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느세 라이젠 4세대가 나온 요즘, 작년 요맘때 PC를 조립한 저는 여러 고민에 빠졌답니다.
제컴퓨터야 그냥 쓰면 되지만, 여기저기 조립도 해주고 부품 추천도 해주다보니..
현재 구하기가 쉽지 않은 4세대를 굳이 추천해야하나.. 라는 생각이..
게다가 날이갈수록 하늘높은줄 모르고 치솟는 컴퓨터 부품가격에 돈없는 저같은 라이트 유저는 더더욱 힘들어 지구만 있네요..
예전에는 이렇게까지 비싸지가 않았던 것 같은데.. 예전이 그립네요.
요즘 누가 컴퓨터 조립해달라고 하면 그래서 항상 가성비에 맞춘 부품을 선택해 주곤 하는데요.
저렴하게 조립을 원하는 지인들에게는 항상 가성비가 가장좋은 CPU인 라이젠 3300X를 추천해준답니다.
오늘은!! 다나와에서 제품을 제공해주신 덕에 저도 3300X를 테스트 해볼 수 있게 되었네요!
대원CTS에서 유통하는 라이젠3 3300X는 3년 AS를 보증하는 CPU인데요.
CPU가 사실 초기불량이 아니면 고장날일이 없긴 하지만 그래도 업는것보단 낫겠죠!
박스안에는 역시 인텔과는 다르게 쓸만한 기본쿨러인 레이스 스텔스와 함께 CPU가 들어있습니다. 라이젠3300X는 처음에 나왔을때 참.. 가성비가 너무 좋아서 팀킬을 한다고 해서 욕을 많이 먹었던 CPU죠..
중저가용으로 나온 3300X가 같은세대 3500~3600까지 팀킬을 하는 수준이였으니..
오늘은 3300X의 테스트도 할 거지만 제가 사용하는 3600X와의 비교테스트를 주로 해 볼 거랍니다! 그럼 스펙부터 하나하나 보시죠!
라이젠 3300X와 3600X의 스펙비교
위 표를 보면 라이젠 3600X와 3300X는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CPU라는걸 알 수 있는데요. 같은 3세대이지만 3600X는 2019년 3분기 출시를 하였고, 3300X는 2020년 2분기 출시를 해서 조금더 늦게 나왔음을 알 수 있구요. 3300X는 쿼드코어&8쓰레드로 기본 3.8에 최대 4.3GHz의 클럭을 보여주지만 3600X는 헥사코어&12쓰레드의 4.4GHz 최대클럭으로 눈으로 보기에는 성능이 비슷하지만 무려 두개나 코어수가 차이남은 물론 가격도 최저가 기준 6만원정도나 차이나는 제품입니다.
눈으로 보기에는 일단 코어가 많은 3600X가 조금더 좋아보이긴 하네요. 그럼 오늘 테스트해볼 라이젠 3300X가 왜 가성비가 좋다고 그렇게들 추천하는지 벤치마크 비교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죠!
테스트 PC는 위 사양으로 맞추었습니다. 애초에 라이젠 3600X에 사용하던 시스템이라 가성비와는 쪼~~금 떨어진 느낌이지만.. 테스트하기엔 딱 좋을듯 하네요. 3300X가 과연 RTX2060의 성능은 얼마나 뽑아줄지, 3열 수냉에서 CPU의 온도는 3600X와 얼마나 차이날지가 아주 궁금하네요. 그럼 하나하나 테스트를 해보록 하겠습니다.
CPU-Z의 정보로는 희안하게 3600X는 AMD Ryzen 5 3600X라고 나오는 반면 3300X는 그냥 AMD Ryzen 3라고 나오네요..? 이건 아무래도 제 PC에 설치되어있는 CPU-Z의 문제인것 같으니 그냥 넘어가고 ㅋ 7nm 공정 MAX TDP, 코어수, 쓰레드 수까지 정확하게 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아주 간단하게 누구든 할 수 있는 CPU-Z 벤치마크 인데요. 어라? 멀티코어 점수는 코어가 두개나 많은 3600X가 높은건 당연하겠지만 싱글쓰레드 점수가 3300X가 더 높네요? 이유는 아마 CCX의 차이인것 같은데요.
잘 설명이 될까 모르겠지만 왼쪽의 모습이 기존 라이젠의 모습입니다. 기존에는 4코어를 넣는다고 가정할때 두개의 판에 각각 2개씩 나눠 넣었던 반면, 3300X는 한개의 판에 4개의 코어를 전부 넣어서 레이턴시를 줄여서 속도를 더욱 올린것이죠. 쉽게 설명해 드리자면 손이 두개인 사람 두명에게 일일히 명령을 하여 장난감을 조립하는것과 손이 네개인 사람에게 한번만 명령해서 장난감을 조립하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 명령과 결과 확인을 두군대서 해야하는것과 한곳에서만 하는 정도의 차이로 더욱 간소화 해서 성능을 극대화 한것이죠!
