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피스 랩탑3 개봉기에 이어 서피스 랩탑3의 성능 위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벤치마크
벤치마크를 통해 CPU, 메모리, SSD, 그래픽 성능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벤치마크는 배터리, 전원연결 2가지 상태에 대해 각각 전원옵션 최고 성능과 전원 옵션 권장으로 총 4가지를 측정하였습니다.
일부 벤치마크 툴의 경우 노트북용으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할 수 있으나 참고용으로 넣었습니다.
모든 벤치마크의 좌측은 전원 옵션 권장이며 우측이 최고 성능입니다.
(1) CPU
배터리 상태에서 CPU-Z 에 있는 벤치마크 툴로 CPU의 성능을 측정한 모습입니다. 좌측은 전원옵션 권장, 우측은 최고 성능입니다. 최고 성능일 때 전원옵션 권장 대비 상당히 높은 점수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전력제한 등의 옵션이 풀리면서 CPU가 더 고 클럭을 유지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서피스에 전원을 연결할 상태입니다. 마찬가지로 좌측은 전원옵션 권장상태이고 우측은 최고 성능입니다.
전원이 연결된 경우에는 전원옵션 권장인 경우와 최고 성능인 경우의 점수차이가 크지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전원이 연결되면 더 높은 전력제한을 두어 CPU 클럭을 잘 유지하는 것 같습니다.
CPU-Z 벤치마크 상 배터리 사용 중에서도 전원옵션을 성능모드로 하면 전원을 연결한 것과 거의 비슷한 점수가 나옵니다. 그리고 이 점수의 경우 인텔 6세대 i7 데스크탑 프로세서인 6700K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CPU 벤치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는 시네벤치입니다. 노트북용 프로세서에 아주 적합한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참고용으로 넣어보았습니다.
좌측은 배터리 사용 전원옵션 권장, 우측은 배터리 사용 - 전원 옵션 최고 성능입니다. CPU-Z와 유사하게 전원옵션을 최고 성능으로 한 경우 약 1.5배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전원 연결을 한 경우입니다. 좌측은 전원옵션 권장, 우측은 최고 성능입니다.
최고 성능의 경우 배터리 사용과 비슷한 점수를 보였으며 전원 옵션 권장의 경우 배터리 사용보다 조금 나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CPU-Z 벤치 툴보다 동작시간이 길고 CPU 사용도 큰 만큼 전원 연결 상에서도 권장과 성능옵션이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전원 옵션 성능 기준으로 기존 6세대 i7 노트북 프로세서인 6700HQ와 비슷한 점수를 보여주고 있으며 7세대 i7 데스크탑 프로세서에 비해서는 부족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위 2가지 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서피스 랩탑 3의 프로세서 성능은 스카이레이크 기반인 6-7세대 i7 노트북 프로세서와 비슷하며 데스크탑 프로세서보다는 조금 밀리는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CPU 온도
위 온도는 전원옵션 성능상태에서 시네벤치 5회 구동중 최고 CPU 최고 온도를 측정한 것인데 최고 80도를 보여줍니다. 아마 프로세서가 80도가 넘는 경우에는 클럭 다운을 통해 온도 제어에 들어가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때문에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 사용하면 더 클럭을 더 오래 유지하여 높은 성능이 가능하며 온도가 높은 환경은 클럭 유지를 오래동안 하지 못해 더 낮은 성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메모리
배터리 상태에서 메모리 및 캐쉬 메모리의 읽기, 쓰기, 복사 속도, 레이턴시 입니다.
고성능으로 하였을 때 읽기, 쓰기, 복사, 레이턴시 모두 좋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치상으로 상당히 차이가 납니다. 고성능 상태에서 메모리의 읽기, 쓰기, 복사 속도 등은 현재 사용되는 데스크탑과 비교해도 유사한 수준입니다. 다만 메모리 레이턴시의 경우 데스크탑에 비해서 다소 느립니다.
