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밍 컴퓨터
AMD 라이젠 5600X ASUS PRIME B550M-A
쿨러 : 얼티메이크 EPIC 120 PLUS ARGB WHITE
안녕하세요. 다양한 IT기기들을 소개해드리는 꿈의왈츠입니다.
오늘은 정말 오랜만에 컴퓨터 하드웨어에 관련된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이번달에 출시한 AMD 라이젠 5600X 를 직접 사용해봤습니다.
이번에 출시한 라이젠은 4세대이며, 4000번대 넘버링을 건너뛰고, 5000번 넘버링을 달고 출시했습니다.
현재 라인업은, 라이젠 5600X, 5800X, 5900X, 5950X 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라이젠5 5600X는 출시 전부터 엄청난 성능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었는데요.
역시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인텔의 동급 제품군 대비하여 성능, 가격면에서 완벽하게 추월한 모습을 보여줬는데요.
필자 역시, 직접 사용하기 전부터 매우 큰 기대를 안고 테스트를 시작했습니다.
먼저, 같이 테스트할 메인보드와 쿨러입니다.
메인보드는 ASUS PRIME B550M-A (WIFI) 제품을 사용했습니다. 기존에 제가 사용하던 제품과 비슷하지만 Wifi와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쿨러는 얼티메이크 EPIC 120 PLUS ARGB WHITE 제품입니다.
이 3가지 제품들을 자세하게 살펴볼 예정입니다.
먼저 라이젠5 5600X 입니다. CPU 본품과 기본 쿨러, 사용설명서 및 품질보증서가 들어있습니다.
먼저 간단히 스펙을 설명해드리자면, 6코어 12스레드를 가지고 있으며, 기본클럭은 3.7GHz, 프리시전 부스트 클럭은 4.6GHz 입니다.
L3 캐시 메모리는 32MB이며, TDP는 65W 입니다.
디음은 같이 사용할 ASUS PRIME B550M-A (WIFI) 모델입니다.
메인보드 본체와 백플레이트, HDD커넥터, 사용설명서, 소프트웨어CD 그리고 와이파이용 안테나가 들어있습니다.
다음은 얼티메이크 EPIC 120 PLUS ARGB WHITE 제품입니다.
양쪽에 120mm 팬이 달려있는 공랭형 쿨러입니다. 인텔/amd 모두 호환 가능합니다.
본격적인 조립을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메인보드를 개봉합니다. AM4 소켓을 지원하며, DDR4 메모리 4개를 지원합니다. (최대 128GB 장착가능)
PCIe4.0 x16 을 지원하며, PCIe x1 슬롯도 2개 있습니다. M.2 슬롯 2개에 SATA3는 4개가 있습니다.
무선 LAN, 블루투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먼저 CPU 슬롯에 라이젠 5600X를 화살표 방향을 맞춰서 조립을 해줍니다.
다음 쿨러 장착을 위해 뒤판을 분해합니다. (참고로 얼티메이크 EPIC 120 PLUS는 기본 뒤판을 사용합니다.)
쿨러의 팬을 모두 분해해주신 다음, CPU와 닿는 부분의 비닐을 제거해주세요.
다음, CPU에 써멀 구리스를 발라주면 되는데요. 동봉되어 있는 써멀구리스를 사용하셔도 되지만, 저는 보유하고 있던 MX-4 써멀구리스를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쿨러를 메인보드와 조립해줍니다. 얼티메이크 EPIC 120 PLUS는 무뽑기 방지가 되어있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팬을 조립해주시면 됩니다.
이제 새로운 메인보드를 장착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메인보드를 그대로 들어냈습니다.
그렇게 메인보드를 케이스 안에 조립하고, 나머지 부품(램, 그래픽카드, 저장장치 등)을 조립을 완료했습니다.
그리고 전원을 켜보니 화려하게 빛나는 RGB LED를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기존 사용하던 1개의 팬이 달려있는 쿨러보다 확실히 바람의 세기가 강한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만큼 쿨링효과가 좋을거라 판단됩니다.
AURA SYNC를 지원하여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른 RGB 라이팅과 싱크를 맞출 수도 있으며, 음악에 맞춰 RGB가 라이팅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메인보드 뒤에 보시면 WIFI 6 안테나 연결 단자가 있습니다.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때에는 동봉된 무선인터넷 안테나를 연결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는 유선랜을 사용할 예정이라 따로 사용하진 않았습니다.
