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인: "튼튼" (다나와 닉네임)
[ 카페: http://cafe.naver.com/pcwatch
이메일: pionjhw7@naver.com ]
안녕하세요? 튼튼입니다.
이번에 "필드 테스트 (이하, 필테)"를 작성하게 된 제품은 "topower TOP-600DS Single Rail 80PLUS Bronze Rifle 파워 서플라이" 입니다. [이하, 파워]
(1부)
제조사 (또는 수입사)는 "탑파워 코리아" [http://www.topower.co.kr/ (주) 비욘드탑 T.070-8292-4242] 입니다.
"탑파워"(Topower)는 세계적인 파워 전문 메이커로 파워 관련 특허를 많이 보유한 파워 전문업체입니다.
* 본 제품에 대한 정보:
http://prod.danawa.com/info/?pcode=6544208&cate=112777
본 파워는 2018년 10월 가격비교 사이트에 등록된 신제품입니다.
현재 현금 최저가 기준으로 5만원대 초중반 가격의 메이커 정격 파워로는 가성비 좋은 제품입니다.
제품의 특징은 정격 600W, 액티브PFC 회로 탑재, +12v 싱글레일, 프리볼트 기본 지원, 80PLUS 브론즈 인증, 케이블 올 슬리빙 처리, 라이플 베어링 저소음 쿨러, 무상 5년 지원입니다.
필테의 순서는 위와 같으며 1부에서는 제품의 외형과 내부만 살펴 보겠습니다.
본 필테를 진행하는 사용자는 일반 유저로 파워 부분에 대한 전문가이거나 테스트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내용상 오류가 있을 수 있고 가급적 객관적으로 서술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일부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을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필테를 통하여 제품에 대한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 둡니다.
위와 같이 제품에 잘 도착하였습니다.
파워 제품의 박스 외부 모습입니다.
박스 밑면.
위와 같이 봉인 처리가 되어 미사용 제품임을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개봉한 모습.
전체 내용물.
재사용 가능한 벨크로 타입 케이블 타이가 기본 동봉되어 있습니다.
나사팩.
파워 케이블도 위와 같이 개별 포장되어 있습니다.
위에는 동봉된 기본 메뉴얼.
이 제품만을 위한 건 아니라 공통적으로 같은 메뉴얼이 동봉된 듯 합니다.
위 메뉴얼 내용 일부.
위 표시된 부분은 본 제품과 가장 가까운 내용인데요.
실제 본 제품의 DC-OUTPUT과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2부 참조)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다만, 내용이 영문입니다.
위에는 메뉴얼 후면.
메뉴얼 후면 근접.
AS 센터 국내 주소, 전화번호가 나옵니다.
위 파워의 개별 포장 상태.
파워의 모습.
위 파워의 통풍구 모습.
"Full Range" 문구는 본 제품이 프리볼트 제품임을 알려 줍니다.
쿨러 반대편 부분.
위와 같이 액티브PFC 회로가 탑재된 제품임을 알 수 있으며 시리얼 넘버로 관리되는 제품임을 알 수 있는데요.
시리얼 넘버의 구조상 제품명과 18년 09월 제조 제품임을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체 시리얼 넘버 중 일부는 가렸습니다.)
위에는 내부측 보조 통풍구 부분입니다.
파워에 따라서 내부측으로 위와 같이 작은 통풍구를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에는 제조년월을 알 수 있는 스티커.
제품의 모든 케이블은 올 슬리빙 처리가 되어 있어서 배선 정리가 편합니다.
쿨러 부분 모습.
고급스럽게 처리되어 있습니다.
가운데 80PLUS 부분은 스크레치 방지용 필름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사용시 필름을 제거해도 됩니다.)
이제, 지원되는 커넥터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위에는 주 커넥터로 20+4핀 구조이며 위와 같이 결합되는 간편한 타입은 탑파워만의 고유 특허입니다. (참고로 다른 업체들도 위와 같은 타입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탑파워에 로열티를 제공하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위에는 그래픽카드를 위한 보조 커넥터(6+2핀)입니다.
