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더 빠른 성능', '더 가벼운 무게'를 위해서 NVMe로 업그레이드를 고민하고 있는데 가격 때문에 망설이시나요?
그런분들을 위해 현재 가성비가 가장 뛰어난 6만원대의 NVMe SSD 제품을 사용기를 통해 소개해보려 합니다.
SSD 삼대장이라고 들어보셨나요?
현재 SSD 제품을 대표하는 세 개의 브랜드를 나타내주는데요. 그만큼 제품에 대한 사용 후 평가가 좋아서 안정성이 뛰어나고, 신뢰도가 높은 브랜드임을 의미합니다.
지금 소개해 줄 제품은 SSD 삼대장 중 하나인 마이크론의 NVMe SSD 입니다.
마이크론 Crucial P2 M.2 NVMe 아스크텍 (500GB)
서두에 소개했듯이 마이크론 Crucial P2 M.2 NVMe 아스크텍 (500GB)는 현재 500GB 용량의 NVMe SSD 중에서 가성비가 가장 뛰어납니다.
(2021년 3월 초 다나와 기준)
500GB NVMe 제품을 다나와 기준 최저가 순으로 정렬하여 비교하여 보았습니다.
배송비가 16,000원의 해외구매 제품을 제외하면 마이크론 크루셜 P2는 세번째로 낮은 가격입니다.
최저가 순 첫번째 제품은 낯선 브랜드와 3년의 짧은 A/S 기간으로 가성비가 좋다고 볼 수 없고,
최저가 순 두번째 제품은 SSD 삼대장에 속하지 않는 브랜드로 읽기속도가 마이크론 P2보다 느리기 때문에 가성비는 6만원 후반대의 마이크론 크루셜 P2 NVMe 제품이 가장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패키지 살펴보기
남색과 흰색의 조합으로 깔끔한 패키지 디자인을 보여줍니다.
미국에서 제조해서 세계적으로 판매하는 브랜드답게 다양한 언어로 짤막한 설명이 적혀있습니다. 한국어 설명이 다소 빈약한 점은 아쉽습니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설치 안내, 최적화/펌웨어에 대한 간단한 내용이 적혀있습니다.
패키지는 투명한 스티커로 밀봉되어 있습니다. 밀봉스티커를 통해서 새 제품인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패키지 뒷면에는 믿고 쓸 수 있는 '5년 보증'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사후지원을 받을 때는 전면의 스티커가 필요하니 스티커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 구성품
가성비가 좋은 제품답게 패키지 내부에는 아주 간단한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NVMe 본품과 설명서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설명서에는 아쉽지만 한국어 내용이 거의 없습니다. 짤막하게 제품에 대한 사후지원을 받을 수 있는 사이트 주소를 안내해 주는 내용이 있습니다.
■ NVMe 제품 디자인
NVMe 본품에는 하늘색과 흰색 조합의 깔끔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제품 스티커가 붙여져 있고, 그 위에는 간단한 제품 설명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스티커 제거시에는 사후지원이 안될 수 있다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으니 컨트롤러 등을 확인하기 위해 스티커를 떼어낼 때는 살짝만 조심스럽게 떼었다가 다시 붙여야 할 것 같습니다.
M.2답게 크기가 굉장히 작습니다. 이 작은 제품에 수많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니 세상 참 좋아졌죠.
NVMe 본품의 무게는 실제 측정하여보니 제품설명보다 더 가벼운 6g으로 측정됩니다.
노트북 사용자라면 NVMe의 빠른 속도가 필요하지 않더라도 NVMe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이유가 무게에서 나타납니다. 노트북은 들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단 100g의 차이도 크게 느껴지거든요.
아직도 노트북에 HDD가 장착되어 있나요? 만약 그렇다면 6~7만원 정도만 투자하면 노트북의 무게를 400g 가량 줄일 수 있습니다.
■ NVMe 제품 설치하기
NVMe 제품은 보통 PCI-E 슬롯 주변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NVMe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M.2 지지대나사와 고정나사가 필요합니다.
M.2 나사는 보통 NVMe 제품 패키지에 들어있지 않고, 메인보드와 함께 동봉되어 있거나 메인보드의 M.2설치 공간에 미리 장착되어 있습니다.
메인보드마다 M.2 나사 규격이 미세하게 달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ASUS PRIME B450M-A 기준 M.2 나사산의 지름은 대략 1mm보다 살짝 더 여유 있는 길이입니다.
저는 보기 쉽게 메인보드를 분리하여 설치하였지만, 실사용자는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간단하게 그래픽카드만 탈거한 상태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먼저 너트 형태로 생긴 M.2 지지대나사를 메인보드에 결합하여 줍니다.
