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장장치는 무조건 다다익선이라고 생각하는 남자 자스민입니다.
영상 편집 작업 파일들이나 사진과 소스영상들을 보관하느라 저장장치가 많이 필요하기도 하고
외부에서 작업 후 바로 업로드를 해야하는 상황들이 종종 있어서 웹하드를 이용하다가
속도나 비용면에서 아쉬움을 느껴서 얼마전부터 시놀로지 나스를 개인서버처럼 활용하고 있는데요. 그러다보니 하드디스크들이 한두개씩 늘어나기 시작했고
그 중에서도 웨스턴디지털(WD)사의 제품들이 가장 많습니다.
(WD사의 2.5인치 외장하드도 10여개 정도 가지고 있지요 ㅎㅎ)
최근에도 2TB짜리 하드디스크를 하나 구입했는데요.
예전에 구입했던 같은 용량의 하드디스크들에 비해 가벼운 무게가 특징이었어요.
참고로 Western Digital은 색깔별로 다른 컨셉의 하드디스크를 출시하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제가 이번에 구입한 WD BLUE 블루 버전은 멀티태스킹에 특화된 하드디스크입니다.
웨스턴디지털사는 하드디스크 등 저장장치 분야에서 세계에서도 탑클라스의 회사라서 안정성이나 기본적인 성능, A/S등에 대해서는 더 이상 말할 필요도 없을 정도고
컴퓨팅, 게이밍 및 NAS에서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센터 및 CCTV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황에 따른 요구 사항에 적합한 전용 스토리지 라인업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WD 제품 컬러에 따른 구분 (GREEN : 일반 컴퓨팅 / BLUE : 멀티 태스킹 / BLACK : 게임, 고사양 / RED : NAS / PURPLE : CCTV)
그래서 용도와 가격에 맞는 하드디스크를 선택해서 사용하면 좋은데요.
저는 예전에 WD의 NAS하드인 ultrastar DC HC330 패키지(10TB)를 사용했을때
안정성과 빠른 속도 때문에 만족도가 높았던 기억이 있네요.
이번에는 시놀로지 나스 서버용으로 사용할 안정적이면서도 가격은 합리적인 스토리지를 찾고 있었기 때문에
웨스턴디지털의 WD ultrastar DC HC310 패키지(7200/256M) HDD 4TB를 사용해보게 되었습니다.
일반 HDD처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NAS하드용도로 나온 제품이기 때문에 저처럼 시놀로지 나스 또는 다른 나스 서버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쓰면 좋을 것 같아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7616842
제품은 박스 안에 스티로폼으로 잘 고정되어 있고 겉면도 재전봉투(정전기 차단) 밀봉처리가 잘되어 있었습니다.
WD Ultrastra SATA Series의 경우 제가 사용한 4TB 모델 외에도 최대 14TB 까지 다양한 용량으로 출시가 되어 있기 때문에 본인의 데이터 사용량을 감안해서 선택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패키지 형태라서 1개, 2개, 4개 단위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저처럼 1DACK NAS를 이용하는 분들은 1PACK 제품을, 복수의 HDD를 장착하는 NAS 제품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2PACK, 4PACK 제품을 구입하면 됩니다. 그 외에도 3년 제한 보증이라는 부분도 꽤 맘에 드는 점이구요.
WD에서 출시한 Western Digital Ultrastar DC HC310 패키지 HDD는
7200RPM의 속도, 256MB의 버퍼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SATA3 (6Gb/s) 인터페이스와 최대 255MB/s 의 연속 전송 속도로 신속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제품입니다.
예전 NAS 하드디스크들과 달리 조용함은 물론 안정성과 빠른 속도까지 갖춘 나스용HDD입니다. 뒤에 필드테스트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일반적인 하드디스크들보다도 빠른 속도를 보여주는 제품이었습니다.
4TB의 하드디스크이긴 하지만 기존에 쓰던 1~2TB 일반 3.5 하드디스크와 크기는 동일하며 무게는 오히려 가벼웠습니다. (715g)
한쪽면에는 기판이 달려있고, 아래쪽에는 파워와 SATA 단자가 달려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여주는지 제가 가진 하드베이 와 시놀로지 NAS를 활용해서 필드테스트해봤습니다.
참고로 코로나 이후로 저처럼 프리랜서나 재택근무로 일하는 개인들도 많아지고, 소규모 사무실을 쓰는 경우에도 대형 서버보다는 시놀로지 등의 NAS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WD Ultrastar DC HC310 패키지 HDD는 이런 개인이나 소규모 사무실에 특화된 NAS 전용 스토리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특히 HC310시리즈는 4TB 또는 6TB 의 용량의 HDD를 구성할 수도 있어서 보급형 서버 스토리지로 사용하기 좋고 가격적인 부담이 없는 제품이죠. 저는 시놀로지 NAS DS120j 모델에 장착해서 사용중입니다.
테스트 시스템 사양
CPU : AMD 라이젠5 3600
그래픽카드 : AMD 라데온 RX580 8G
메인보드 : ASUS 애즈락 A320M-DGS
램 : 32G (삼성 16G x 2개 3200MHz)
파워 : 잘만 MegaMax 700W
그 전에 NEXT 사의 2Bay 하드베이에 장착해서 먼저 포맷부터...
크리스탈디스크info로 확인했을 때 온도도 30도 초반으로 발열도 거의 없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줬고 홈페이지에 공시된 것과 동일한 사양으로 나타났습니다. 배드섹터나 오류도 없는 모습을 보여주네요.
크리스탈마크로 진행한 측정결과입니다. 약 220MB/s의 읽기쓰기 속도를 보여주는 모습인데요.
제가 가진 다른 HDD들에 비해 상당히 빠른 속도였습니다.
비교대상으로 테스트해본 HDD는 WD BLACK 1TB 제품과 (7200RPM), 이번에 새로 구입한 WD BLUE 2TB (5400RPM) 제품이었는데요.
7200RPM의 최근에 나온 일반 HDD에 비해 70% 정도 더 빠른 속도를 보여줬습니다.(동일한 테스트 환경에서 진행)
2번째로 HD Tune Pro 를 가지고 테스트를 해봤는데요. 크리스탈 마크 점수와 거의 비슷하게 측정되었고 일반 하드디스크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를 보여줬습니다.
* WD ultrastar DC HC310 4T HDD
이번에는 시놀로지 NAS 에 장착해줬는데요. 커넥터에 꽂은 후 나사로 조여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NAS에 HDD를 장착하고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시놀로지 제품의 NAS용 하드를 교체하게 되면 처음 설치할 때와 동일하게 DiskStation Manager 를 설치하면서 시스템 파티션 포맷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요.
이후 정상적인 제품인지 스마트 테스트도 진행해봤는데요. 시놀로지 나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HDD라는 것이 확인되었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모습입니다.(이번 달에 인터넷을 100MB에서 1G 광랜으로 바꿨더니 살 것 같네요. ㅎㅎ)
이번에 시놀로지NAS 하드로 사용해 본 Western Digital Ultrastar DC HC310 패키지 7200/256M 는
4TB 제품부터 최대 14TB까지 다양한 용량으로 출시되어 있어서
저처럼 재택근무 비중이 높은 프리랜서나 직장인, 또는 소규모 사업장에서 사용하기에도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일반 HDD에 비해 빠르지만 조용하고 낮은 발열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나스용 HDD 제품이지만 가격이 비싸지 않아서 NAS를 처음 사용하는 분들에게 나스용HDD추천하고 싶은 제품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