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필드테스트

WeVO 유무선 공유기, W511SR

IP
2011.12.23. 05:00:55
조회 수
5723
1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 본 사용기는 다와 체험단으로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요즘 노트북이나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이 있는 가정엔 공유기 하나쯤은 다들 가지고 계시죠?
저도 이젠 집에서 마음 편히 무선인터넷을 즐길 수 있게 됐어요.*_*

모르긴 몰라도 공유기의 대세는 국내산 ip타임이고, 지오나 네트윈 등의 저가 제품들이 뒤를 잇는 걸로 알고있는데,
WeVO는 사실 이번 필드테스트로 처음 알게 된 브랜드예요.

 미리 밝혀두자면, 저는 IT에 빠삭하다기보단 컴퓨터로는 웹서핑이나 포토샵만 조금 끼적이는 수준의 직업 네티즌에 불과해서 공유기에 바라는 기능이라는게 그저 버벅이지 않을 정도의 쾌적한 속도의 웹서핑이나 동영상 스트리밍 정도라서 전문적인 리뷰와는 거리가 멀 수도 있어요.



각설하고, 제가 받아본 WeVO W511SR을 찬찬히 살펴보도록 해요.


제품 포장박스는 심플하고 우글우글하게 코팅되어 있어서 튼튼하기도 튼튼할 것 같아요.
제품 정보를 깔끔하게 잘 정리해서 보여주고 있어요.


뒷면에 나와 있는 제품 사양은 위와 같아요.
가정용으로 무난무난하게 사용할 만한 스펙인것 같아요.
미디어 서버 기능이 눈에 띄어요.


제품 포장박스 사이드 4면을 빙 둘러 찍어봤어요.
현 인터넷 규격에 맞는 802.11n을 채용하고,
5dBi 안테나를 착장하고 있으며,
밤 10시까지 고객지원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구성품 모양에 따라 야무지게 디자인된 내지(?) 안전히 둘러싸여 있어요.



구성품은 위와 같이 공유기, 전원 아답터, 랜 케이블, 퀵매뉴얼 예요.
심플한 구성이예요.
퀵매뉴얼은 일반 스케치북정도의 크기 양면에 프린팅되어 있는걸 6면으로 접은 형태인데,
공유기 설치방법은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으나 미디어서버기능을 비롯해서 세세한 사용자 설정 부분에 대한 설명은 빠져 있어서 필요한 정보는 인터넷이나 홈페이지를 찾아야 해요.





먼저 외관을 살펴보면,


윗면 한가운데엔 깔끔한 로고가,
하단 앞쪽엔 제품명이, 그 옆으론 직관적으로 표현된 LED 픽토그램이 위치하고 있어요.

픽토그램을 왼쪽부터 차례로 살펴보면,
으로 표현된 처음 네 가지는 LAN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면 해당 번호의 LED가 켜지고, 데이터 전송시엔 LED가 깜빡여요.
둥글게 이어진 세 가지 점은 WAN, 즉 인터넷 회선을 나타내는 것으로, 역시 케이블이 연결되면 켜지고, 데이터 전송시엔 깜빡이게 돼요.
와이파이 모양은 역시 WLAN으로, 무선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무선기능이 동작중일 땐 켜지고, 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시엔 깜빡여요.
다음은 차례로 CPU와 전원을 나타내는 램프예요.



아랫면엔 제품 시리얼과 제품명이 나타나 있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어요.
당해 무선설비는 운용 중 전파혼신 가능성이 있고,
우리나라가 설계해서 중국이 만든 제품이라고 하네요.

각 모서리 가까이에 부드럽게 고무패킹이 되어있어서 미끄러짐을 방지했고,
발열이 용이하도록 바닥에 구멍이 많게 설계되어 있어요.
스티커를 중심으로 볼록하게 뚫려있는 부분은 아마도 벽에 걸기 위한 홈인 것 같아요.



옆면은 라운드형으로 되어 있어서 세로로 세우기엔 부적합해요.
하지만 매끄러운 라운드형이라 깔끔하기도 하고, 세워둘 경우, 부주의할 땐 넘어뜨릴 경우도 많을테고, 눕혀 사용해도 별 상관 없어서 단점으로 꼽을 사항은 아닌 것 같아요.



