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이트밸런스 >- 하얀 물체를 하얗게 제대로 보여주기 위해 조절한다.
색온도는 흔히 켈빈(Kelvn, K)값으로 표시하죠. 이는 푸른빛이 강할수록 색온도가 높은 것이고 붉은빛이 강할수록 색온도가 낮죠.
대부분 사진촬영을 할 때는 색온도가 5500K가 적당하다고 하는데 정오 때 햇빛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된답니다.
형광등은 4,500-6,500K, 백열등은 3,200K, 흐린날은 6,500K-7,000K, 촛불은 1,500K-1900K 에요.
원래는 커스텀 화이트밸런스로 직접 화이트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캐논 100D에 있는 화이트밸런스를 활용해도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어요. 가끔 어떤 물체의 정확한 색상을 표현하고 싶을 때, 집에 있는 조명이나 외부 조명때문에 제대로 표현을 못 하는 경우에 사용해주면 좋지요.


캐논 100D에 보면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화이트밸런스를 조절하는 부분이에요.
화이트밸런스는 크게 여덟가지로 나뉘는데요.
_ 자동 - 태양광 - 그늘 - 흐림 - 텅스텐 - 백색 형광등 - 플래시 - 사용자설정_

가끔 사진을 포토샵으로 보정한 것처럼 느낌이 다른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화이트밸런스를 다양하게 바꿔줬을 때랍니다.
위 사진에서도 가운데는 자동으로 설정했을 때도 왼쪽은 백색 형광등, 오른쪽은 그늘로 설정하고 찍은 사진이에요. 확실히 느낌이 다릅니다.
뭔가 포토샵을 한 것 같은 DSLR 캐논 100D의 변신이죠잉 ~
물론 화이트밸런스는 각 DSLR마다 다른 켈빈값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지원하는 화이트밸런스가 다르기도 하답니다.
가지고 계신 DSLR 기종에 따라 자유롭게 변화시켜 보세요.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태양광을 기준으로 색상을 인지하기 때문에 야외에서는 어느정도 본연의 색상을 표현하기도 하지만
실내촬영이나 5500K- 6500K 이외의 색온도에서는 사물의 본래 색상을 잘 표현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DSLR의 경우 화이트밸런스를 잘 조절해주면 어떤 조명에서도 사물의 색상을 잘 표현할 수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