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토리지 전문업체 WD(http://www.wdc.com/kr/)가 NAS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앞서 1베이인 My Cloud(http://www.piscomu.com/PC/238265)를 시작해, 바로 전까지 2베이의 My Cloud EX2(http://www.piscomu.com/PC/261127)까지 만나보았습니다. WD의 NAS 라인업인 퍼스트 클라우드는 소비자와 전문가 라인업으로 각각 2모델씩 있는데, 오늘 만나볼 제품은 앞서 전문가 라인업에 My Cloud EX2의 상위 모델이자 현재까지 가장 최상위 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바로, 4베이의 “My Cloud EX4”가 되겠습니다. 그럼, WD의 퍼스트 클라우드 최상위 모델 My Cloud EX4를 지금 만나보겠습니다.
|
Specification | |||||||
|
모델명 |
My Cloud EX2 | ||||||
|
용량 |
HDD 미포함 |
8TB |
12TB |
16TB | |||
|
베이 |
3.5인치 4베이 | ||||||
|
프로세서 |
Mavell ARMADA 370 @ 2.0GHz | ||||||
|
메모리 |
DDR3 512MB | ||||||
|
네트워크 |
기가비트 유선 LAN(RJ-45) x 2개 | ||||||
|
USB 지원 |
USB 3.0(USB 2.0호환) x 2개 | ||||||
|
크기 |
160.1(W)x208.6(H)x220.2(D)mm | ||||||
|
무게 |
3.3Kg |
5.8Kg |
5.8Kg |
6.2Kg | |||
|
운영체제 |
Windows 기반, Mac OS | ||||||
|
보증기간 |
무상 2년 | ||||||
|
최저가(리뷰기준일) |
425,000원
(상품정보) |
805,340원
(상품정보) |
933,500원
(상품정보) |
1,149,660원
(상품정보) | |||

My Cloud EX4 역시 퍼스트 클라우드의 라인업이기 때문에, 제품 박스 디자인은 앞서 만난 두 제품과 유사합니다. 전면은 해당 제품 이미지와 모델명, 그리고 해당 제품의 HDD 용량 표기를 해놓았는데, My Cloud EX4 경우 HDD 미포함부터 8TB, 12TB, 16TB까지 제품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가장 많은 베이를 지원하기 때문에, 용량부분에서도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DD는 역시 자사의 WD Red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무게가 있기 때문에 이동 시 편의를 위해 박스에는 손잡이 처리가 되어 있으며, 박스 상단에는 제품 구성 목록, 요구 시스템 사양, 브라우저 지원을 역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스 한 측면에는 베이 지원부터 USB 3.0 포트 지원, 포트 지원, RAID 지원, 앱(App) 지원 등에 내용이 역시 바로 앞서 만난 My Cloud EX2와 동일한 내용으로 담고 있으며, 반대편 측면에는 역시 자사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과 제품 후면에 배치된 각 포트의 명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스 후면은 역시 앞에 언급된 제품의 주요 특징을 각 나라별 언어로 다시 한 번 소개하고 있으며, 한국어도 기본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품 포장은 앞서 두 제품이 스티로폼을 사용했다면, My Cloud EX4는 무게감이 더 나가기 때문에 좀 더 완충작용이 좋은 우레탄폼을 사용해 외부 충격 방지를 해주도록 했으며, 제품 설명서 및 보증서 외에 부속품은 역시 별도의 박스에 담아 분실되지 않게 제공해주고 있으며, 부속품에는 전원 케이블, 랜 케이블, 그리고 각 국가별 전기 규격에 같은 변환 케이블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이제, My Cloud EX4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외형적으로 보면, 총 4개의 베이가 지원되기 때문에 앞서 만난 My Cloud, My Cloud EX2보다 크기에서 단연 더 크며, 정육면체에 가까운 큐브형 디자인을 가졌습니다. HDD가 장착되는 전면에 가장 상위에는 디스플레이 부분으로 장착된 HDD 개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오른쪽에 있는 상하 버튼을 통해 HDD의 상태 및 내부 팬 속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뒤에서 실제 작동 시 다시 한 번 언급하겠습니다. 그리고, 맨 왼쪽에는 전원 버튼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바로 아래는 HDD가 장착되는 베이부분으로 총 4개의 베이 지원으로 각각 독립 장착/분리를 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른 NAS 제품이나 HDD 핫-스왑 장치에서 보던 장치 구조와 동일한 형태입니다. 도어 장치 내부에 HDD 장착 방향을 표기해놓고 있으며, HDD는 자사의 NAS 전용 WD Red를 사용했습니다. 장착은 HDD를 넣고 도어를 그대로 올려 밀어서 찰칵 소리가 날 때까지 눌러주면 됩니다.

베이 내부를 잠깐 보면, 각 HDD가 자리 고정이 되도록 하단에 라인 홀더 처리가 되어 있으며, 장착 방식은 앞서 두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핫-스왑 장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My Cloud EX4 측면은 양쪽 모두 민무늬 형태에 상위에 일부 에어홀 처리를 해놨으며, 후면에는 제일 상위에 포트 배치로 왼쪽부터 듀얼 전원 포트, 듀얼 USB 3.0 포트, 기가비트 지원의 듀얼 랜(LAN) 포트를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듀얼 전원과 듀얼 랜 포트는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전원/랜 문제시 백업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에는 내부 발열 처리를 위해 에어홀 처리와 함께 내부에 80mm 팬이 장착된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외형 끝으로, My Cloud EX4 하단에는 받침대로 고무 패드를 사용해 받침과 동시에 진동 소음을 줄이도록 해놨습니다.


