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사용기

msi z77-gd65 3770k 국민오버 간단가이드

IP
2012.05.14. 23:36:17
조회 수
11934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MSI Z77-GD65] 초보자를 위한 3770K 4.5g 간단 오버 가이드

1. 박스 및 구성품

비오는 날 찍어서 어둡네요;;;;

(박스 앞면)

밀리터리 클래스3 / OC Genie2 / 3년 무상 AS / GEN3 (GTX 6xx / RADEON 7xxx 지원)

정도가 눈에 들어오네요

(박스 뒷면)

구성품입니다

메뉴얼 / 인증서 / 사타케이블 4개 / 크파케이블 1개 / 멀티커넥터 / 전압체크케이블/

설치DVD / AS 관련 안내문이 들어있습니다

아쉬운건 SLI 케이블이 빠졌네요

라데온 그래픽 구입시 보통 크로스파이어 케이블은 동봉되어있습니다만..

SLI 케이블은 보통 메인보드 구성품입니다

NDIVIA 그래픽카드로 SLI 하실분은 별도로 구입하셔야...

메뉴얼은 한글버전도 있군요

보드 구입시 항상 메뉴얼을 쭉 훑어보는데 이번 메뉴얼은 완성도가 높네요

감동입니다 이렇게 친절하고 상세한 메뉴얼은 처음 보는듯..

동봉된 설치 DVD 삽입화면입니다

입맛에 맛게 설치하시면 됩니다

귀찮으신 분은 하단에 Total installer 클릭하세요ㅎ

2. 시스템

지금 사진에선 가려졌는데 USB 2.0 포트랑 광출력 단자 사이에

시모스 클리어 버튼이 있습니다

앞으로 여러분이 자주 누르게 될지는 모르지만 있으면 무척이나 편리한 버튼이죠ㅋ

(점퍼를 쓰거나 건전지 빼는 수고를 덜지요)

3. 오버클럭

시모스 메인화면입니다

전원 인가후 포스팅 단계에서 <Del> 키를 누르면 진입합니다

세팅 메뉴는 보드의 전반적인 설정

OC 메뉴는 오버클럭킹

ECO 메뉴는 전력관리옵션

BROWSER 메뉴는 인터넷 사용

UTILITIES 메뉴는 BIOS 백업/업데이트

SECURITY 메뉴는 비밀번호 설정

*브라우져랑 유틸리티 메뉴 중 LIVE UPDATE 는 Winki 드라이버를 설치하셔야 사용가능

자 이제 오버클럭을 시작해 봅시다 ~

일단 최신 바이오스로 업데이트합니다

MSI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다운받으실수있습니다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 입니다

첫째, USB 부팅디스크에 바이오스 파일을 저장하여 도스 부팅후 업데이트

둘째, 시모스 메인화면에서 UTILITIES 메뉴에 진입하여

WINKI 를 이용한 라이브 업데이트 / 저장장치를 이용한 M-FLASH

셋째, 윈도우 운영체제 진입후 윈도우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이용

권장하는 방법은 첫째 / 둘째 방법입니다

만에 하나 바이오스 업데이트 중 컴퓨터가 완전히 먹통이 됐다?

(처음 조립후 부팅이 되지 않을때도 사용합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Z77-GD65 보드는 듀얼 바이오스 입니다 ㅎ

메뉴얼 설명 사진입니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메뉴얼이 너무 잘되있어서 사실 이글을 적을 필요가 있을까

고민 많이 했습니다....

