################################
<< 기타 더티 테스트 >>
# 샌디 익스트림 프로 CZ880 128GB는 SSD 컨트롤러 장착 USB 제품이라 SATA3 MLC SSD급으로 아주 빠릅니다.
# 도시바 엔터프라이즈 2TB 하드는 평균 속도가 느리지만 트림랙이나 딜레이 증상이 없이 꾸준히 진행이 되는지라
상급 TLC SSD 제품 수준으로 잘 나오는 편입니다.
D램이 없는 대부분의 저가 TLC SSD 들 보다 120GB 환산 시간이 더 빠른 편이라
자료 보관이나 백업용으로는 역시 하드가 좋을 듯 싶습니다.
# 씨게이트 아이언울프 14TB 하드는 120GB환산 시간이 9분대에 진입하는 뛰어난 더티 성능을 보여 줍니다.
#######################################################################
#######################################################################
용량 구분없이 SATA3 SSD와 M.2 SSD를 구분해서 추가 표를 작성하였습니다.
<< SATA3 SSD 더티 테스트 >>
<< M.2 SSD 더티 테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