뒷면엔 무선 보안기능의 WPS 버튼과 WAN포트, LAN포트, 리셋버튼, 전원 연결부가 위치해 있어요.
소름끼치게 무결점은 아니지만 조잡한 느낌은 전혀 없어요.
WPS버튼과 리셋 버튼이 좀 특이하게 생겼어요.
동그란 부분을 힘 주어 누르면 눌러져요.




안테나는 접힌 상태로 좌우 합해서 180도의 운신의 폭이 있어요.
접었다 펴는건 약~간 뻑뻑한 편이고, 반회전은 부드러운 편인데 고정력은 있어서 문제 없어요.



저는 방에서 사용할 땐 이렇게,


방에서 거실로 쏠 땐 이렇게 사용하고 있어요.








본격적인 설치로 들어가서,


일단 저희 집은 KT 메가패스 라이트를 사용하고 있어요.


모뎀 뒤에 꽂힌 랜선의 반대쪽 끝자락을 공유기 WAN 포트에 꽂고,


전원을 연결하면,


WLAN, CPU, 전원 램프가 켜져요.
CPU램프는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깜빡여요.



위보의 구성품인 랜케이블로 컴퓨터 랜포트와 위보 랜포트 1을 연결하면 랜포트1 램프에 불이 들어와요.
참고로, 구성품인 랜케이블은 짧은 편이예요.



마지막으로 모뎀 전원을 켜주면 WAN램프에도 불이 들어와서 하드웨어적인 준비는 완료됐어요.





이렇게, 꽂기만 하면 랜케이블에 연결된 데스크탑은 물론 와이파이 범위 내에 있는 무선 기기들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요.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실행창에 'cmd'를 입력하고,



도스창에 'ipconfig' 입력 후 엔터키를 눌렀을 때,
위 그림의 마지막 창과 같이 아이피 주소가 '192.168.10.***'로 나오면 정상 연결된 것으로,
별다른 조치가 필요 없어요.






만약 위 와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거나,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엔 설치마법사를,
무선인터넷 연결 및 설정을 위해서는 환경설정을 해줘야 하는데,
이 둘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192.168.10.1에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어요.



인터넷 주소창에 '192.168.10.1'을 입력하면,





환경설정과 연결마법사 페이지가 떠요.
연결마법사는 앞서 확인한 도스창에서 아이피주소가 제대로 나오지 않을 때 제대로된 연결을 위해 사용하고,
일반적인 환경 설정은 환경설정으로 들어가서 하면 돼요.

환경설정 아이피 주소는 즐겨찾기 해두면 관리가 편하겠죠?





최소한의 보안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 설정으로 들어가서 비밀번호도 설정해 주고,





맥 주소인증 설정 매뉴에서 맥 주소 허용정책을 사용해서,



무선 클라이언트 접속 목록 팝업 창에서 접속을 허용할 기기의 맥주소를 선택하여





허용되지 않은 기기들은 접근할 수 없도록 설정해주는 것도 보안을 위한 한 방법이예요.
관리자 계정에 암호를 걸어두는 것도 잊지 마시고요.





이외에도 여러가지 설정들이 가능한데,
각 매뉴의 구성은 다음과 같아요.

네트워크 설정 > 인터넷 연결 정보, 내부 네트워크 정보, 인터넷 연결 설정, 내부 네트워크 설정, DHCP 고정 할당


무선 네트워크 설정> 무선 네트워크 정보, 무선 기본/보안 설정, MAC 주소 인증 설정, 멀티 무선 네트워크, 무선 WAN 설정, 무선 WDS 설정, WPS 설정, 무선 고급 설정