많은 분들이 테스트하는 3D Mark의 타임스파이와 파이어 스트라이크를 테스트 해 보았는데요. 3300X와 3600X가 약간의 미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지만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성능 차이는 아닌듯 하네요. 실제로 예상 게이밍 퍼포먼스 면에서도 모두 같은 결과를 보여줄 정도였습니다.
작업영역의 테스트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씨네벤치 테스트를 해 보았는데요. 3300X의 멀티코어 성능은 5700점, 싱글코어는 1249점으로 멀티코어 가 9천점 가까이, 싱글코어 1267점이 나온 라이젠 3600X와의 비교에서도 멀티코어에서는 어쩔수 없이 떨어지지만 싱글코어 테스트 점수에는 거의 맘먹는 모습을 보여주네요. 멀티코어를 빡씨게 쓰는 렌더링 테스트인만큼 3600X가 약간 우세한듯 보이네요.
아마 3300X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실 것 같은 테스트는 바로 게이밍 테스트겠죠? CPU의 IPC 성능이 중요한 게임 테스트인만큼 IPC가 극대화된 3300X의 성능이 특히 기대가 되네요!
우선 가볍게 해보는 라이즈오브 툼레이더 인데요. 머 사양을 그렇게 타지 않는 게임인만큼 3300X는 종합점수 112.59FPS, 3600X는 122.69FPS가 나왔습니다. 약 10프레임 정도가 나오긴 하는데 이미 60프레임 이상이기 때문에 의미가 거의 없는듯 하네요..ㅎ
라이젠 3600X 라이즈오브 툼레이더 벤치마크
https://blog.naver.com/dkzmalfmr/222158306266
(퍼오기가 안되네요..궁금하신분들은 블로그로 오셔야 할듯 하네요..ㅠ)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라이젠 3300X와 3600X의 인게임 체감은 차이를 전혀 느끼지 못할정도였습니다. 그다음은 고사양 CPU테스트를 할때 많이들 하는 쉐도우 오브 툼레이더!
어라?!? 결과를 보고 정말 깜짝 놀랐네요. 희안하게 라이젠 3300X가 훨신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역시 사양을 많이 타는 게임일수록 레이턴시가 아주 중요한것 같네요. 그래프를 보니 뭔가 이상한게 그래픽카드 병목이라도 일어났나..
3300X
3600X
왜인지 모르겠지만 실제로도 프레임이 더 나오네요. 확실하게 체감이 될정도로.. 어쨌든 게이밍 성능이 비슷하게 나오거나 더 잘 나온다니.. 역시 예상대로 게이밍 성능에서 제대로 팀킬을 하네요.
3열 수냉에서의 온도는 어떤지 참고하실 분들은 참고하시라고 스트레스 테스트도 해 보았습니다. 리얼벤치로 15분동안 CPU를 열심히 굴려본 결과 라이젠 3600X는 멀티코어 최대클럭이 스펙상 적혀있는 4.4GHz에 살짝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였으며, 온도는 최대 70도 최소 37도, 아이들시에는 37도로 아주 좋은 온도를 보여 주었습니다. 3300X는 최대 온도는 76도, 최소는 34도, 아이들 온도는 45도정도로 3600X보다는 약간 큰폭의 온도차를 보여주었네요. 최대클럭은 4.35Ghz로 실제 스펙에 있는 4.3GHz보다 0.5클럭이 더 높게나옴은 물론 실제 사용시에도 올코어 부스트가 4.35GHz로 터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네요.
라이젠 3300X 테스트 총평
솔직히 라이젠 3600X를 40만원이나 주고 산 입장으로서, 3300X가 조금이라도 더.. 한참더 낮게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 마음속에 몰래 있었는데.. 이건 뭐.. 6만원의 가격차이가 무색해져 버리네요. 분명 급이 다른 CPU인데 그래도 중상급 라인인 3600X를 거의 따라잡다니.. 역시 가성비CPU인가.. 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앞으로도 3300X를 가성비 라인으로 추천하는 CPU 1순위 이겠지만, 조금더 강력하게 추천할 수 있을듯 하네요. ㅎㅎㅎ
역시 라이젠은 "갓"성비라는 말이 언제까지라도 게속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갓사수!" 외치고 접겠습니다.ㅎㅎ
이번에 나온 4세대 5600X도 언젠가는 꼭 테스트 해봤으면 좋겠네요..
(실사용하면 더 좋구..)
https://blog.naver.com/dkzmalfmr/222158306266
구매링크
http://prod.danawa.com/info/?pcode=11236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