암튼 성공적으로 바이오스를 업뎃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오버클럭을 시작해봅시다

*마우스가 안움직이는 문제를 언급하고 싶네요

출시초기라 아직 바이오스가 완벽하진 않은듯합니다

키보드중 <ESC> <ENTER> <방향키><숫자키><PAGE UP/DOWN> 키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시모스 설정값을 변경했다면 꼭 F10 키로 저장하고 나가기해야합니다~

먼저 시모스 초기 화면 중 세팅 메뉴로 들어갑시다

SYSTEM STATUS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현재 시간 / 날짜를 설정해주면 됩니다

그 밑으로는 사타에 연결된 장치들이랑 시스템 정보들이 나오네요

입력을 완료하면 <ESC>키를 눌러 상위메뉴로 BACK

두번째 ADVANCED 진입

3번째 INTETGRATED PERIPHERALS 진입

SATA MODE 항목으로 진입합니다

본인 컴퓨터 OS 가 설치된 저장장치에 따라 일반 HDD 라면 IDE 선택

단일 SSD 라면 AHCI / RAID 로 묶었다면 RAID 선택

상위메뉴로 돌아가서 7번째 HARDWARE MONITOR 항목으로 진입

4핀 CPU 쿨링팬을 연결했다면 SMART FAN 기능을 사용해봅시다

(3핀짜리 팬은 안됩니다 별도의 팬컨트롤러를 사용해 조절하시길)

전 씨퓨 온도가 50도 이상일때 작동하도록 설정했습니다

본인 팬소음이나 씨퓨 IDLE 발열치를 고려해서 적당히 설정하면 됩니다

추가로 GD65 는 시스템팬 3개중 2개가 4핀 단자입니다

별도의 팬컨없이 4핀 쿨링팬 연결시 시모스에서 팬속조절가능합니다

메인메뉴로 돌아가서 ECO 항목으로 들어갑시다

위와 같이 설정해줍니다

*참고로 전 SSD 유저이고 고성능을 원하기 때문에 전력관리 옵션은 모두 비활성화

EuP 2013 옵션은 컴퓨터를 끄면 대기전력을 완전히 즉각 차단하므로 활성화

(파워의 ON/OFF 스위치를 사용하거나 코드를 뽑을 필요가 없더군요)

다시 메인메뉴로 돌아가서 OC 메뉴로 진입합시다

일단 세부 메뉴들을 쭉 훑어보세요ㅎ

벌써부터 머리가 아프시나요

걱정하시마세요 별거 없습니다 ㅎ

맨 아래쪽에 있는 CPU FEATURES 항목으로 진입

위와 같이 설정하시고 상위메뉴로 이동해서 밑에서 4번째있는 오버클럭 프로필 진입

메인보드에 6개까지 저장할수있고 프로필 제목을 숫자/영문으로 저장가능

USB 에도 저장/불러오기를 할수있습니다

이 단계쯤에서 설정값 저장 함 합시다

왜냐하면 이제부터 종종 블루스크린이나 먹통을 경험하시게 될것입니다ㅎ

예전에는 오버클럭이 여러가지 세부전압설정으로 꽤 까다로웟는데

샌디브릿지 이후로 많이 간단해졌습니다

국민오버라는 4.5g 도 너무도 간단하게 달성되구요

우리가 건드릴 전압은 씨퓨 코어 전압 / 램전압밖에 없습니다

간단하죠잉~

오버클럭의 기본적인 순서는 CPU 오버 후 RAM 오버 입니다

위의 스샷은 최종스샷이구요

일단 DRAM 이 적혀있는 항목은 초기 상태로 두세요 [AUTO]

나머지는 위와 같이 세팅합니다

F10 키를 눌러서 저장 후 부팅 GOGO~!!