전원 상태에서 결과입니다. 전원상태에서는 권장 모드인 경우에도 성능 모드와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성능 모드에서는 배터리 사용과 전원 연결에 따른 큰 차이가 없습니다.
(3) SSD
SSD의 경우 전체적으로 큰 속도차이는 나지 않았습니다. 다만 배터리 사용시 4k 속도가 성능모드가 권장모드보다 확실히 빠릅니다.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 모드에 따른 큰 성능차이가 없었습니다.
NVMe 인터페이스의 SSD가 사용된 만큼 전체적으로 SSD 속도는 상당히 훌륭합니다. 읽기속도는 최대 2000, 쓰기속도는 800 정도로 나오고 있으며 실제 체감과 성능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 4K 속도도 역시 준수합니다.
NVMe SSD인 만큼 일반 SATA SSD나 HDD와는 확실한 속도차이가 있습니다.
(4) 그래픽 성능(3dmark fire strike)
그래픽 성능은 3dmark firestrike를 이용해 측정하였습니다. 역시 내장 그래픽이 적용된 제품에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는 않지만 그래픽 카드 성능 툴로 가장 대중적이며 비교가 쉬워 사용하였습니다.
Graphics score는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대변하며 CPU에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Physics score의 경우 CPU의 연산능력을 측정하여 CPU의 성능을 대변합니다.
성능 옵션인 경우 배터리 사용과 전원 사용은 사실상 동일한 결과값을 보여주었으며 권장 옵션일때는 전원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습니다.
전체적인 결과의 경향성은 다른 벤치마크 결과들과 유사합니다.
다만 서피스 랩탑3에 적용된 iris plus graphics의 성능이 내장 그래픽 치고는 상당한 수준이었는데 인텔 하위 라인업에 들어가는 내장 그래픽인 UHD graphics의 2배 이상의 점수이고 과거 노트북용 외장 그래픽인 지포스 945M과 비슷한 점수입니다.
피직스 스코어 역시 상당한 수준인데 위의 CPU 결과와 마찬가지로 인텔 6-7세대 i7 데스크탑 프로세서보다 조금 미치지 못하는 정도입니다.(8-9세대 i5 데스크탑 프로세서보다 조금 떨어집니다.)
(5) 종합
상당히 얇은 두께와 가벼운 무게를 생각했을 때 전체적인 하드웨어의 성능은 수준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온도가 많이 높은 경우만 아니라면 충분히 좋은 성능으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되며 노트북 쿨링팬 등을 함께 이용하면 영상편집 등의 작업에서 시간을 조금 더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높은 성능을 위해서는 전원옵션 - 최고 성능을 사용해야 하는데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터리 소모속도가 빨라집니다. 또한, 발열도 보다 커지기 때문에 쿨링팬의 돌아가는 속도 역시 평소보다 커지기 때문에 상황에 알맞는 사용이 필요합니다.
2. 배터리
- 배터리 사용 시간
전원 옵션 권장, 밝기 75%, 유튜브 동영상 연속재생, 오디오 이어폰 사용 기준으로 배터리 소모입니다.
위 기준에서 6시간 이상 배터리 사용이 가능합니다. 문서작업, 웨서핑 등을 주로 한다면 6시간 이상 사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충전
서피스 커넥터에 충전기를 연결하면 하얀색 LED가 들어옵니다. 충전기는 최대 65W를 지원하는 충전기입니다.
- 충전전력
전원 off 상태에서 충전전력입니다. 약 30W로 충전이 됩니다. 배터리 용량이 약 45Wh이기 때문에 30W로 일정하게 충전이 된다면 90분 정도에 완충이 가능합니다. 물론 배터리 충전과정에서 배터리가 충전됨에 따라 충전 전력이 조금씩 줄어들기 때문에 실제 충전시간은 그것보다 조금 길어집니다.