공유 기능 설정> 포트 포워드 설정, DMZ/POWER DMZ 설정, VPN 서버 설정, 기타 기능 설정


보안 기능 설정> 인터넷 차단 규칙 설정, 방화벽 설정, 웹 주소 차단 설정


부가 기능 설정> Dynamic DNS 설정, IGMP 프록시 설정, WOL 설정, 라우팅 테이블 관리


트래픽 관리> 대역폭(QoS) 설정, 트래픽 사용량 보기, 커넥션 설정 


스위치 설정> 포트 설정, MAC 주소 접근 제어, H/W NAT, H/W NAT, Storm 필터링, 포트 미러링


관리자 설정> 시스템 요약 정보, 시스템 로그, 관리자 인증 설정, 시스템 관리, 시간 설정, 펌웨어 관리, 호스트 포트 검색 


눈에 띄는건 SSID를 최대 4개까지 설정할 수 있어서 4개의 개별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작업그룹을 나눠 사용할 때 유용할 것 같아요.








하지만 기능이 아무리 좋아도 공유기의 핵심은 유선으로도, 무선으로도 쾌적한 인터넷 속도를 내는 데 있지 않겠어요?

그래서
1. 공유기 없이 모뎀으로 다이렉트 연결 시
2. 공유기와 유선으로 데스크탑 연결 시
3. 공유기가 위치한 방에서 무선 노트북 연결 시
4. 장해물이 많은 거실에서 무선 노트북 연결 시
의 인터넷 속도를 측정해봤어요.

참고로 1~3은 새벽1~2시 경에,
4번은 낮에 측정한 결과예요.






1. 모뎀 다이렉트 연결


KT 메가페스 라이트 잘 나오면 50메가가 나온다더니, 이번 기회에 속도 측정해보고 황망하네요.
KT나빠요...
웹서핑엔 큰 문제 없으나 '빨리빨리'병에 초조해질 때가 많았는데, 확실히 문제가 있긴 있었어요.
게임 지연시간 측정결과가 저질인 것도 마음에 걸리네요.
하여튼, 동시간대에 측정했는데도 편차가 꽤 크지만, 일단 잘 나온 17.5/ 2.7를 기준으로 했어요.




2. 위보-데스크탑 유선연결


유선 연결시엔 업/다운 속도나 네트워크 지연시간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는 반면,
핑 지연시간이 생긴걸 알 수 있어요.
크게 거슬리진 않지만 가끔 한 번씩 멈칫할 때가 있어요.





3. 위보-노트북 근접거리 무선연결


      

노트북 화면 우하단의 네트워크 막대기를 클릭해보면 이웃집 I사 네트워크와 테스트중인 wevo네트워크가 뜨는데,
당연한 결과지만 근접해 있는 wevo의 신호와 속도가 훨씬 우월했어요.
여기서의 교훈은 보안을 생활화 합시다...




하여튼 이렇게 노트북과 W511SR를 연결한 후 속도를 측정해보니,


근접한 거리여서 그런지 유선과 비등한 결과값이 나왔어요.






4. 위보-노트북 장해원거리 무선연결


저희 집 구조는 위 그림처럼 생겼어요.
랜선이 들어오는 위치가 우측상단에 보이는 방인데, 좌측 하단의 거실로 가는 길목에 진로를 방해하는 벽이나 문, 식탁 등이 위치해 있어서 원활한 무선 연결을 위해선 공유기 위치를 방문쪽에 가깝게 해둬야 했어요.

그래서 공유기를
① 창과 가까운 위치
② 문에 접한 위치
에 두고 거실에서 노트북으로 각각의 속도를 측정해봤어요.


먼저 ①번 위치에서의 결과값은 위와 같아요.
신호가 잡히긴 하는데 속도나 네트워크 지연시간이 영 떨어져요.



②번, 거실과 가깝도록 문에 접하게 공유기를 놓아뒀을 땐 속도가 다소 떨어지고, 지연시간의 편차가 있긴 하지만,
웹서핑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준의 결과값이 나왔어요.




그래서 이렇게!


거실에서 무선 인터넷과 HDMI 케이블을 활용한 큰 화면으로 즐기는 인터넷 스트리밍 영화 보기의 꿈이 이루어졌어요.
우왕굳!