2280이라고 적혀있는 부분에 결합하면 됩니다. 글자가 안 보일 경우 안쪽부터 세 번째 위치에 있습니다.
NVMe 제품을 꾹 눌러서 끼워줍니다. 끼우고 나면 위로 약간 들린 상태로 고정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M.2나사를 드라이버로 조여서 고정하면 설치 끝입니다. ( 참 쉽죠~? )
주의할 점은 마지막 나사를 조일 때 너무 꽉 조이면 안 됩니다.
M.2나사는 NVMe가 들리지 않고 빠져나가지 않을 용도로 조이는거지 꽉 물려서 조일 필요가 없습니다. 너무 꽉 조일 경우 오히려 제품 파손 우려가 있으니 절대 꽉 조이지 말고, 어느 정도 고정이 됐다 싶으면 그만 조이시면 됩니다.
나사가 작아보여도 정밀한 드라이버가 필요한게 아니라 일반적인 드라이버(Φ 4)를 사용하면 됩니다.
설치하였을 때의 모습입니다.
덩치 큰 그래픽카드와 CPU쿨러 형님들 사이에서 조용히 제 할 일을 묵묵히 하게 될 NVMe가 되겠습니다.
■ NVMe 디스크 설정하기
NVMe를 설치한 후에 저장소로 사용할 때 디스크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해주려 합니다.
스크린샷을 보고 차근차근 따라와주세요
1. 우측 하단 시작메뉴 우클릭 - 디스크 관리
2. 디스크관리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디스크 초기화 화면이 뜹니다. MBR, GPT 어떤걸 선택해도 별 상관 없으므로 저는 무난한 GPT를 선택하였습니다.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3. 디스크 초기화를 한 후에 우클릭 새 단순 볼륨 클릭
4. 다음버튼을 눌러주세요.
5. 파티션 크기는 최대값이 초기설정값으로 되어 있으므로 다음을 눌러줍니다.
6. 드라이브 할당은 기본값으로 다음을 눌러줍니다.
7. 볼륨 레이블을 수정해서 디스크의 이름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그냥 다음을 눌러줘도 되고, 알맞은 이름을 설정한 후에 다음을 눌러줍니다.
8. 마침을 누르면 디스크 설정이 완료되어 NVMe를 저장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마이그레이션으로 간편하게 디스크 옮기기
NVMe를 구입한 분들이라면 빠른 속도를 활용하기 위해 OS로 사용할 분들이 많을것입니다.
마이크론 제품은 기존 사용하던 C드라이브를 간편하게 마이그레이션을 활용하면 복제가 가능합니다.
https://www.acronis.com/en-sg/promotion/CrucialHD-download/
위 사이트에서 Acronis True Image 소프트웨어를 받을 수 있습니다.
1. 우측 도구 - 디스크복제를 눌러줍니다.
2. 간편하게 마이그레이션을 하기 위해서 자동(권장)을 눌러줍니다.
3. 복제후에 디스크 상태를 미리 볼 수 있습니다. 확인 후 진행을 눌러줍니다.
4. 약 12~13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5. 디스크 복제 안내메시지를 확인 후에 컴퓨터를 끄고, 기존 사용하던 디스크를 제거해주면 마이그레이션으로 C드라이브 데이터 복제가 끝납니다.
■ 읽기/쓰기 속도 테스트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로 간단하게 NVMe 읽기/쓰기 속도를 테스트하여 보았습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 버전 8.0.1과 7.0.0으로 두번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읽기/쓰기 속도가 NVMe답게 빠른 속도를 보여줍니다.
벤치테스트를 하며 온도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최고온도 48도로 방열판이 없음에도 생각보다 낮은 온도를 보여줍니다.
벤치 테스트 이후에는 37도로 온도가 하락합니다.
■ 윈도우10 부팅 테스트
윈도우10 부팅까지 약 26초가 걸리고,
부팅 이후에 크롬으로 네이버 페이지를 띄우기까지 약 37초라는 짧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NVMe답게 빠른 부팅 속도를 보여주네요.
■ 사용 후 느낀점
지금까지 마이크론 크루셜 P2 (500GB) NVMe를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약 일주일간 사용 후 느낀점은 가격대비 생각보다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이었습니다.
또한 방열판이 없는데도 온도가 생각보다 낮게 나와서 놀랐습니다.
스팀게임등을 할때는 기존 사용하던 저장소보다 로딩 속도가 빨라진다는걸 느꼈습니다.
개인적으로 현재 가성비가 가장 낮은 NVMe가 P2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렴한 가격, 빠른 속도, 가벼운 무게
이러한 많은 장점이 6만원대라는 가격은 매우 합리적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특히 노트북을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무게때문이라도 NVMe로 업그레이드를 추천합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1142699
* 이 사용기는 (주)아스크텍의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