만약 부팅이 안된다면 보드 램뱅크 밑에있는 리셋 버튼을 누르고 <DEL>키를 눌러

시모스 진입 후 시퓨 코어 전압값을 한두단계 올려줍니다

아예 시모스 진입도 하기 전에 먹통된다면 I/O 패널쪽에 있는 시모스 클리어버튼

(자그마한 검정색 버튼으로 시모스 설정이 디폴트값으로 변경)을 누르시면 됩니다

본인의 시퓨에 맞게 CPU CORE VOLTAGE 값을 올리거나 내려가면서

윈도우 진입이 되는 최소 전압을 찾아보세요

참고로 3770K (3570K 도 별반 다를바 없습니다) 는 4.5g 씨퓨 안정 전압값이

1.15V ~ 1.25V 정도입니다

윈도우 화면으로 진입했다면 아래와 같이 제어판-시스템-전원옵션에서 고성능으로 설정

SSD 유저시라면 추가로 고성능 옆에 설정 변경을 클릭하시고

하드디스크 끄기 시간 = 0 을 입력하세요

일반 HDD 유저라도 절전모드(잠에서 깨어나는데 느리죠 딸각거리기도하고) 싫으신분 포함

그런다음 CPU 과부하 프로그램인 LINX 를 돌려봅니다

스트레스 프로그램을 돌릴땐 다른 작업을 하면 안됩니다

*클릭하면 크게 볼수있습니다

하단 중간에 LINX 0.6.4 AVX 에디션 창을 보세요

메모리 점유율 <ALL> 누르시고 몇바퀴 돌릴지 정하고 <START> 클릭하면 됩니다

GFlops 값이 오차범위 이내로 일정하게 나온다면 성공입니다

하지만 당연히 블루스크린 뜨거나 먹통 될겁니다

윈도 진입되는 최소전압 세팅이니깐요 시모스에서 씨퓨 코어 볼테지를 조금씩 올려봅시다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합니다 노가다죠...

보통 20바퀴 돌리는데 안정전압값 찾는 초반에는 전 간단하게 5회씩만 합니다

링스를 실행중일때 하단 좌측에 있는 REAL TEMP 라는 온도프로그램으로 씨퓨 온도를 살펴봅시다

이번 아이비는 전압과 소비전력은 22나노공정으로 개선됐는데 발열이 영 거슬리죠..

위에 빨간 박스안이 실시간 온도이고 밑에는 최저/최고 온도입니다

아이비는 105도가 맥스값입니다만... 다가올 여름철을 감안해서 최고온도 80도가 넘어가면 링스를 통과하더라도 전압을 낮추면서 4.5g 미만으로 하시길..

여기서 복불복이죠.. 뽑기성공이면 그 이상의 클럭도 실사용 가능합니다

마침내 자신의 씨퓨 전압값을 찾았다면 램오버도 내친김에 해봅시다

램은 오버 안할래 하시는 분은 지금부터는 생략하시고 쭉쭉 밑으로 내려주세요

씨퓨 코어전압을 타이트하게 다이어트 하셨다면 거기서 1~2단계 전압을 올려주고

오버메뉴 둘째페이지 중간쯤에 있는 DRAM VOLTAGE 에서 1.55V 입력하세요

이 보드가 조금 불만스러운게 윈도우 진입하면 시모스 입력값보다 낮게 들어갑니다

씨퓨 코어 전압은 0.01 정도 낮게... 램전압은 0.01~0.02 정도 낮게..

링스같은 스트레스 유틸로 풀로드 부하걸면 0.02~0.03까지 전압강하되더군요

(V-CHECK 멀티미터를 이용해 하드웨어적으로 측정하진 못했지만 소프트웨어상 강하되니 살짝 성에 안차는건 어쩔수없네요)

오버메뉴 첫페이지 중간쯤에 있는 DRAM FREQUENCY 로 진입

Z77-GD65 보드는 무려 2933 까지 지원하는군요 ㄷㄷㄷ

국민램 삼성 DDR3 4g 램을 쓰신다면 경험상 2000 클럭까지도 잘 올라갑니다만..