이제, My Cloud EX4의 내부를 살펴보는데, 측면 상단 패널이 일체형이기 때문에 후면 나사를 풀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주요 컨트롤러 칩셋 등이 있는 PCB기판은 내부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데, CPU(88F6282A) 칩셋과 HDD 컨트롤 칩셋(88SX7042), 그리고 랜(LAN) 칩셋(88E1510)은 모두 마벨(Marvell)사 칩셋이 사용되었으며, 메모리는 DDR3로 기판 앞뒤로 각각 2개씩 총 4개로 개당 128MB 용량으로 512MB 용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USB 3.0 포트는 이미 PC 메인보드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EtronTech사의 칩셋을 사용했으며, 앞서 잠깐 확인된 HDD 장착에 핫-스왑 장치와 내부 배기 역할의 80mm 팬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직접, My Cloud EX4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일단, 전원을 연결하고 전원 버튼을 누르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부분은 역시 전면 상위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입니다. 오른쪽에 배치된 버튼을 통해 순차적으로 모델명, 현재 장착된 HDD RAID의 사용 가능 용량, 새 펌웨어가 있을 시 표기, 디스크 상태, 팬 속도, 내부 온도, 펌웨어 버전, IP 주소까지 보여주면서 언제든지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장착된 HDD의 번호 위치에 따라서도 LED 램프가 점등되겠습니다. 앞서 하위 모델인 My Cloud와 My Cloud EX2가 그냥 단순 LED 램프였기 때문에, 이부분만 봐도 단연 상위 모델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전원을 켠 후에는 역시 다른 My Cloud들 처럼 기본 연결 설정을 해야 하는데, My Cloud EX4의 PC에서의 연결주소는 http://wd.com/setup/wdmycloudEX4, 모바일에서의 접속은 http://wdmycloudEX4가 되겠습니다. 진행 과정은 역시 앞서 두 모델과 동일하며, 이전에 My Cloud 연결 시 등록한 E-mail이 있다면, 별도의 암호설정은 할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기본 연결 후 추가 제공되는 프로그램 역시 모두 공용 사용이기 때문에 동일하겠습니다.

기본 연결 후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관리 프로그램인 대시 보드의 인터페이스는 로그아웃 버튼 위치만 제외하고는 모두 앞서 두 모델과 동일합니다. 역시 처음 연결 시에는 관리자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바로 로그인 후 설정을 해주면 되고, 새로운 펌웨어가 있다면, 바로 업데이트를 해줘서 최신 버전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뉴 구성 역시 My Cloud EX2와 동일하겠습니다.

My Cloud EX4는 앞서 만난 My Cloud EX2와 소프트웨어 지원에선 동일합니다. 따라서, 소트프웨어 지원부분은 생략하고, My Cloud EX4의 가장 큰 차이점인 듀얼 랜(LAN) 지원을 언급해보겠습니다. My Cloud EX4는 듀얼 랜을 지원하면서 점보프레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점보프레임은 대역폭을 넓혀 내부 전송 속도를 올려주는 기술인데, My Cloud EX4는 최대 9000 바이트까지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점보프레임 PC의 랜 카드와 공유기 모두 기가비트를 지원하고 점보프레임을 지원해야 가능합니다. 일단 설정은 My Cloud EX4에선 설정메뉴에서 네트워크 메뉴를 선택해 하위 메뉴에서 Jumbo 프레임을 선택하면 비활성화부터 9000 바이트까지 지원해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PC 랜 카드 속성 메뉴에서 점보프레임이 최대 몇 바이트까지 지원해주는지를 확인한 수, 둘 다 동일한 값으로 설정을 해줍니다.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공유기는 대부분 자동으로 점보프레임을 인식합니다.

설정 후 내부 전송 속도 차이를 확인해 본 결과, HDD→NAS로의 업로드 속도는 점보프레임 활성화 전보다 약간 빨라 큰 차이가 없는 편인 반면, NAS→HDD로 다운로드 되는 속도는 점보프레임 후 더 빨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속도 차이는 PC환경이나 랜 케이블에 따라 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My Cloud EX4 역시 USB 3.0 포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USB 3.0 메모리 SLC와 MLC 두 가지 타입을 각각 사용해 전송 속도를 확인해 본 결과, 고성능의 SLC와 좀 더 좋은 속도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WD NAS 라인업 퍼스트 클라우드에서 가장 최상위 모델인 My Cloud EX4는 말그대로 최상위 모델임을 보여줍니다. 앞서 만난 My Cloud와 My Cloud EX2의 기능들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상위 기능들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My Cloud EX2와는 소프트웨어나 기본적인 기능에 큰 차이가 없지만, 4개의 베이 지원으로 역시 HDD용량을 더 크게 가질 수 있는 이점과 듀얼로 지원되는 전원 장치와 랜 포트는 문제 발생 시 백업 지원까지 완벽하게 갖추고 있어, 안전성도 가장 높다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개의 베이가 지원되는 것과 안전성까지 잘 갖추고 있기 때문에 My Cloud EX4는 개인 사용보다 공동 생활 공간 즉, 소규모의 사무실용 데이터를 공유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할 수 있습니다. 아쉬운 점은 My Cloud EX2와 마찬가지로 베이 지원에 HDD 장착인 3.5인치만 된다라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상위 모델이자 고가 모델이기 때문에 앞서 두 하위 모델에선 볼 수 없던 디스플레이 장치까지 갖춰 PC가 없는 상황에서도 제품자체만으로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라는 점까지 생각하면, 최상위 모델다운 높은 스펙을 자랑해서 사무실에 NAS 사용을 고려하는 직장인이라면, WD의 My Cloud EX4를 생각해보기 바랍니다.