간혹 CPU를 위한 보조 커넥터(4+4핀)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위와 같이 커넥터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쉽게 구분하도록 하였습니다.
위와 같이 2+6핀이 잘 결합되는 구조이며 위 구조도 탑파워의 고유 특허입니다.
위에는 보조 4+4핀 커넥터.
그래픽카드를 위한 6+2핀 커넥터와 혼동하면 안됩니다.
다음은 2개의 라인으로 지원되는 S-ATA 커넥터.
총 6개가 기본 지원됩니다.
위에는 IDE 커넥터로 1개의 라인으로 총 4개가 기본 지원되며 1개의 FDD 등을 위한 커넥터가 지원됩니다.
현재는 일반적으로 FDD를 사용하지 않지만 간혹 내장형 카드 리더기 같은 장치가 위 커넥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어서 위 커넥터가 있으면 나름 요긴할 때가 있습니다.
제품의 봉인 스티커로 임의 개봉시 훼손되는 타입으로 되어 있으며 위 봉인 스티커 훼손시 무상 AS에 불이익이 있으니 개봉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제 내부를 살펴 봅니다.
위에는 내부에서 본 쿨러의 모습입니다.
쿨러 근접 사진.
본 제품은 라이플 베어링의 저소음 쿨러가 사용되었습니다.
쿨러는 PCB와 커넥터 타입으로 연결되며 추후 AS시 쉽게 교체가 가능한 구조입니다.
다른 각도에서의 모습.
파워 내부 전체 모습.
다른 각도에서 파워 내부 전체.
위에는 EMI 필터 부분입니다.
다른 각도에서 한 컷.
EMI 필터 옆 모습.
위에는 접지 부분.
위 접지 부분 아래로 커넥터 고정 부분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위와 같이 나사로 고정된 타입을 선호합니다.
고정 부분의 외부측 부분.
이런 구조가 파워 케이블을 연결하고 분리시 안정감이 있습니다.
제품의 정류 부분.
저가 파워에는 위 정류 부분이 없거나 간략하게 처리된 경우가 많습니다.
정류 부분 다른 각도에서 한 컷.
위 표시된 부분은 퓨즈입니다.
콘덴서 부분.
액티브 PFC 회로가 탑재되어 400v, 330uF 용량의 "TEAPO"사 제품이 사용되었습니다.
위 콘덴서의 내열 온도는 105도 타입으로 되어 있습니다. (위 화살표 부분 참조)
위에는 스위칭 트랜스 부분입니다.
정격 파워에서 안정적이고 고른 전원을 공급하려면 위와 같은 페라이트 코어가 빠질 수 없습니다.
페라이트 코어 부분, 다른 위치에서 한 컷.
제품의 방열판은 위와 같이 방열 면적이 극대화된 구조입니다.
방열판 다른 각도에서 한 컷.
위에는 출력부 부분입니다.
위와 같이 수축 튜브로 배선을 마감하는 방식은 고급 파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마감 방법입니다.
출력부 배선 마감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제품 케이스와 PCB 사이에는 쇼트 방지 필름이 전체적으로 PCB를 감싸는 듯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위 쇼트 방지용 필름 처리 부분.
위에도 동일한 쇼트 방지 필름 처리 부분.
위와 같이 PCB도 깔끔한 구조이고 제품들도 가지런히 배열되어 있습니다.
이상으로 제품의 외형과 내부에 대한 1부를 마치고 그외 부분은 2부에서 살펴 보겠습니다.
커밍 순~
-------------------------------------------------------------------------------------------
* 원본 업로드:
https://dpg.danawa.com/bbs/view?boardSeq=264&listSeq=3768700
* 그외 업로드:
https://cafe.naver.com/pcwatch/55184
https://cafe.naver.com/storagesamo/6128
http://playwares.com/index.php?mid=userreview&category=37297109&document_srl=57038671
https://cafe.naver.com/danawaevent/70813
https://cafe.naver.com/meyouand/738
https://cafe.naver.com/topowerkorea/1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