전원을 키고 있는 경우에는 30W 이상의 전력이 어댑터에 공급되며 전력이 최대 60W 근처까지 변합니다. 예상으로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력 역시 어댑터에서 공급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때문에 많은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을 킨 상태에서 충전과 끈 상태에서의 충전이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습니다.
*배터리 관련 부분은 1회 측정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전송
외장 SSD -> 서피스 랩탑3와의 데이터 전송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좌측에 있는 type-C 단자를 사용하였으며 해당 단자는 USB 3.2 Gen2를 지원하고 사용된 외장 SSD는 USB 3.2 gen2 환경에서 최대 1000MB 수준의 읽기 쓰기 속도를 지원합니다.
외장 SSD에서 서피스 랩탑 3로 데이터를 복사하는 중입니다. 초기에 1000MB/s 정도를 잠시 유지한 후에 350MB/s 정도로 수렴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읽기 속도의 경우 대용량 데이터를 읽더라도 속도 변화가 적은 것을 감안할 때 서피스 랩탑 3에 적용된 SSD가 대용량 파일 쓰기 씨에 약 350MB/s의 속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장장치에서 지속적으로 파일쓰기를 하는 더티테스트 역시 비슷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초기에 빠른 속도로 동작하다가 이후에 약 360MB/s 의 속도로 쓰기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초기 속도를 끝까지 유지하지는 못하지만 NVMe SSD가 적용된 만큼 상당히 빠른 속도로 쓰기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에서 데이터 전송 등이 느려서 답답할 일은 별로 없어보입니다.
4. 무선 인터넷 속도
500M의 인터넷을 사용하는 제 집에서 무선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였는데 500M에 거의 근접한 속도가 측정되었습니다.
WiFi 6(802.11ax)을 지원하는 무선랜카드가 적용되어 있으며 기존 802.11ac 역시 지원하기 때문에 1기가 이상의 인터넷을 사용하는 분들도 인터넷 속도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대부분의 환경에서의 호환문제는 없을거라 예상됩니다. (물론 공유기가 지원하는 무선 인터넷 최대 속도가 1기가가 되지 않는다면 속도가 공유기에 맞춰서 낮게 측정됩니다.)
5. 영상재생 하드웨어 가속
영화감상, 인강 등 영상 시청은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노트북의 주 용도 중 하나입니다.
노트북에서 고화질 영상을 끊김없이 시청하기 위해서는 그래픽카드의 하드웨어 가속이 상당히 중요한데 그 기능을 유튜브 4K 영상 재생을 통해 확인해 보았습니다. 배터리 사용, 전원 옵션 권장
유튜브에서 4K 영상(해상도 4K 설정)후 CPU 점유율은 10% 이내로 나왔으며 그래픽카드 점유율이 20%까지 상승하였습니다. 그래픽카드의 하드웨어 가속 기능덕분에 4K 영상을 재생하여도 CPU자원을 최소화 하고 끊김없이 재생이 가능했습니다.
메모리와 CPU 자원이 남기 때문에 고화질 영상을 재생하는 다른 문서작업이나 웹서핑 등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6. 성능 총평
서피스 랩탑3은 일반적인 노트북 대비 아주 얇은 두께와 무게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능 자체는 상당히 강력한 편입니다. 기본적으로 사용된 인텔 i5-1035G7의 경우 기존 세대의 i7과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NVMe SSD가 적용되어 데이터 전송, 파일 쓰기 등의 작업을 상당히 쾌적하게 할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 6을 지원하기 때문에 인터넷 속도 역시 주변의 무선 인터넷 환경만 빠르다면 그 속도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그래픽 성능도 타 내장그래픽에 비하면 상당히 좋은 편입니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일반적인 사무작업, 영상 감상 등에서는 충분하고 남는 성능을 제공하는 수준이며 고사양 게임이 아니라면 옵션 타협을 통해 플레이가 수준의 스펙입니다.
"본 리뷰는 체험단을 통해 제품을 대여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