메인보드를 연결하고 부팅을 했습니다. 간단하게 바이오스 세팅을 하고 윈도우를 시작했습니다.
참고로 그래픽카드는 ASUS TUF RX5600XT 이며, 램은 삼성 기본램 16GBx2개입니다.
생각해보니 메인보드와 그래픽카드의 넘버링이 동일하네요.ㅎ
홈페이지에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서 먼저 업데이트를 해준 다음, 바로 3DMark 프로그램을 돌려봤습니다.
기존 라이젠 3600 벤치마크 결과입니다.
그래픽카드는 동일하니 그래픽 스코어는 똑같습니다. Physics score를 보시면 라이젠 3600은 18683 점수를 기록했고,
라이젠 5600X는 24109를 기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확실히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먼저, 최근에 많은 분들이 NOX 플레이어나 다른 가상플레이어를 통해 모바일 게임을 PC로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러 개의 플레이어를 사용하여 한번에 많은 모바일 게임을 재생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럴 때, CPU의 다중 코어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앱플레이어 2개와 미르4, 원신까지 동시에 플레이를 해봤습니다. 6코어 12스레드가 모두 열심히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4개를 동시에 구동해도 전혀 버벅임 없이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상당히 만족스럽습니다. 저는 모바일 게임 리뷰를 많이 하기 때문에 가상 플레이어를 동시에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제는 버벅임에 걱정이 없습니다.
그다음 배틀그라운드를 테스트해봤습니다. 옵션은 위처럼 이펙트, 식생, 포스트 프로세싱은 낮음, 나머지는 울트라 및 활성화를 하여 플레이를 했습니다.
먼저 3600 테스트 결과입니다. 프레임이 80~90 정도를 보여줬는데요.
5600X로 변경하고 나서는 110~120까지 프레임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GPU는 풀로딩이였고, CPU의 차이로 20정도의 프레임 상승을 볼 수 있었습니다.
다음은 워프레임입니다. 중상옵으로 설정하여 플레이를 했습니다.
CPU의 로딩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스레드를 모니터링 했는데요. 확실히 CPU의 비중은 그렇게 높진 않았습니다. 실제로 플레이할 때에는 100~140사이의 프레임을 보여줬습니다.
상당히 만족할만한 프레임이였습니다.
그리고 CPU의 비중이 높다는 시티즈 스카이라인을 플레이 해봤습니다.
문명과 같은 게임들은 그래픽카드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CPU의 성능도 매우 중요합니다.
어느정도 건설이 된 도시의 저장파일을 불러왔습니다.
그리고 확인해본 결과, 100정도의 프레임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가끔 70대까지 떨어지는 순간도 있었지만 충분히 60프레임 이상을 유지했습니다.
기존 3600에서는 30프레임 이하로도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는데 확실히 성능 차이를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파워디렉터로 영상을 인코딩 해봤습니다. 동일한 파일을 가지고 3600과 5600X의 인코딩 시간을 비교해봤습니다.
3600은 27초, 5600X은 20초가 걸렸습니다. 약 1/3 정도가 빨라졌습니다.
만약 10분정도 걸리는 인코딩 영상이였다면, 7분 대에 인코딩이 끝났을 것이라 생각이 되네요.
여러 사이트의 FHD와 QHD에서의 게임 성능 벤치마크 비교에서도 라이젠 4세대 CPU들의 줄세우기를 볼 수 있는데요.
그만큼 이번 라이젠 4세대 5600X는 게이밍으로써 최고의 성능을 자랑하는 가성비 좋은 CPU임에 틀림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그래픽카드 ASUS RX5600xt와 궁합도 상당히 잘 맞는다고 생각합니다. 6000대 그래픽카드면 더 좋겠죠?ㅎㅎ
지금까지 AMD 라이젠 4세대 5600X 및 ASUS PRIME B550M-A 메인보드 조합 사용 테스트 후기였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2621851&keyword=%EB%9D%BC%EC%9D%B4%EC%A0%A0%205600&cate=113990
http://prod.danawa.com/info/?pcode=11656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