그런데.
케이블 탓인지, KT회선 탓인지, 노트북 탓인지 공유기 문제인지 모르겠지만,
멀쩡히 잡히던 무선인터넷이 HDMI 케이블을 TV와 연결하면 먹통이 되는 문제가 자주 생겨서 답답해요.
예전에 잠깐 ip타임 제품으로 동일한 환경에서 테스트 했을 때도 동일한 증상이 생겼던걸 보면 공유기 문제는 아닌 것 같고,
노트북 문제라면 이것도 참 곤란하네요. 음.





마지막으로 제품 사양을 다시 한 번 살펴보면,

(출처: 위보 공식 홈페이지)

잘은 몰라도 일반 가정용으로 무난한 사양인 것 같아요.



W511SR를 일주일 여 사용해본 느낌을 정리해 보자면,

디자인 깔끔하고, 대세인 ip타임과 견주어 뒤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인 것 같습니다.
다만, 방 안에선 쾌적하지만, 벽이나 장해물이 있는 다른 방에선 다소 무리가 있는 것 같아요.
수신기기의 랜카드 성능이 괜찮다면 모르겠지만 악명 자자한 수신율을 자랑하는 P430을 사용중이라 벽과 가구의 미로를 뚫기는 무리였어요.
하지만 한 방 안에서, 혹은 장해물이 없다면 무선도 유선과 동일한 속도를 내주는데다, 사용도 간편해서 좋았어요.

그 외에 미디어 서버 기능으로 PC의 멀티미디어를 무선 신호를 통해 테블릿 기기로 즐길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는데, 동봉된 퀵매뉴얼엔 이에 관한 정보가 없어서 홈페이지를 더 뒤적여봐야 할 것 같아요.
더불어, 공유기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으면 환경설정의 각 부문을 적절히 활용하기 어려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기기 자체는 다양한 기기로 멀티미디어를 즐기는 개인, 혹은 가족단위에 적합한 것 같아요.
원룸에서는 더욱 쾌적하게 사용 가능하고요.

이제 우리집 와이파이존은 물론 유무선 기기 간 데이터 전송도 용이해져서 참 좋네요.
이젠 지긋지긋한 선에서 벗어나서 노트북도 제 기능을 다하고 있어요.
우왕굳!




다나와, 디지털존, 고맙습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사용기 인텔 코어 Ultra 7 프로세서 265K + ASUS Z890 AYW GAMING WIFI W 사용기 “코어울트라7 265K 시스템 조립 및 안정화 테스트”
사용기 데스크탑 구매후기.feat asus b850
간단 사용기 ROG STRIX B850-I GAMING WIFI 구매후기
간단 사용기 [파워 사용기] MSI A850G PCIE5 80PLUS GOLD 후기 (1)
사용기 인텔® 코어™ Ultra 5 프로세서 245K + ASUS Z890 AYW GAMING WIFI W 1주차 후기 (2)
사용기 한성컴퓨터 7800X3D + GAINWARD phantom 5070ti 완본체 사용기 (3)
사용기 한성 TFG27U16PM1152Z Fast IPS mini LED UHD 160Hz FHD 320Hz 모니터 후기 (2)
사용기 GIGABYTE Gaming GS27QA 후기 (3)
사용기 만리 RTX5080 스텔라 구매후기입니 (2)
사용기 MSI MPG A1000G 80PLUS Gold 사용기 (2)
사용기 MSI MPG A850G PCIE 5 사용기 (2)
사용기 GIGABYTE B650M AORUS ELITE AX ICE 사용 후기 (2)
사용기 Gainward GeForce RTX 5070 Python III 리뷰 (3)
간단 사용기 사용기 리뷰 - GAINWARD RTX 5080 Phantom (2)
사용기 코어2 울트라 265K 바이오스 세팅 및 최적화 (2)
간단 사용기 MPG A1000G 80PLUS 골드 ATX3.1 사용기 (2)
공간/설치기 인텔 Z890 칩셋과 ASUS PRIME의 만남 누구냐 넌?(Feat. 265K) (2)
간단 사용기 Gainward rtx 5070 python 완본체 후기 (2)
사용기 (파워 사용기) MSI A850GL PCIE5 80PLUS GOLD (2)
사용기 주연테크 V24FX-120 FHD IPS 120Hz 컴퓨터 모니터 59~61cm(24인치), 무결점 (2)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