무난하게 램전압 1.5V / 1600 클럭정도만 오버합시다 우린 초보자니깐요ㅎ

그 다음 ADVANCED DRAM CONFIGURATION 메뉴로 진입

삼섬램이라면 보통 스샷처럼 차례대로 1-8-8-8-24 정도는 들어갈겁니다

안된다면 1-9-9-9-27 정도로 램타이밍을 푸시거나 DRAM 전압을 더 줘보세요

오버가 잘됐는지 확인하려면 윈도스샷 우측에 있는 HYPER PI <32M> 최대치로 놓고 돌려보세요

제 경험상 링스 20회 통과 + 하이퍼 32M 완주하면 오버가 안정적으로 된듯하더군요^^

4. 개인적인 MSI Z77-GD 65 총평

장점 - 다양한 입력단자 (전 동축 출력단자땜에 선택했습니다ㅎ)

편리한 온보드 스위치(전원/리셋/시모스클리어버튼/OC 지니)

크로스파이어X / SLI 지원

친절하고도 감동적인 고퀄리티 한글 메뉴얼

내구성 강한 고급 부품으로 오버클럭에 안정적(밀리터리 클래스3 인증)

파란색의 깔끔한 레이아웃 (물론 개인취향차이)

램 오버클럭 (3000클럭까지 지원)

시스템 팬 단자 3중 2개가 4핀이라 별도의 팬컨없이 시모스에서 팬속 조절가능

단점 - 시모스 전압 입력값이 OS 진입후 미세하게 강하

시스템 풀로드시 한층 더 강하 (칼전압이 아쉬움..)

CPU CORE VOLTAGE OFFSET 모드 미지원

바이오스 업뎃/시모스 클리어시 오버클럭 프로필도 날라감

시모스에서 마우스 사용불가 (보드출시초기라 빠르게 개선될듯)

SLI 케이블 미포함

5. 후기

오버클럭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간단 사용기 적어봤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ㅎ

CPU 도 오버잠재력이 좋고 메인보드도 오버클럭 능력으로 광고하는 시대입니다

조금만 알아보고 시도해보면 만족스런 성능을 뽑아주니 적당한 오버는 안하면 손해~

단지 국민오버 이상은 본인도 리스크를 감수하셔야하고 공부나 경험도 쌓으시길..

PS.. 다 쓰고 편집하다보니 시모스에서 F12 키로 스샷찍는 기능이 있었군요 ㅡ,.ㅡ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상품

1/1

관련 카테고리

1/1
소비자사용기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간단 사용기 주연테크 D1v12400 사용기 (1)
간단 사용기 컴초보 ASUS 9070XT 한 달 사용 후기와 주의할 점 (1)
사용기 GAINWARD Geforce RTX 5070Ti 피닉스 D16G (1)
사용기 오래된 비데 고장나 새로 장만했습니다. (1)
사용기 딥쿨 ch260케이스 조립 (1)
사용기 게인워드 지포스 RTX 5070 Ti 팬텀 D7 16GB 사용 후기 입니다. (2)
사용기 인텔 코어 울트라7 265K CPU, ASUS 프라임 Z890 조립 후기 (3)
간단 사용기 ASUS TUF GAMING B850 PLUS WIFI 간단 사용기 (4)
간단 사용기 알파스캔 24G4E (4)
사용기 GIGABYTE RTX 5080 AORUS MASTER ICE 16G 사용기 (3)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Ti 피닉스 사용기 (4)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파이썬 III D7 12GB 사용기 (3)
사용기 MSI 코어리퀴드 E240 2열 수랭쿨러 가성비 좋네요 (3)
간단 사용기 RTX5080 게인워드 팬텀 사용기 (3)
사용기 인텔® 코어™ Ultra 5 프로세서 245K 체험단 (1주차) (3)
간단 사용기 MSI MPG 321URX QD-OLED 240 4K UHD 모니터 구입 사용후기 (3)
사용기 MSI MPG A850G 80PLUS GOLD 사용기 (3)
사용기 프리플로우 7500F 게인워드 5070 조립PC 사용후기 (3)
간단 사용기 게인워드 rtx 5070 리뷰 (3)
사용기 GAINWARD 지포스 RTX 5070 피닉스 D7 12GB 후기 (3)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